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위기와 6자회담(중국과 북한관계)

 1  북핵위기와 6자회담(중국과 북한관계)-1
 2  북핵위기와 6자회담(중국과 북한관계)-2
 3  북핵위기와 6자회담(중국과 북한관계)-3
 4  북핵위기와 6자회담(중국과 북한관계)-4
 5  북핵위기와 6자회담(중국과 북한관계)-5
 6  북핵위기와 6자회담(중국과 북한관계)-6
 7  북핵위기와 6자회담(중국과 북한관계)-7
 8  북핵위기와 6자회담(중국과 북한관계)-8
 9  북핵위기와 6자회담(중국과 북한관계)-9
 10  북핵위기와 6자회담(중국과 북한관계)-10
 11  북핵위기와 6자회담(중국과 북한관계)-11
 12  북핵위기와 6자회담(중국과 북한관계)-12
 13  북핵위기와 6자회담(중국과 북한관계)-13
 14  북핵위기와 6자회담(중국과 북한관계)-14
 15  북핵위기와 6자회담(중국과 북한관계)-15
 16  북핵위기와 6자회담(중국과 북한관계)-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핵위기와 6자회담(중국과 북한관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북핵 위기


1) 북핵 위기의 발발 배경

2) 1차 북핵 위기의 전개와 중국의 입장

3) 2차 북핵 위기의 전개과정과 중국의 입장


2. 6자회담


1) 3자 회담

2) 6자회담 경과와 내용

3) 6자회담에서 중국의 역할

4) 북한의 요구 정리 및 진행과정 예상


3. 중북관계와 전망

1) 중국과 북한의 관계

2) 중북관계의 전망 및 발전방향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중국과 북한의 관계를 혈맹이라고 표현한다. 중국과 북한의 관계가 일반 국가 간의 동맹 그 이상이라는 것이다. 한국전쟁 당시 중국공산당은 40만 명이 넘는 전사자를 내면서도 북한을 도왔다. 당시 북한군 전사자가 20만 명을 조금 웃돌았던 것을 감안한다면 북중 관계에 대한 이해가 더욱 쉬워진다. 전쟁 이후에도 사회주의 형제국가의 단결과 의리를 과시해 온 것이 바로 중국과 북한이다.
중국의 대북정책의 오랜 전통은 기조정책(忌朝政策)이다. 말 그대로 북한을 되도록 기피함으로써 중국이 북한 문제와 연관되지 않게 하려는 정책이다. 외국 언론들은 중국의 기조정책에 대해 북한을 통해 미국, 한국, 일본과의 외교 전략에서 주도권을 잡으려는 의도라고 하지만 동시에 기조정책의 근저에는 북한을 비판하는 것이 곧 중국 자신의 가까운 과거를 비판하고 부정하는 것과 같아 상당한 내부적 위험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인 측면도 있다. 다시 말해서 김정일이 30년 전 마오쩌둥 시대와 많이 닮아 북한을 부정하는 것이 중국 자신에 대한 부정으로 이어질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중국이 북한에 대해 기조정책을 유지하는 것은 언제까지 가능할 것인가? 이제는 중국 스스로 원하지 않더라도 북한에 대해 공개적으로 입장을 취하고 말해야 될 시기에 접어들었다고 봐야 한다. 2006년 7월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시작으로 10월에는 세계가 우려했던 핵 실험을 강행하면서 북한은 교활하고 강력한 외교 수완으로 중국을 휘둘렀고 중국의 체면은 형편없이 땅에 떨어졌다.
이처럼 최근에 벌어진 북중관계의 상황을 봐서는 더 이상 중국과 북한이 혈맹이라 불리기는 힘들 것 같다는 생각도 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중국은 북한에 막대한 무상원조와 지원을 하고 있다. 중국인 대다수는 여전히 북중관계를 바라볼 때 혈맹이라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중국의 정치인들, 특히 실무 외교 현장에 있는 젊은 관료들을 중심으로 중국의 짝사랑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고 있으며 북한의 행태에 대한 반감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계동.2002.북한의 외교정책.
김관봉.1995.NPT와 북한 핵.
김순수.2006.중국의 對북한 군사협력.
문흥호.2006.중국의 대외전략과 한반도.
박건영․정욱식.2007.북핵,그리고 그후.
이영주.1998.중국의 신외교전략과 한중관계:등소평의 평화와 발전론.
이종석.2000.북한-중국관계:1945~2000.서울:중심.
김재관.2005.“2차 북핵위기 이후 북중 관계의 근본적 변화에 관한연구-경제/군사안보 영역의 최근 변화를 중심으로.” 동아연구 제 52호.
2006.“중국의 북핵 문제 인식과 중북관계의 변화.”중국학연구제 35집.
김태운.2006.“2차 북핵 위기와 북한의 다자회담 수용 배경.” 동북아연구 제 21권 1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