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

 1  [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1
 2  [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2
 3  [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3
 4  [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4
 5  [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5
 6  [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6
 7  [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7
 8  [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8
 9  [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9
 10  [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10
 11  [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11
 12  [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12
 13  [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13
 14  [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14
 15  [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15
 16  [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16
 17  [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17
 18  [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18
 19  [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 상여소리에 나타난 죽음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의식요와 장례요, 그리고 상여소리
2. 에 나타난 죽음관
3. 의 가사 분석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들 개개의 인생은 복잡한 서사 구조를 가진 하나의 거대한 이야기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거대한 이야기는 다시 세부적인 이야기들로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다. 태어나고, 자라나고, 사랑을 하고, 이별을 하고, 늙어가고, 병이 들고, 생을 마감할 때까지 우리들의 인생은 무수한 장면을 가진 사건들의 연속인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生의 소소한 이야기들을 구분 짓는 가장 큰 사건은 태어남과 죽음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삶의 다양한 이야기들이 이 두 사건을 축으로 펼쳐지는 것이다. 우리 모두는 태어나면서 우리의 이야기를 시작하고 죽으면서 그 이야기를 끝맺는다.
그런데 생의 이야기, 그 다양한 변주를 종결 시킨다는 점에서 죽음은 生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경험이다. 살아서 生의 이야기를 만드는 자들은 죽음 이후의 세계를 가보지 않았기에 ‘죽음’이라는 경험 자체에 대해 특별한 느낌과 이미지를 가질 수밖에 없는데, 그것은 개개인의 사람 혹은 문화권이 가진 가치관, 세계관, 종교관에 따라 각각 다양하게 나타날 것이다.
한편 죽음이 가장 구체적으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느껴지는 곳은 장례의 현장일 것이다. 우리는 망자를 추억하고 애도하면서 죽음이라는 어쩔 수 없는 인간의 숙명과 직접적으로 맞닥뜨리게 되고, 각자의 개별적인 죽음도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 민중의 장례현장은 노래와 함께 진행되었다. 엄숙하고 숙연한 죽음의 시간을 멜로디와 가사로 풀어낸다는 점에서 의 음률 그리고 그 사설은 단순한 노래가 아니라, 죽음의 의식을 반영하는 하나의 의미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에 담긴 죽음에 대한 정서, 의식을 살펴보는 일은 인간의 숙명인 죽음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게 하는 한편, 우리 생을 깊이 되돌아보게 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면면히 이어온 우리 민중의 의식, 그 삶과 죽음의 성찰과 조우하게 되는 경험도 제공할 것이다.
장례요 가운데에서 는 상여를 장지로 운반하며 부르는 노래이다. 상여를 메고 장지를 가는 시간은 망자를 그가 살던 생활의 공간으로부터 분리시켜 죽음의 세계로 인도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이 시간은 장례의식 가운데에서도 가장 절실하게 죽음을 느낄 수 있는 순간일 것이다. 이에 여기서는 장례요 가운데 가장 전승범위가 넓은 상여소리를 중심으로 죽음에 관한 의식, 정서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의 개념과 그 상위 범주인 와 의식요에 대해 알아보고, 에 나타난 죽음관을 살펴본 뒤, 이를 사설을 통해 직접 확인해보자 한다.
참고문헌
1. 강문순 (1982), 연구 : 죽음의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 임동권, 한국민요집II, 서울:집문당, 1971
3. 장덕순(1973), 저승과 영혼, 한국 사상의 원천, 서울:양영각
4.박종홍(1972), 한국의 철학,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편, 한국학 (서울:현암사)
5. 김성배, (1975b), 향두가·성조가, 서울:정음사
6. 김영돈(1977), 제주도민요연구 上, 서울:일조각
7. 구비, 6-2, 전북 진도군 지산면 민요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