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 김정일의 등장과 북한사회의 변화

 1  [국제사회] 김정일의 등장과 북한사회의 변화-1
 2  [국제사회] 김정일의 등장과 북한사회의 변화-2
 3  [국제사회] 김정일의 등장과 북한사회의 변화-3
 4  [국제사회] 김정일의 등장과 북한사회의 변화-4
 5  [국제사회] 김정일의 등장과 북한사회의 변화-5
 6  [국제사회] 김정일의 등장과 북한사회의 변화-6
 7  [국제사회] 김정일의 등장과 북한사회의 변화-7
 8  [국제사회] 김정일의 등장과 북한사회의 변화-8
 9  [국제사회] 김정일의 등장과 북한사회의 변화-9
 10  [국제사회] 김정일의 등장과 북한사회의 변화-10
 11  [국제사회] 김정일의 등장과 북한사회의 변화-11
 12  [국제사회] 김정일의 등장과 북한사회의 변화-12
 13  [국제사회] 김정일의 등장과 북한사회의 변화-13
 14  [국제사회] 김정일의 등장과 북한사회의 변화-14
 15  [국제사회] 김정일의 등장과 북한사회의 변화-15
 16  [국제사회] 김정일의 등장과 북한사회의 변화-16
 17  [국제사회] 김정일의 등장과 북한사회의 변화-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사회] 김정일의 등장과 북한사회의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김정일은 누구인가?
후계체제성립
군장악과정.
연대별로 본 수령 후계구도
우리식 사회주의
체제유지론
유훈통치,광폭정치론
인덕정치론
붉은기 사상. 강성대국론
김정일 정치체제의 특성.
북한의 정치체제가 과열됨으로 인해 현 북한에 미치는 영향
김정일 체제의 변화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김정일은 누구인가?
1) 현 직
당 총비서, 국방위원회 위원장, 당 정치국 상무위원, 당 중앙군사위 위원장, 당 중앙 위 위원, 인민군 최고사령관, 원수, 최고인민회의 제11기 대의원

2) 출 생
1942.2.16 소련 하바로프스크 *북한은 백두산 밀영 출생 주장

3) 가족관계
아버지 김일성, 아들 김정남, 아들 김정철, 동생 김경희

4) 주요경력
1945.11 소련에서 귀환
1948.~50. 남산유치원
1949. 9 생모 김정숙 사망
1950.~52. 중국 길림학원(6.25 당시 자강도 장자산 피신 주장)
1952.11~53.만경대혁명학원
1953.~54. 삼석인민학교, 평양제4인민학교
1954.~57. 평양제1중학교(소년단위원장)
1957.~60.7 남산고급중학교(민청부위원장)
1960. 9 ~64. 3 김일성종합대학 정치경제학과
1964. 6 당 조직지도부 지도원
1966. 호위총국 근무
1967. 당 선전선동부 과장
1970. 9 당 선전선동부 부부장
1972.10 당 중앙위 위원




1973. 7 당 중앙위 선전선동부 부장
1973. 9 당 중앙위 비서(조직 및 선전담당) 겸 조직지도부 부장,
3대혁명소조운동 총책 임자(제5기 7차 당 중앙위 전원회의)
1974. 2 당 정치위 위원(1974년부터 “친애하는 동지”, “당중앙”으로 호칭),
후계자 확정
1975. 2 공화국영웅 칭호 수훈
1980.10 당 중앙위 위원, 정치국 위원, 정치국 상무위원, 비서국 비서,
당 중앙군사위 위원
1982. 2 최고인민회의 제7기 대의원(황북 송림)
1986.11 최고인민회의 제8기 대의원(함남 용성)
1990. 4 최고인민회의 제9기 대의원(함북 무산)
1990. 5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1991.12 인민군 최고사령관(제6기 19차 당중앙위 전원회의)
1992. 4 원수
1993. 4 국방위 위원장 추대(최고인민회의 제9기 5차회의)
1997.10 당 총비서 추대(당 중앙위와 당 중앙군사위 공동명의)
1998. 7 최고인민회의 제10기 대의원(666선거구)
1998. 9 국방위원장 재추대(최고인민회의 제10기 1차회의)
2003. 9 최고인민회의 제11기 대의원(649선거구)
2003. 9 국방위원장 재추대(최고인민회의 제11기 1차회의)
연도미상 당 중앙군사위 위원장(’04년 확인)


후계체제성립

1) 제6차 당 대회 이후 당의 지도체제가 김정일 중심으로 개편
- 주요 대외문제를 제외한 대부분의 대내정책을 수행하는 실질적인 통치권 을 행사하고 후계자의 역할을 수행

2) 1981년 5월 김일성을 수행하여 묘향산지구 개발공사 현장을 시작으로 주요 산업·건설 현장을 ‘실무지도’형식으로 시찰, 각종 지시를 하달하였다.

3) 1982년 3월 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주체사상을 심화, 발전시키는 한편, 80년대 속도창조운동, 숨은 영웅들의 모범을 따라 배우는 운동, 전당의 주체사상 화, 준법기풍 앙양, 8·3 인민소비품 생산운동(1984) 등을 주도하였다.

4) 김일성은 1986년 5월 31일 김일성 고급당학교 창립 40돌에 즈음하여 집필한 강의록『조 선로동당건설의 역사적 경험』을 통해 후계자 문제는“정치적 수령의 지위와 역할을 계 승하는 문제”라고 규정하는 한편, “우리 당에서는 혁명위업의 계승문제가 만족스럽게 해결되었다"고 언급하여 김정일 후계체제의 성립을 공식적으로 선언하였다.

참고문헌
강성윤 外 『북한정치의 이해』 (을유문화사, 2001)


▣ 정순원 外 , 『김정일 시대의 북한 정치 경제』
(을유문화사, 1999)


▣ 박형중. 『김정일 시대 북한 정치 체제』,
통일연구원 (민족통일연구원), 2004


▣ 통일부 http://www.unikore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