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음악]국악개론 레포트

 1  [전통음악]국악개론 레포트-1
 2  [전통음악]국악개론 레포트-2
 3  [전통음악]국악개론 레포트-3
 4  [전통음악]국악개론 레포트-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통음악]국악개론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환두·환입

향악화

정재

향당교주

고취악

중대엽

삭대엽

본문내용
향악화

고려 때 들어온 송나라의 사악이 조선 초기까지는 그대로 계승되었으나 성종 이후 보허자,낙양춘 등 당악곡이 가사를 상실한 채 향악의 연주법으로 바뀌었고 향당교주(향악기와 당악기의 혼성 편성연주)가 생겨서 당악의 향악화가 두드러졌다.

정재

옛날 우리나라 궁중무용을 정재라 한다. 왕실을 중심으로 나라의 경사·궁중연회·외국 사신을 위한 접견 등 각종 연회에서 추었다. 고대 아악(雅樂)에서 유래한 일무(佾舞), 중국에서 전래된 당악정재(唐樂呈才), 한국에서 제정된 향악정재(鄕樂呈才)로 구분되며 53종에 이른다.
정재는 「재주를 바친다」는 뜻으로 춤뿐 아니라 땅재주, 줄타기 등 모든 예술적 재능을 아우르던 것인데 차츰 궁중춤을 가리키는 말로 굳어졌다.

궁중무용의 특징은

1. 춤을 추는 처음과 끝에 춤의 내용을 노래로써 설명한다. 여기에는 창사(唱詞)·치어(致語)·구호(口號)가 있다.
2. 무복의 색깔과 춤 구성의 기본을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 등 동양사상에 기초를 두고 있다.
3. 반주되는 장단은 20박·16박·12박·6박·4박이 1장단이다.
4. 개인의 감정이나 개성적인 표현이 억제된다.

정재는 대궐 잔치에서 격식을 갖춰 추어졌다. 예컨대 외연(왕이 여는 잔치)은 1작에서 9작까지 순서에 따라 정재를 춘다. 1작은 왕세자가, 2작은 고관이, 3작은 여러 신하가 왕에게 잔을 올린다. 정재는 2작에서 왕의 분부가 내려진 다음 비로소 음악과 함께 시작돼 9작까지 그때그때 다른 춤을 행한다.

정재는 왕 앞에서 추기 때문에 고상하고 우아하면서 무겁고 예를 갖춘 동작, 그리고 절도 있으면서 화사한 춤사위로 되어있다. 대궐의 춤인 만큼 춤꾼의 옷차림과 무대 치장이 또한 화려하다. 음악으로는 보허자 낙양춘 영산회상 여민락 수제천 천년만세 등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