[고전문학] 구운몽 작품분석

 1  [고전문학] 구운몽 작품분석-1
 2  [고전문학] 구운몽 작품분석-2
 3  [고전문학] 구운몽 작품분석-3
 4  [고전문학] 구운몽 작품분석-4
 5  [고전문학] 구운몽 작품분석-5
 6  [고전문학] 구운몽 작품분석-6
 7  [고전문학] 구운몽 작품분석-7
 8  [고전문학] 구운몽 작품분석-8
 9  [고전문학] 구운몽 작품분석-9
 10  [고전문학] 구운몽 작품분석-10
 11  [고전문학] 구운몽 작품분석-11
 12  [고전문학] 구운몽 작품분석-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 구운몽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작품 개요
1. 창작 동기와 작품 해설
2. 줄거리- PPT대체
3. 당시(조선시대)의 에 대한 반응
4. 의 문학사적 의의

Ⅱ. 작품 분석
1. 인물분석
2. 양소유와 팔선녀의 관계 설정 과정
3. 상징요소 분석
4. 구운몽의 사상적 배경
5. 표현 양식에 따른 의 변화 양상

Ⅲ. 새로운 관점에서의 -PPT대체

Ⅳ. 구운몽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Ⅴ. 문제제기

본문내용
Ⅰ. 작품 개요
1. 창작 동기와 작품 해설
구운몽은 서포 김만중이 남해 유배 시절 어머니 윤씨 부인의 한가함과 근심을 덜어주기 위하여 지었다고 전해지는 우리나라 양반 소설의 대표적 작품이다. 은 현재 한문본과 한글본 모두 존재하며, 필사본, 목판본, 구활자본으로 간행될 만큼 많은 이본이 존재한다. 그러나 김만중이 창작할 당시의 의 모습은 알 수 없다. 김만중(2007), 『구운몽』, 민음사, p.236.
당시는 오늘날과 달리 사대부가 소설을 창작하는 일이 대단히 부정적으로 인식되었으며, 소설 자체가 천대받던 시기였다. 서포가 비판을 감수하고 굳이 소설을 창작한 데에는 어머니에 대한 서포의 지극한 효심과 파란만장했던 자신의 삶의 굴곡에 있다. 서포는 유복자로 태어났기 때문에 그의 어머니에 대한 효심은 각별했다. 그리고 비록 화려한 경력과 대단한 가문의 자손이었지만 조정에 대한 비판으로 인해 여러 차례 유배생활을 해야 했다. 이 을 창작할 당시에도 서포는 평북 선천의 유배지에서 쓸쓸하게 지내고 있었다. 그곳에서 서포는 어머니 윤 씨 부인의 생일을 맞아 생이별의 눈물을 흘린다는 비장한 시를 남겼다. 그리고 서포는 한편으로 어머니를 위로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의 복잡한 심사를 담기 위해 일체의 부귀영화가 모두 헛된 것이라는 주제의 글을 지었다고 한다. 그 글이 바로 일 가능성이 높다. 김만중(2007),『앞의 책』,p.239.

유교, 도교, 불교 등 한국인의 사상적 기반이 총체적으로 반영되어 있으며 불교의 공(空)사상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성진이라는 불제자가 하룻밤의 꿈 속에서 온갖 부귀영화를 맛보고 깨어나, 인간의 부귀영화는 일장춘몽에 불과하다는 것을 느껴 불교에 귀의하게 된다는 내용으로 , 과 같은 몽자류 소설의 효시에 해당한다.
 
연대 : 숙종 15년(1689) 남해 유배시(작가 53세)
갈래 : 국문소설, 염정(艶情)소설, 전기(傳奇)소설, 몽자류(夢字類)소설, 양반소설
배경 : 시간적 - 당나라 때, 공간적 - 중국 남악 형산의 연화봉과 중국 일대(꿈)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표현 (1) 꿈과 현실의 이중 구조를 취하고 있다.     (2) 관용적 표현과 유형적 문체의 사용이 두드러진다.     (3) 전기적 요소, 우연적 사건 전개로 비현실적인 작품 세계를 보여준다.
구성 : 이원적(二元的) 구성, 곧 액자소설(환몽세계 부분)
       현실세계(이상적 세계)→ 환몽세계(현실적 세계)→ 현실복귀(이상적 세계)
주제 : 인생무상의 깨달음과 불법에의 귀의표현상의 특징 : 구성은 복잡하나, 평면적인 구성법
전기성과 우연성의 남발, 인물이나 장면 묘사 부분은 비유를 사용, 한문을 번역한 듯한 문투가 엿보이고, 현실인 선계와 꿈인 인간계라는 공간에다 다시 꿈 속에서 현실 세계와 선계 또는 용왕계라는 복합구조를 가지고 있다.
2. 줄거리
PPT 영상으로 대체

3. 당시(조선시대)의 에 대한 반응
조선시대에 을 읽은 사람들의 생각은 어떠했을까? 다음은 도암(陶菴) 이재(李縡, 1680~1746)의 말이다.

이란 책은 서포가 지은 바이니 대개 공명부귀를 일장춘몽으로 돌려보냄으로써 대부인의 근심을 위로함이라. 그 책이 세상에 많이 돌아다니니, 내 어린 시절 익히 그 말을 들었다. 대개 석가의 말을 비유하여 뜻을 드러내었고 그 가운데에 초사(楚辭) 이소(離騷)의 분위기가 많더라.

그는 을 읽고 세상의 부귀영화가 한순간 꿈과 같이 허무한 것임을 느꼈다고 했다. 불교의 분위기와 굴원(屈原)이 지은 의 분위기를 느꼈다고 했다. 굴원은 중국 전국 시대 초나라의 정치가이자 시인인데 주위의 시기와 음모로 끝내 뜻을 펴지 못하고 불우하게 생을 마감한 사람이다. 그러한 심정이 에 표현되어 있다. 이 현실 세계의 영욕이 헛된 것임을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평생을 수절한 윤 씨 부인을 위로함을 물론이고, 정치적 곤경에 처한 서포 자신의 심사 또한 위로할 수 있었다는 말이다. 김만중(2007), 『앞의 책』, pp.240-241.

 
4. 의 문학사적 의의
1. 몽자류(夢字類)소설의 효시
2. 귀족문학과 평민문학의 교량- 소설이 국문으로 쓰여졌다는 점에서 평민들에게도 널리 읽힐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
3. 한글에 대한 사랑- 김만중은 한글을 사랑하는 작가였기에 을 한글로도 지었다. 그 결과 이 작품은 김만중의 어머니와 같이 여성들도 읽을 수 있었다. 주재우(2007), 『구운몽』, 계림, pp.103-105.


Ⅱ. 작품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