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

 1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1
 2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2
 3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3
 4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4
 5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5
 6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6
 7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7
 8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8
 9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9
 10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10
 11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11
 12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12
 13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13
 14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14
 15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15
 16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16
 17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17
 18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18
 19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19
 20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조시가]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방안 제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의 문학적 의의와 7차 교육과정에서의 현황

1. 정철 시가의 문학사적 위치
2. 의 교육적 의의
3. 7차 교육과정에서의

Ⅲ. 교수-학습 활동

1. 학습목표
2. 흥미 유발
활동 1 관동별곡을 다 함께 낭송하기.
3. 내용 이해 활동
활동 2 관동별곡의 여정 파악하기.

활동 3 관동별곡에서 뛰어난 우리말 표현 찾기.

활동1 정철이 관동별곡을 창작한 의의를 시대적 배경과 맞물려 탐색하기.
4. 심화 이해 활동
활동2 작가와의 인터뷰나 대화글 써보기.

활동3 관동팔경 광고제작

활동4 수학여행 안내지 만들기

활동5 기행가사 창작하기

활동6 현대 기행문과 비교하여 작품 이해하기.


Ⅳ.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은 정철이 강원도 관찰사로 임명되어 원주에 부임하면서 관동팔경과 내금강, 외금강, 해금강을 유람하고 지은 작품으로 빼어난 문장의 사용으로 가사 문학의 백미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선인들의 생활, 사상, 감정, 이상 등이 담긴 문학성이 높은 작품으로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런 이유로, 교육 과정의 개편 속에서도 은 계속해서 학교 교육에서 이루어졌으며, 현재 국민공통교육과정 10학년에서 이를 다루고 있다. 이렇게 오랫동안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기에, 을 대상으로 하여 제 7차 교육목표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정철의 은 현행 교육과정 7차 고등 교과서 ‘국어[하] 5. 감동을 주는 언어’에 수록되어 있다. 심화선택영역으로는 문학[상](중앙진흥연구소), 문학[하](민중)에 수록되어 있다.
이 단원의 학습 목표를 보면, ‘①문학 작품의 아름다움을 파악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② 상황에 따라 적절하고 가치 있는 내용을 생성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로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수업에 있어 ‘관동별곡’은 거의 중세 국어 어휘들을 외우고, 어휘에 대한 해석, 혹은 어떤 구절에 대한 해석이 주를 이룬다. 그 결과, 학생들은 학습 목표인 작품이 주는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과는 멀어지고, 심지어 정철이 답사한 곳이 우리나라 어딘지도 모른 채 수업을 끝내게 되기도 한다.
여기서는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여, 모둠 활동을 통해 학습자 중심에 좀더 가까이 가는 문학 수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협동 활동과 생각 교환을 통해 학습자는 보다 능동적으로 문학 교육에 참여하게 되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의 수용과 창작도 보다 더 의미있게 진행될 것으로 생각한다.

Ⅱ. 의 문학적 의의와 7차 교육과정에서의 현황


1. 정철 시가의 문학사적 위치

송강의 시풍은 초년 또는 장년 시대에는 혈기 왕성하여 그의 정치적 수완을 떨칠 때이므로 에서 본 것처럼 미사여구가 많으며 밝고 화사한 작품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만년에는 향촌의 산중에서 은둔생활을 하고 세상일에 대한 불평과 운명의 비관에서 우러나오는 감정의 발로로써, 당시 선조 임금을 사모하는 연군지사의 내용으로 변하여 그의 이나 에서 나타나고 있다. 버림받은 여인이 자기 남편을 그리워하는 애정과 설움에 얽힌 처량한 곡조로 상사(常事)의 일념을 읊은 것에 빗댄 표현 수법을 사용한 것은 자신의 불우한 생활과 환경에서 저절로 베어 나온 자연적인 현상이다. 한편 송강의 작품은 일반적으로 시조보다는 가사에 그 우수성이 있다고 평가되는데, 시조는 대체로 도덕적 교훈가가 많아 문학적 가치를 내세울 만한 두드러진 작품이 드문 편이지만 가사에 있어서는 그 어느 작가도 미치지 못할 훌륭한 것으로 평가되어 우리 국문학사상 단연코 첫 손가락을 꼽는 데 주저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흔히들 송강을 가사 문학의 제일인자로 거론하고 있다. 송강 문학의 우수성에 대해 역대 비평가들의 찬사가 많은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그 예로 『동국악보(東國樂譜)』에서는 을 ‘악보(樂譜)의 절조(絶調)’라고 극찬하였고, 은 ‘영중의 백설’이며, 은 가히 ‘공명(孔明)의 出飾表’와 백중(伯仲)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평가가 높은 송강의 가사는 지어진 후 우리 학자들 간에 상당히 애송되었음은 말할 것도 없고, 인구에 널리 회자되었다. 오늘날에 있어서도 송강의 시조나 가사 작품이 각 급 학교의 교과서에 실려,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를 가사 문학의 第一人者로 평가하고 있는 것을 볼 때 송강은 우리 국문학사상 적어도 가사 문학에 한해서는 최고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
그리고 송강의 가사는 문학적 방면에서만 훌륭한 것이 아니라 어학 연구의 측면에서 보더라도 임진왜란 전후로부터 숙종조 이전까지의 우리 국어의 변천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송강가사』는 다른 언해류에서 보는 것처럼, 번역물에서 흔히 드러나는 부자연스러운 맛이 전혀 없는 점과 비교적 한문 사용을 자제하고 되도록이면 우리의 고유어만을 쓰려고 노력한 흔적이 곳곳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당시의 유학자들이 한문학에 깊이 빠져들어 헤어나지 못할 때 송강은 국어사용을 과감하게 실천하여 국어로써 시가를 창작하고 노래함으로써 우리의 국어를 갈고 다듬었으니, 그가 우리 국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단연코 우뚝 선 정상의 자리에 두어도 조금도 손색이 없다. 이러한 그의 국어 존중에 대한 공로도 높이 평가할 만하다. 이아령, 「松江 鄭澈과 그의 作品 世界」,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초등 국어 교육 연구소, 1995.



2. 의 교육적 의의

1) 표현이 탁월하여 예술 작품이 지니는 미의식을 실감할 수 있다.
2) 함축성, 형상성이 뛰어나서 문학작품을 감상하는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다.
참고문헌

박희정,「협동학습 중심의 「관동별곡」교수-학습 방안 연구」, 성신여대 교육대학원, 2006.
손희정,「ICT를 활용한 수업 지도 방안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송교선, 「고등학교 고전 시가 교육 연구 : , , 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유소현,「매체를 활용한 고전문학 교수법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이아령,「松江 鄭澈과 그의 作品 世界」,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초등 국어 교육 연구소, 1995.
임순강,「송강가사의 학습방안 연구 :「관동별곡」을 중심으로」,단국대 교육대학원, 2006.
조지해,「매체를 활용한 고전문학 지도방안 :을 중심으로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http://pooh.kanggo.net/
http://user.chollian.net/~lion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