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

 1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1
 2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2
 3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3
 4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4
 5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5
 6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6
 7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7
 8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8
 9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9
 10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10
 11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11
 12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12
 13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13
 14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14
 15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15
 16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16
 17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17
 18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18
 19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19
 20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사] 국어사(중세국어) 핵심정리 서브노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알타이어의 특징

2. 중세 국어의 언어사적 특징

3. 국어사의 시대 구분문제

4. 국어사 연구 방법

5. 향약구급방과 계림유사

6. 전기 중세 국어의 자료

7. 전기 중세 국어의 모음 체계, 순경음

8. 전기 중세 국어의 자음 체계

9. 중세 국어 모음 자료 15C와 16C 분류

10. 훈민정음의 체계

11. 후기 중세 국어의 자음 체계
(1) 유무성의 대립
(2) 된소리 체계
(3) 유성 마찰음 음가의 소실과정

12. 어두자음군

13. 종성체계

14. 음절말 모음간 자음에 관한 규칙

15. 모음체계
(1) 2중모음
(2) 모음조화

16. 명사 합성

17. 동사 합성

18. 명사 파생

19. 동사 파생

20. 상태 동사

21. 파생 부사

22. 곡용

23. 활용

24. 계사의 활용

25. 후치사
본문내용
3. 국어사의 시대 구분문제

국어사의 시대 구분을 하면 크게 상고, 고대, 중세, 근대, 현대 국어로 각각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대 구분을 하는데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이 몇 가지 있다.
첫째는 시대 구분이 언어 연구에 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왕조의 교체나, 커다란 전란 혹은 그 밖의 제 역사, 정치, 사회적 변화에 의해 국어의 시대 구분을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국어사의 시대 구분은 언어 체계에 있어서의 어떠한 변화에 집중하고, 그 변화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다. 역사적, 사회적, 정치적 사건들과 우연히 언어의 변화가 일치할 수 있으나, 그것은 진짜로 우연인 것이다. 그러한 사건들은 실제로 '음성언어'의 실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언어라는 것이 그러한 역사적 사건에 좌지우지되거나, 어떤 한 사람의 힘으로 변화되는 그러한 것은 아니다. 두 번째로는 언어사와 문자사의 혼동이다. 국어사는 '언어의 역사'이지 '문자의 역사'는 아니다. 그러나, 언어가 지닌 시간적 공간적 제한과 일회성이라는 한계에 의해 현재 우리가 연구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남겨진 문헌 자료를 통해서이지만, 그 연구의 목적이 '음성 언어'의 연구이므로 문자사와 혼동하여 음성언어가 곧 문자인 것처럼 생각하고 문자 체계의 변화가 곧 음성언어의 변화로 보고, 문자 체계의 변화로 시대를 구분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이러한 주의를 통해 국어사의 시대구분을 세분하여 보자.
우리나라 말은 계통론적으로 볼 때 Altai 어족에 속하나, 알타이어족의 여러 언어들과 비교하여 볼 때 우리나라 말은 Altai 조어 중에서도 가정 먼저 분화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이 시대에는 어떠한 연구의 자료가 없으므로 재구와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나서 기원전 2C경 우리나라에 한자가 들어오면서 부분적인 언어의 문자화, 기호화를 수행하게 되고, 이 시기부터 국어의 실질적인 시대구분이 가능하게 된다. 이 시기에는 북부 부여어 계통과 남부 한족어 계통이 존재했던 것으로 보여지며, 그 시기 이후 북부는 고구려어로 남부는 신라와 백제어로 2계통을 유지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리고 7C 신라의 삼국 통일로 한반도의 언어의 중심이 경주 지역을 중심으로 한 언어로 점차 형성하여 간다. 따라서 한자를 접촉한 BC 2C경부터 통일 신라 시대까지 고대 국어로 구분할 수 있다. 통일 신라 시대 이후 고려의 건국은 국어사에 있어서 중요한 사건으로 다루어지는데 그 이유는 경주 중심의 언어 중심이 개성을 중심으로 한 중부 지방으로 중심 이동을 한다는 사실이다. 이때부터를 중세 국어의 시작으로 불 수 있다. 이러한 중부 지방 중심의 언어는 조선의 건국에도 그대로 이어지므로 그것이 조선의 건국에 의한 언어 체계에 있어서의 변화를 크게 볼 수 없다. 또한, 훈민정음은 문자 체계이므로 그것이 언어에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여지며, 13C와 14C에 있어서 음운 체계가 현저한 차이는 아니나 변화가 보이므로 이 시기를 중심으로 전기와 후기를 구분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참고문헌
교재 및 강의노트
하고 싶은 말
지난 학기 수업내용을 정리한 A+ 서브노트입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