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

 1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1
 2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2
 3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3
 4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4
 5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5
 6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6
 7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7
 8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8
 9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9
 10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10
 11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11
 12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12
 13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13
 14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14
 15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15
 16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16
 17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17
 18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18
 19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19
 20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직심리학] 2장 지적 능력과 인지발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II. 본 론
1절. 지 능 ( 知 能 )
(1) 지능의 정의
(2) 지능의 구조
1) Spearman의 이요인설
2) Thurstone의 기본 정신 능력
3) Guilford의 지적 구조 모형
4) Gardner의 다중지능
5) Sternberg의 지능 삼원이론
(3) 지능의 측정
1) binet 지능검사
2) Wechsler 지능검사
3) 집단지능검사와 개인지능검사
(4) 지능검사 활용상의 유의점
(5) 지능과 학업 성취도
(6) 지능 : 유전 대 환경
1) 유전론
2) 환경론
(7) 유동적/ 결정적 지능
3절. 창의성 ( 創 意 性 )
(1) 창의성의 정의
(2) 창의성 검사의 구성요인
(3) 창의성과 학업 성취도
(4) 창의성이 높은 학생의 행동특성
(5) 교실에서의 창의성
(6) 창의적인 사람에 대한 회고적 분석
III. 결 론
본문내용
II. 본 론


1절. 지능 ( 知 能 )


1.1 지능의 정의

지능이란 개념은 기원전 Plato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Plato는 지능을 사람이면 누구나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이성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지능이란 개념은 그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정의되어 왔다.

(1) Binet (1857-1911)는 지능을 복잡한 정신작용에 있다고 주장하면서, 정신능력에는 기억력, 정신적 심상, 상상력, 주의력, 기계적 및 언어적 이해력, 미적 감상력, 도덕적 감수성, 추리력, 판단력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2) Terman (1877-1956)은 지능을 추상적 사상을 다루는 능력이라고 하였다.
(3) Wechsler (1896-1981)는 지능을 목적에 맞게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종합적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

이처럼 지능은 학자들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지만, 지능의 본질에 관한 이론가들의 공통적인 특성에는 다음의 세 가지 모두 이거나 적어도 한 가지는 포함된다.

(1) 지능은 학습능력이다. 여기서 학습 능력이란 개인이 교육 받을 수 있는 수준, 또는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의 정도를 말한다. 특히 지능은 추상적 사상을 다루는 능력으로서 개념, 상징, 기호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다루느냐에 있다고 본다.
(2) 지능은 적응 능력이다. 적응 능력이란 문제에 직면했을 때 행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재조직 하는 능력을 말한다.
(3) 지능은 총체적 지식이다.


1.2 지능의 구조

(1) Spearman의 이요인설

Spearman(1963-1945)은 모든 사람들이 一般要因(일반 요인)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일반 요인이란 ① 자기 마음속에 일어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 이해력이다.
② 아이디어와 아이디어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를 생각하는 추출력 이다.
③ 주어진 아이디어와 다른 아이디어를 관계 짓는 능력인 상호 관련성의 추
출력이라고 정의하였다. 일반적으로 일반요인의 양이 많고 적음에 따라서
머리가 명석하다 또는 둔하다고 말한다.

하나의 일반요인과 더불어 여러 개의 特殊要因(특수요인)이 있다. 지능검사에서 산수문제나 공간지각능력문제가 그 예이다. 그러나 높은 일반요인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특수요인이 높은 것은 아니다. 뛰어난 운동선수 서커스 능력이 그 예이다.
이처럼 지능지수(IQ) 는 일반요인의 양과 여러 특수 요인의 각각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이론을 가리켜 二要因說 (이요인설) 이라고 한다.

(2) Thurstone의 기본 정신 능력

Thurstone(1887-1955)은 지능이 일곱 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음을 밝히고 이를 基本精神能力(기본정신능력)이라고 명명하였으며 다른 이름으로는 多要因說 (다요인설) 이라고 부른다. 기본 정신 능력의 문제점은 일곱 가지 요인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