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회] 북중관계

 1  [정치사회] 북중관계-1
 2  [정치사회] 북중관계-2
 3  [정치사회] 북중관계-3
 4  [정치사회] 북중관계-4
 5  [정치사회] 북중관계-5
 6  [정치사회] 북중관계-6
 7  [정치사회] 북중관계-7
 8  [정치사회] 북중관계-8
 9  [정치사회] 북중관계-9
 10  [정치사회] 북중관계-10
 11  [정치사회] 북중관계-11
 12  [정치사회] 북중관계-12
 13  [정치사회] 북중관계-13
 14  [정치사회] 북중관계-14
 15  [정치사회] 북중관계-15
 16  [정치사회] 북중관계-16
 17  [정치사회] 북중관계-17
 18  [정치사회] 북중관계-18
 19  [정치사회] 북중관계-19
 20  [정치사회] 북중관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치사회] 북중관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 서론

2. 냉전시기의 북중관계

3. 냉전시기의 북중관계

4. 탈냉전시기의 북중관계

5 북중관계의 미래

6. 결론
본문내용
문제제기 및 문제방향

북한의 현상황 파악

북.중의 관계변화에 대한
의문점

시기별 북중관계의 변화

냉전이전 시기의 북중관계

항일 투쟁시기의 북중관계
국공내전 시기의 북중관계


냉전시기의 북중관계

한국전쟁 시기의 북중관계
중소분쟁 시기의 북한관계
문화혁명 시기의 북중관계


탈냉전 시기의 북중관계

1. 탈냉전 초기 우호관계 유지
2. 한.중수교와 북중관계의 냉각
3. 북중관계 회복과 전략적 협력 관계로의 이행

북중관계의 미래

1.현재의 북중관계
2.북중관계의 재정립과 동북 아 평화

1. 항일 투쟁시기의 북 중관계

 1)군사교류
● 배경
1931년 9월에 만주사변이 발발하자 중공 중앙은 만주성위원회에 항일 유격대의 창설을 지시하였고,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은 중국인 공산주의자들과 연합해 투쟁하였다.
● 교류&항일투쟁
 1939년부터 전개된 일제의 대토벌에 직면해 만주 전역의 유격대원들은 치명적인 타격을 입기 시작했다. 이에 소련군과 항일유격대 지도자들은 1940년 3월 하바로프스크에서 회의를 갖고 항일유격대의 소련 국경 내로의 이동에 합의했다.
그런데 소련으로 이동해 간 항일유격대에게 소련극동군은 여단체제를 갖출 것을 요구했다. 이에 항일유격대는 북야영에 모여, 망명부대로서 동북항일연군교도려, 일명 88여단을 결성했다.


2)조선인 항일무장 세력의 진로 변경
● 8•15를 전후해서 벌어진 중•소조약 체결은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의 진로에 커다란 영항을 미쳤다. .

● 소련이 공산당 부대인 88여단의 대일전 참전을 막았던것이 8•15 전후 시기 조선인 항일유격대와 조선의용군의 움직임을 규정한 새로운 요인이 되었다.

● “부대를 이끌고 8로군 및 동북군 각 부대와 함께 동북으로 진격해서 적을 소멸하고, 동북의 조선인민을 조직해 조선해방을 성취하라”라는 임무를 명령받은 조선의용군 선발대 450명은 심양에 입성, 신의주로 들어갔다.
그러나 소련군이 거부하여 다시 심양으로 돌아 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