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 신라 금관에 관한 고찰

 1  [역사학] 신라 금관에 관한 고찰-1
 2  [역사학] 신라 금관에 관한 고찰-2
 3  [역사학] 신라 금관에 관한 고찰-3
 4  [역사학] 신라 금관에 관한 고찰-4
 5  [역사학] 신라 금관에 관한 고찰-5
 6  [역사학] 신라 금관에 관한 고찰-6
 7  [역사학] 신라 금관에 관한 고찰-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역사학] 신라 금관에 관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금관에 대한 간단한 정리
Ⅲ. 신라 금관과 적석목곽분
Ⅳ. 결 론
본문내용
1. 서론
신라는 한국 고대사에 있어서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는 왕조라고 생각한다. 우선 삼국 시대를 종결시킨 왕조이며, 그것은 신라가 처음에 약소국으로 시작해 그런 대업을 일으켰기에 더욱 대단해 보이게 한다. 그리고 그런 대업을 완성한 신라에 있어서 금관이라는 것은 빼 놓을 수 없는 요소라고 생각한다.
그럼 삼국 시대에 신라 이외의 왕조에서 금관을 사용했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신당서』에 이르기를 “고구려왕은 오색 옷을 입고 흰 비단으로 만든 관을 쓰며 가죽띠에는 모두 금테를 두른다.”고 하고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만한 사료가 남아 있다. 현재 왕릉급 무덤으로 추정되는 안악3호분을 보면 그 묘주인이 왕만이 쓸 수 있는 백라관을 쓰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벽화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분명히 왕관의 테두리에 금색으로 띠를 둘렀을 뿐 금관은 사용하지 않았음을 알 수가 있다.
그러면 백제는 어떠했을지 한번 살펴보자. 『구당서』에 이르기를 “백제왕은 검은 비단관에 금꽃으로 장식한다.”라고 나와 있다. 백제의 경우 고구려와 달리 남아 있는 벽화 고분이 없기에 확실하게 뒷받침할 만한 사료가 없지만 구당서가 만들어진 당시에 백제에서 금관을 쓰지 않았다면 그 이전이나 그 이후에도 쓰였을 가능성은 적다고 생각한다.
그럼 왜 신라에서만 유독 금관이 쓰였던 것인지에 대해 한번 의문을 가져볼만 하다. 그리고 한반도 동남쪽 귀퉁이에 자리잡았던 신라가 언제 어떤 이유로 해서 당시 가장 화려했던 금관 문화를 꽃피울 수 있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동시대의 고구려와 백제에서는 신라와 같은 화려한 금관 문화를 찾아 볼 수가 없다. 신라에서처럼 금관이 발견되거나 적석목곽분이 발견되는 경우도 없으며 화려한 금은 세공품이 많이 발견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따라서 신라의 금관 문화는 문화 전파의 측면에서는 이해할 수가 있다고 생각된다. 현재 신라와 아주 흡사한 금관 문화를 우리는 중앙아시아의 과거 스키타이 문화권에서 찾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중앙아시아와 한반도의 경상도가 금관 문화라는 매개체를 가지고 하나로 연결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 이런 현상이 왜, 어떻게 일어난 것일까? 어떻게 그 먼 중앙아시아의 문화가 중국, 고구려, 백제 문화권을 뛰어넘어 신라의 문화권으로 들어와 독창적으로 변할 수가 있었던 것일까? 문화가 이식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사람이 직접 가서 사는 방법이다. 흔히 말하는 ‘사람을 심은 땅’이라는 식민지의 개념이 이런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문화 전파가 아니라면 사람이 직접 가서 사는 것으로서 우리는 신라 문화권에만 이런 금관 문화가 등장하는 것을 설명할 수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참고자료

로마문화왕국, 신라 / 요시미즈 츠네오 / 씨앗을 뿌리는 사람 / 2002
우리 금관의 역사를 밝힌다 / 박선희 / 지식산업사 / 2008
금관의 비밀 / 김병모 / 푸른 역사 / 199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