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

 1  [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1
 2  [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2
 3  [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3
 4  [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4
 5  [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5
 6  [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6
 7  [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7
 8  [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8
 9  [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9
 10  [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10
 11  [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11
 12  [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12
 13  [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13
 14  [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14
 15  [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15
 16  [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16
 17  [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17
 18  [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18
 19  [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화와 철학] 영화 밀양 -인간과 신, 구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ⅰ. “비밀의 햇빛”을 쬐며
ⅱ. 사람 이창동과 영화
① Filmography
② 이창동과 그의 영화
③ 이창동 감독의 영화 스타일
④ 영화소개
ⅲ. 원작 故 이청준의 「벌레 이야기」
Ⅱ. 본론
ⅰ. 네러티브 분석
① 새로운 곳에서의 생활
② 아들의 유괴와 점차 나약해져가는 신애의 모습
③ 아들의 죽음
④ 교회에 가게 됨
⑤ 교회에서 하나님을 느낀 이후로 변한 신애의 모습
⑥ 교도소에 범인을 용서하러 찾아감
⑦ 절대자에 대한 분노
⑧ 마지막
ⅱ. 주요장면 분석
① 첫장면과 끝장면
② 조력자 ‘김종찬’
③ 신애의 인간적 본성
④ 이신애의 집
ⅲ. 을 읽어가는 다양한 키워드
①신정론
② 이방인, 혹은 경계에 선 사람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ⅰ. “비밀의 햇빛”을 쬐며
이창동 감독의 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상당히 언급하기 까다로운 대상인 기독교와 유일신이 하나님에 대해, 그리고 땅에 발을 붙이고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과 그들의 상처와 치유에 대해 말하고 있는 이 영화를 분석하는 작업은 쉽지 않았다. 무엇보다도 영화를 보는 내내 그 진지한 분위기에 압도당하는 것만 같았고, 뒷맛이 개운하지도 않았다. 이 개운하지 않는 뒷맛을 파헤치고, 영화라는 한 편의 텍스트가 지닌 다양한 의미를 확인해보고 싶어서 우리는 이 영화를 선택하고 분석했다.

ⅱ. 사람 이창동과 영화
① Filmography
1954년 대구 출생.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를 졸업하고 1981부터 고등학교 국어교사로 학생들을 가르쳤다. 198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중편소설 부문에 당선되어 등단, 이후 1987년 이상문학상 추천우수상, 1992년 한국일보 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1993년 박광수 감독의 의 시나리오와 조감독을 맡고서 비교적 뒤늦게 영화로 뛰어들었다. 1996년 명계남, 문성근, 여균동 등과 함께 이스트필름을 설립, 1997년에 를 통해 감독으로 데뷔했다. 2002년에 로 제59회 베니스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했으며, 2003년부터는 문화부장관을 역임하기도 했다.
감독을 맡은 작품은 본 분석의 텍스트인 을 비롯 가 있다. 문화부장관을 역임하는 도중에는 직접 촬영을 진두지휘하지는 않았지만, 의 제작을 맡기도 했으며,과 의 각본을 담당하기도 했다.

② 이창동과 그의 영화
이창동의 영화 세계는 한국 영화 역사의 오랜 화두였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이 맨 얼굴로 서로 부딪치는 격전장이다. 이창동 본인은 리얼리즘적 태도를 대중적 화술과 조화시키려는 것이 자신의 영화 세계라고 말하지만 과 등의 그의 영화에서 현실을 재현해 보여주려는 그의 태도는 관객의 반응을 섬세하게 고려해 '과연 영화를 보는 것은 무슨 의미'인지를 집요하게 묻는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다. 이창동은 잘 알려진 대로 소설가 출신이며 그의 모든 영화는 상징적 의미가 정연한 논리 체계로 완벽하게 짜인 폐쇄적 소우주다. 그의 영화에서의 공간과 사물은 어느 것도 무심히 존재하는 법이 없다. 이미 의미론적으로 꽉 채워진 세계에 주인공은 던져져 있으며 그 세계에서 이창동은 삶의 구체적인 꼴을 그리는 자기만의 내기를 건다.
일산과 영등포를 통해 현재와 과거의 한국 사회에서 잃어버렸고 잃어가고 있는 가치를 담아내려 한 데뷔작 이후 을 통해 이창동은 본격적으로 현실과 영화 형식에 대한 자의식을 드러낸다. 의 주인공 영호는 광주에 계엄군으로 투입되고 독재 정권 시절의 대공분실에서 일하며, 가구점을 운영하는 천민 자본가로 증권에 투자했다가 신세를 망치는, 한국 현대사의 이런저런 현장에 늘 가까이 있던 인물이다. 그는 그 대가로 인간성의 파멸이라는 천형을 받는다. 그를 구원하는 것은 세상이 아니라 시간을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 영화의 플롯이다. 역순 구조의 플롯을 통해 이 인물은 역사적 인과 관계의 희생자라는 천형에서 가까스로 벗어난다. 세번째 영화 에서 이창동은 꽉 짜인 의미론적 세계에 불행한 남녀의 사랑을 던져놓고 들고 찍기로 일관하는 느슨한 카메라로 이들의 사랑을 지켜보는 관객의 시선의 정체를 거꾸로 되묻고 있다. 잔인하지만 동시에 통렬한 이 방식을 통해 그는 영화감독으로서의 자신의 정체를 드러냈다.


③ 이창동 감독의 영화 스타일

▴ 이창동 감독, 그의 영화는 ‘리얼리즘(사실주의)’ 에 근거하고 있다.

▴ 영화제목
이창동 감독 그만의 스타일을 나타내는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제목이다. 그가 연출한 영화 에는 항상 제목으로 쓰인 사물들이 자주 등장한다. 에서 나오는 남자 주인공과 첫사랑의 연결 매개체인 박하사탕, 에서의 남자와 여자의 매개체인 오아시스가 그려진 그림, 에서의 여자와 남자의 매개체인 밀양 그리고 그 비밀의 햇볕이 그 예라 할수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