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 송강 정철론

 1  [고전시가] 송강 정철론-1
 2  [고전시가] 송강 정철론-2
 3  [고전시가] 송강 정철론-3
 4  [고전시가] 송강 정철론-4
 5  [고전시가] 송강 정철론-5
 6  [고전시가] 송강 정철론-6
 7  [고전시가] 송강 정철론-7
 8  [고전시가] 송강 정철론-8
 9  [고전시가] 송강 정철론-9
 10  [고전시가] 송강 정철론-10
 11  [고전시가] 송강 정철론-11
 12  [고전시가] 송강 정철론-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 송강 정철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목적 및 방법
2. 연구사 개관

Ⅱ. 송강의 시문학 배경
1. 시대적 배경
2. 생애
(1) 성장 및 수확기
(2) 출사 및 거상기
(3) 반복되는 정치계에서의 진퇴
(4) 문학적 원숙기

Ⅲ. 송강 문학의 사상적 배경
1. 유교사상
2. 불교사상
3. 도가사상

Ⅳ. 문학사적 위치

Ⅴ. 나는 왜 송강을 기억하는가?
1. 내가 만난 송강
2. 송강, 그대가 부럽소!!
3. 원하지 않았던 忙中閑 - 마음의 고향 ‘담양 창평’

Ⅵ. 글을 마치며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 목적 및 방법
사람의 인생 여정을 보면 하나의 파노라마이다. 모두들 각양 각색의 모습을 하고 살아간다. 그런데 서로 다르면서도 닮은 구석 또한 많은 것 같다. 태어나서 자라고 사람의 모습을 하고 살다가 죽는다. 삶을 살아가는 모양이 다른 것 같은데, 결국은 모두들 자기가 할 수 있는 무엇인가를 하며 그 안에서 喜․怒․哀․樂을 경험하다 생을 마친다.
이러한 구도 속에서 볼 때 모든 사람이 살아가는 방식은 비슷해서 별 흥미도 못 느끼고, 재미도 없어 보인다. 그런데 참으로 이상한 것은 각각의 삶을 구석구석 들여다 볼 때 그 ‘비슷한’ 인간들 모습에서 ‘독특한 삶’의 모습이 비춰진다는 것이다.
‘사람’ 이라는 공통분모 속에서 개별성의 ‘나’라는 묘한 분자가 우리네 삶에 차별성과 나름의 가치를 만들어 내고 있음이다. ‘내’가 존재하는 시․공간적인 차이로 ‘나’에게서 발견되어지는 색깔은 실로 다양해짐을 본다. 인생관, 삶의 철학, 사변적 색채들, 삶의 방식...... . 이 모든 것들이 하나로 얽히어서 한 사람, 곧 ‘나’됨으로 나타나는 것 같다.
본고에서는 조선전기 16C에 그야말로 파란만장한 삶을 살다간 한 인물에게 시선을 고정하려 한다. 정치가이자 문인이었던 송강 정철. 바로 이 사람이다. 송강의 생애와 그가 교류했던 스승과 벗들, 그리고 정치계에서의 잦은 진퇴, 이와 함께 병행되었던 자연 속에서의 한 문인의 삶을 살피고자 한다. 이는 정치가로서 살아간 송강의 삶에 대한 평가내림이 목적이 아니다. 다만 우리와 같은 성정(性情)을 가진 한 인물, 그가 걸어간 삶의 흔적을 되짚어 보고자 함이다. 그러한 과정을 통해 한 시대의 시인이었던 송강 그만의 독특한 색채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어떠한 한 작품을 볼 때 가장 바람직한 태도는 작품 자체로만 먼저 느끼고 파악하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만나는 문학은 ‘작가 중심 비평’이 아닌, ‘독자’가 각각의 나름대로 의미를 구성해 가는 수용문학 비평에 기반을 둔다. 따라서 텍스트는 변하지 않는 고정된 하나의 의미만 있는 것이 아니라, 독자에 따라 구성되는 의미는 달라지는 것이다. 바람직한 태도이다. 하지만 우리와 시대가 다르고, 문화가 다르고, 사고하는 방식이 다른 배경 속에서 창작된 작품을 대할 때는 역시 그에 다가가는 방법도 달라야 할 것이다. 배경지식이 있는 상태에서 작품을 대할 때 구성되어지는 의미도 한 층 깊어지는 것을 부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제를 기본으로 하고 본고를 다루어 나갈 것이다.
따라서 이곳에서 다루어 질 내용들
은 정철에 관계되는 것은 모두가 그 대상이 된다. 앞에서도 잠시 언급했듯이 송강의 시대 배경과 생애, 그의 정치가로서의 모습, 자연 속에 시인으로서의 모습, 그가 남긴 작품 속에 나타나는 문학적 특질들을 다룰 것이다. 그리고 그가 남긴 문학사적 위치에 대해 간단히 언급
참고문헌
1. 김전용, ‘정철 시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2.
2. 박언배, ‘정철과 윤선도의 국문시가 비교연구’, 인하대학교 1991.
3. 박정애, ‘정철의 훈민가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4. 박영주, “정철 평전”, 중앙M&B,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