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사] 1930년대 지식인 소설을 통해 본 작가의 현실인식 - 채만식과 유진오를 중심으로

 1  [문학사] 1930년대 지식인 소설을 통해 본 작가의 현실인식 - 채만식과 유진오를 중심으로-1
 2  [문학사] 1930년대 지식인 소설을 통해 본 작가의 현실인식 - 채만식과 유진오를 중심으로-2
 3  [문학사] 1930년대 지식인 소설을 통해 본 작가의 현실인식 - 채만식과 유진오를 중심으로-3
 4  [문학사] 1930년대 지식인 소설을 통해 본 작가의 현실인식 - 채만식과 유진오를 중심으로-4
 5  [문학사] 1930년대 지식인 소설을 통해 본 작가의 현실인식 - 채만식과 유진오를 중심으로-5
 6  [문학사] 1930년대 지식인 소설을 통해 본 작가의 현실인식 - 채만식과 유진오를 중심으로-6
 7  [문학사] 1930년대 지식인 소설을 통해 본 작가의 현실인식 - 채만식과 유진오를 중심으로-7
 8  [문학사] 1930년대 지식인 소설을 통해 본 작가의 현실인식 - 채만식과 유진오를 중심으로-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사] 1930년대 지식인 소설을 통해 본 작가의 현실인식 - 채만식과 유진오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⑴ 1930년대 사회와 지식인 소설의 양상
⑵ 식민지 시대 인텔리의 자조와 소외 의식 -채만식 소설 속 지식인상
⑶ 현실 순응적 지식인의 갈등과 비애- 유진오 소설 속 지식인상
⑷ 두 작가의 현실 인식
(5) 작품 속 현실 인식 공통점과 차이점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1930년대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혼란스러웠던 시기이다. 제 1차 세계대전이 발발했고 파시즘이 퍼져나가기 시작한다. 이런 변화와 사건들이 일어난 것은 이 시대의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현상들이다. 국내에서는 일본의 식민지 정책의 일환으로 민족 말살 정책이 추진되어 사회 전반으로 많은 변화가 일어나게 되고 세계적 불황으로 인해 경기가 극도로 침체되어 경제적으로 약자인 서민들의 생활고는 더욱 심해지고 있었다. 또한 고등실업자의 수효가 증가하며 엄청난 실업난을 초래하였다.
이런 문제의식에 따라 1930년대 소설 작품에 지식인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이 양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 지식인 소설들은 지식인의 갈등을 시대적 문제로 인식하고 식민지 현실 속에서의 지식인의 문제를 보여준다. 또한 이시대의 지식인들이 얼마나 무기력한 존재들 이였나를 지적하며 제도적 모순까지 밝히고 있다. 본고에서는 1930년대 사회와 시대적 배경을 알아보고 뚜렷하게 지식인 문제를 규명하고 있는 채만식과 유진오의 소설을 비교분석, 그들의 현실 인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⑴ 1930년대 사회와 지식인 소설의 양상
1-1. 1930년대 시대적 배경
1930년대는 민족적 자각과 근대화로 지향하려는 열의가 고조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정신적, 문화적 위기감이 돌던 불안과 암흑의 시기이다. 일본에서는 소위 다이쇼오 민족주의가 짧은 수명을 마치고 군국주의로 전환되는 사건이 일어나게 되고 1차 대전 이후 독일, 러시아, 터키 등의 동구권의 공화국들도 쓰러지거나 파쇼화 되어 버렸다 채만식, “식민지적 민족 현실과의 대결”, 지학사. 1985, p.251.
.
1차 세계 대전에서 승리한 일본은 우리나라를 대륙 침략의 수단으로 이용하기 위해 더욱 가혹한 식민지 정책을 시행한다. 그동안 일제는 문화정치라 하여 우리에게 형식적인 자유를 허용하는 듯 하였으나 이는 고등정책을 일환에 불가하였다 이기백, 『韓國史 新論』, 일조각, 1976, p.440.
1945년 한국에서 축출될 때까지 단 한명의 문관도 총독으로 임명한 적이 없었으며 비록 보통경찰제도가 되었다고 하나, 반면에 경찰 기관은 오히려 확대 되어 경찰 인원이 대폭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식민지 정책은 민족 말살 정책과 식민지 수탈 정책을 병행하게 된다. 또한 창씨개명과 신사 참배를 강요 신용하, 『한국근대사와 사회변동』, 문학과 지성사, 1984, p.74.
함으로써 민족의식을 거세하려 하였다. 이런 시국에 맞추어 국내에서도 문맹 퇴치 운동과 농민 계몽 운동의 일환으로 브나로드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으며 식민지 시대의 민족정신을 일깨운 조선어학회의 한글 운동 등 개인과 사회, 민족의 발견에 힘쓴 시기이기도 하다.
1-2 문단의 현실
일제의 가중되는 탄압은 문학으로부터 정치적, 사회적 관심을 배제할 것을 강요하였다. 그 때문에 역사적 사실의 구명 작업이 어려워 역사가 왜곡되거나 문학적 가치가 제대로 드러나지 못하는 등의 결과를 낳았다. 이시기의 작가들은 문학작품에
참고문헌
1,자료

채만식, 「레디 ․ 메이드 人生 」, 『韓國文學全集 9』 民衆書錧 , 1958,
채만식, 「明日」,『新韓國文學全集 ․ 4』,語文閣, 1976,
유진오, 『김강사와 T교수』, (『한국단편문학전집 3』,문성당, 1976),

2.저서 및 논문

강만길, “식민지 문화정책과 저항운동”, 『한국현대사』, 1984,
강삼희, 「유진오 문학연구 」,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4,
구중서, 『분단시대의 문학』, 전예원, 1981
권효준, 「채만식 문학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
배봉기, 「채만식 문학 인물의 특성과 형상화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2,
송재영, “지식인 소설의 전개”, 『현대문학의 옹호』, 문학과 지성사, 1979.
신동욱, 『한국현대문학론』, 박영사, 1972,
신용하, 『한국근대사와 사회변동』, 문학과 지성사, 1984,
유진오, 『양호기』, 고려대 출판부 , 1997,
이기백, 『韓國史 新論』, 일조각, 1976,
이주형, “채만식 문학과 부정의 논리”, 『한국현대소설사연구』(전광용 외), 민음사, 1984,
이홍태, 「유진오 소설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1987,
임화, “동경문단과 조선문단”, 『인문평론』, 1940,
채만식, “식민지적 민족 현실과의 대결”, 지학사.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