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사] 공식항의의 한계: 뻬뜨로그라드와 모스끄바의 노동자(행동주의와 사회적 양극화 - 1917년 3월~ 10월)

 1  [러시아사] 공식항의의 한계: 뻬뜨로그라드와 모스끄바의 노동자(행동주의와 사회적 양극화 - 1917년 3월~ 10월)-1
 2  [러시아사] 공식항의의 한계: 뻬뜨로그라드와 모스끄바의 노동자(행동주의와 사회적 양극화 - 1917년 3월~ 10월)-2
 3  [러시아사] 공식항의의 한계: 뻬뜨로그라드와 모스끄바의 노동자(행동주의와 사회적 양극화 - 1917년 3월~ 10월)-3
 4  [러시아사] 공식항의의 한계: 뻬뜨로그라드와 모스끄바의 노동자(행동주의와 사회적 양극화 - 1917년 3월~ 10월)-4
 5  [러시아사] 공식항의의 한계: 뻬뜨로그라드와 모스끄바의 노동자(행동주의와 사회적 양극화 - 1917년 3월~ 10월)-5
 6  [러시아사] 공식항의의 한계: 뻬뜨로그라드와 모스끄바의 노동자(행동주의와 사회적 양극화 - 1917년 3월~ 10월)-6
 7  [러시아사] 공식항의의 한계: 뻬뜨로그라드와 모스끄바의 노동자(행동주의와 사회적 양극화 - 1917년 3월~ 10월)-7
 8  [러시아사] 공식항의의 한계: 뻬뜨로그라드와 모스끄바의 노동자(행동주의와 사회적 양극화 - 1917년 3월~ 10월)-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러시아사] 공식항의의 한계: 뻬뜨로그라드와 모스끄바의 노동자(행동주의와 사회적 양극화 - 1917년 3월~ 10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개괄 - 러시아의 ‘사회적 양극화’의 특징과 행동주의와의 관계
Ⅲ. 행동주의의 형성과 발현
1) 노동자들의 항의 형태
2) 사용자들의 행동
Ⅳ. 양극화의 강화
1) 1917년 초기 노동자들의 행동과 특징
2) 1917년 초기 사용자들의 행동과 특징
Ⅴ. 점차 정치 투쟁으로 변화하는 노동자 투쟁
Ⅵ. 극단으로 치닫는 양극화
Ⅶ. 맺음말
본문내용
레오플드 헤임슨은 러시아의 도시사회가 전쟁 전야에 이미 “특권”층과 “비특권”층으로 양극화 되어 있었고 사회적 심연의 양측 모두 이를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전쟁 전에 러시아에 나타났던 양극화된 세력 배열이 반드시 안정된 것은 아니었는데, 예를 들면 전쟁이 터진 후 사회적 정치적 갈등을 완화시킨 애국주의적이고 민족주의적인 참여가 있었다든지, 도시경제와 농촌경제 사이에 상호 의존이 늘어났다든지, 도시사회와 농촌사회 사이에 광범한 사회적 상호작용이 있었다든지 하는 것이 그것이다.
1917년 러시아의 양극화에 관련된 사회적 과정들은 면밀히 검토될 필요가 있는데, 당시 산업가들과 노동자들은 서로 비난을 퍼부으면서도 2월 이후 생산을 유지하는 데 공통의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이것은 굽힐 줄 모르는 적대감과 동시에 그런 심원한 사회적 갈등을 중재할 필요성도 가지게 했다는 복잡성 때문이다. 이는 3월 초에 임시정부와 소비예뜨들이 동시에 형성되면서 권력이 나누어짐과 동시에 협상을 통한 내전을 모면할 기회도 가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양극화’라고 할 때 논문에서는 서로 다투는 권력 블록들의 출현뿐만 아니라 심적 상태도 언급하고 있는데, 상업 및 산업 무대에서 서로 다투고 서로 양립 불가능한 일군의 가치와 서로 다른 ‘소유’ 개념들이 발전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 사회적 가치는 말보다는 흔히 행동으로 표출되었고 이것은 새로운 사회를 형성해야 하는 과제를 훨씬 더 어렵게 만들었다. 따라서 행동주의는 혁명적 담화의 목록에서 중심적 자리를 차지했던 것이다.
특히 노동자 행동주의는 정치투쟁의 경계들을 창출하였고 또 끊임없이 재창출하면서 규범과 가치를 규정하는 한편, 새로운 질서의 정치적, 사회 경제적 제도들의 자리를 잡아주었고, 때문에 러시아의 대두하는 도시사회 혁명요소들을 가장 상세히 살펴볼 수 있게 해준다.
1917년에 가장 뚜렷한 노동자 행동주의는 형태는 ‘파업’으로서, 이 항의형태는 짜르 정부가 주의를 기울인 탓에 혁명 이전부터 막대한 정치적 의의를 지녔을 정도로 러시아 노동운동에서 중심적이고 전통적인 역할을 차지해왔었다.
그러나 파업은 노동자 행동주의를 보여주는 단 하나의 지수에 지나지 않는다. 다른 형태의 활동들이 때때로 위험을 덜 감수하면서도 노동자들의 목표를 이루어줄 수 있었기 때문에, 1917년의 러시아 노동자들이 공장 안팎에서 갖가지 행동으로 혁명적 해결의 몫을 차지하려고 다투었으며, 사실상 이 모든 것이 직접, 간접으로 노사관계에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