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국어학개론 - 경어법

 1  [국문] 국어학개론 - 경어법-1
 2  [국문] 국어학개론 - 경어법-2
 3  [국문] 국어학개론 - 경어법-3
 4  [국문] 국어학개론 - 경어법-4
 5  [국문] 국어학개론 - 경어법-5
 6  [국문] 국어학개론 - 경어법-6
 7  [국문] 국어학개론 - 경어법-7
 8  [국문] 국어학개론 - 경어법-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 국어학개론 - 경어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目 次

1. 敬語法

2. 敬語法의 體系

3. 主體

3.1. 주체경어법 표시의 形態素

3.2. 주체경어법의 對象

3.3. 對比의 對象

3.4. 주체경어법에 따르는 형태상의 특징

4. 聽者

4.1. 아주높임

4.2. 예사높임

4.3. 두루높임

4.4. 예사높임

4.5. 아주낮춤

4.6. 두루낮춤

본문내용
1. 敬語法

國語의 경어법이 하나의 문법현상으로서 인식의 대상이 된 겄은 Ride(1881)에 까지 거슬러 올라 간다. 그후 Underwood(1890)와 Eckarth(1923)을 통하여 더 다듬어 지긴 하였으나 즈체를 놑이고 상대방을 높이거나 낮추는 현대어의 경어법의 질서는 어느정도 파악될수 있었다. 이러한 영구 결과와 우리 문법가들의 이 방면의 성과가 집약된것은 최현배이다.

그런데 경어법이 문법서를 떠나서 본격적인 연구의 대상이 된것은 현대어보다 중세어인 것이다. 중세어에는 오늘날은 잘 쓰이지는 않는 기능이 독특한 형태가 있어서 小倉進平이래 많은 학자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힘을 기울여 왔고 그 구체적 성과가 나타났다고 할수있다.

敬語法이란 어떤 대상을 언어적으로 어떻게 대우하느냐 하는 기준 또는 규칙을 말한다. 우리는 상대방을 높여서 대우하기도 하고, 친숙한 친구로 대우하기도 한다. 어떤 언어든지 이러한 敬語法(deference system)이 있는데 서양에서는 대체로 상대방을 존경의 대상으로 여기느냐 혹은 친숙한 대상으로 여기느냐 또는 거리가 먼 대상으로 여기느냐로 大分한다.
또한 영어를 비롯한 대부분의 서구어들은 존경의 대상과 疏遠한 대상이 동등한 언어적 대우를 받고, 비존경의 대상과 친숙한 대상이 또한 동등한 언어적 대우를 받는다.

영어 호칭의 경우 사회적 ‘지위 + 姓’은 존경의 대상에게 , 이름은(first name)은 비존경의 대상과 친숙한 대상에게 쓴다. 그리고 3인칭에 대해서는 존경, 비존경 구별없이 남녀만 구별하여 ‘he’, ‘she’와 같은 대명사를 쓰면 된다. 2인칭에는 물론 ‘you’만 쓰면된다.

그러나 韓國語나 日本語의 경우는 그처럼 단순하지 못하고 훨씬 더 복잡한 경어체계를 이루고 있다. 특히, 한국어는 그 유례를 찿아보기 힘들 정도로 참으로 복잡한 경어 체계를 이루어 있어서 국어의 개별성을 나타내 주는 대표적인 국어현상 중의 하나라고 할 만하다.



2. 敬語法의 體系

國語에는 경어법이 복잡하면서도 엄격하게 발달되어 있다. 이 경어법의 체계는 言衆의 言語生活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에 그들이 잘 인식하고 있는 文法事項의 하나이기도 하다.

敬語法은 ‘話者’, ‘聽者’, ‘第三者’의 人間關係에서 성립한다. 대체로 화자를 기준으로 해서 청자나 제삼자를 높일 것인가 아니면 낯출 것인가에 따라 대우의 정도가 달라진다. 청자나 제삼자를 높여서 대우 할 때는 화자권의 인물은 낮추며, 반대로 청자나 제삼자를 하대할 때는 화자권의 인물은 높인다.

敬語法은 ‘나를’, ‘저를’, ‘-이를’, ‘-께서’와 같이 어휘론적 방법에 의해 표현하기도 하지만 ‘-ㅂ니다’나 ‘-지-’와 같은 굴정접사에 의존하여 표현하는게 주된 방법이다.

敬語法은 대우하는 대상에 따라 主體敬語法, 客體敬語法, 聽者敬語法으로 나눈다. 주체경어법은 행위의 주체를 높이는 것으로서 존경의 선어말어미 ‘-시-’에 의해 표현하며, 객체경어법은 제삼자인 객체를 높이는 것으로서 한정된 용언에 의해 표현한다. 청자경어법은 문면에 드러나지 않는 청자를 높이는 것으로서 용언의 종결어미 ‘-ㅂ니다’에 의해 표현한다. 이 청자경어법은 화자의 의도에 따라 여러가지 등급이 있다. 요컨대 어떤 대상에 대한 대우눈 전적으로 화자의 의도에 의존하며, 대상의 의도와는 거의 무관심이 그 특징이다.



3. 主體

主體敬語法은 행동의 주체를 언어적으로 대우하여 표현하는 방법이다. 주체경어법의 대우는 尊待와 下待의 이분체계로 되어 있다. 행동주체를 존대할때는 그 서술에 존대소 ‘-시-’를 첨가해서 표현하고, 하대할 때는 특정한 존대소의 첨가 없이 표현한다. 이 경어법에서 평대냐 하대냐의구분이 문제되지 않는 것도 이 하대의 無慓性에 연유한다.

3.1. 주체경어법 표시의 形態素

主體敬語法은 한문장의 주어를 어떻게 언어적으로 대접하여 표현하느냐 하는 경어법이며, 이는 그 대상을 높여 대접하느냐 않느냐로만 구분되는 二分 體系의 경어법이다. 높여 대접하지 않을 때는 어 떤 특정한 形態素의 첨가없이, 즉 無慓로 표현되며, 높여 대접할 때만 敍述語의 語幹에 主體尊待 표시의 先語末語尾 ‘-시-’를 첨가하여 표현한다. 즉, 여기서는 [+존대]냐 [-존대]냐만이 중요하며, 平待냐 下待의 구분은 문제되지 않는다.

3.2. 주체경어법의 對象

‘-시-’에 의하여 존대를 받는 대상은 사람임이 원칙이다.
농부에게 소가 아무리 소중하고, 조국을 잃었던 국민에게 태극기가 아무리 敬拜의 대상이 된다고 할지라도 다음과 같이 말하지는 않는다.

우리 소는 참 부지런하시다.
태극기가 감격스럽게 휘날리시고 있다.

가끔 ‘비가 오신다’고 하는 수가 있으나 이는 비를 擬人化하여 말하는 특수한 용법이며, 하느님은 대체로 ‘-시-’로써 존재를 받는데 이도 하느님을 전지 전능한 인간으로 인식하기 때문일 것이다.

3.3. 對比의 對象

어떤 사람을 존대하느냐 않느냐의 비교 대상이 되는 인물은 원칙적으로 話者다. 화자가 자기와 대비하여 어떤 사람이 높여 대접해야 할 사람이라고 판단하면 이를 言語에 반영하여 ‘-시-’로써 존대 하는 것이다. 이때 높이느냐 않느냐의 판단 기즌은 나이나 사회 신분 등이다. 화자가 주체의 나이가 자기보다 위라든가, 나이가 위가 아니지만 자기 상사라든거 하면, 그 주체를 ‘-시-’로써 높여 존대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참 고 문 헌

국어문법론 학연사 이익섭, 남기심 공저 1983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남기심, 고영근 공저 1985
우리말형태론 탑출판사 김석득 1992
국어문법의연구 탑출판사 고영근 1990
한국어통사론 민음사 권재일 1992
국어학 샘문화사 허 웅 1993
지상강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이익섭 1995
국어 문법론 yj학사고시 이인섭 1993
한국경어법연구 집문당 김종훈 1984
국어문법론 학연사 이익섭, 임홍빈 1992
바른말바른글 을지출판공사 하희주 199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