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문학파 순수시에 대하여

 1  시문학파 순수시에 대하여-1
 2  시문학파 순수시에 대하여-2
 3  시문학파 순수시에 대하여-3
 4  시문학파 순수시에 대하여-4
 5  시문학파 순수시에 대하여-5
 6  시문학파 순수시에 대하여-6
 7  시문학파 순수시에 대하여-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문학파 순수시에 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 문헌 고찰
1. 1930년대 시의 특징
2. 김영랑․정지용․박용철에 대하여
3. 순수시와 1930년대의 시문학파

Ⅲ. 순수시 분석

Ⅳ. 맺음말

Ⅴ.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한국 현대시 문학사에 있어서 가장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킨 시기가 1930년 이다. 많은 문학들이 나오고 30년대 시 문학에서 모더니즘과 순수시 그리고 생명파 등 문학적 전성기 이기 때문이다. “한국 현대시의 분수령을 이룬시기” 조지훈 『한국현대시사의반성』, 「사상계」1962
라고 언급할 정도로 우리 문학이 나아갈 방향과 20년대의 문학에서 벗어난 모습을 보여준다. 1930년대 시가 긍정적 평가를 받을수 있는 것은 이데올로기의 보조 수단에 머문 20년대의 시를 극복하려 노력하였고, 그 결과 순수시와 모더니즘시 생명파 등 감각적인 시가 많아 졌다. 필자는 30년대 모더니즘과 상대되는 순수시의 대표적인 시문학파 시인인 정지용․김영랑․박용철의 순수시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었다.

Ⅱ. 문헌 고찰

1. 1930년대 시의 특징
우선 1920년대의 시에 감상적 낭만주의 1920년대에 동인지(同人誌) 《백조(白潮)》를 중심으로 일기 시작하였으나, 불과 2년도 안 되어 퇴색하기 시작하여 24년도에는 완전히 종말을 고하고, 다만 그 영향만이 30년대의 서정시인들에게 미치었다.
박종화의 《영원의 승방몽(僧房夢)》(백조 창간호) 《승방비곡(僧房秘曲)》(백조 2호)과 같은 신비적 세계, 홍사용의 《봄은 가더이다》(백조 2호) 《나는 왕이로소이다》(백조 3호)와 같은 염세적 감상주의, 이상화의 《나의 침실로》, 박영희의 《꿈의 나라》, 나도향의 《젊은이의 시절》과 같은 동경(憧憬)과 꿈의 세계를 다룬 낭만문학이 꽃피게 되었다. 이 시기는 한국문학사상 하나의 문예사조로서는 가장 찬연한 시기였다고 할 수 있는데, 또한 싫건 좋건 오랫동안 그 영향이 미쳤다. 그러나 한국의 낭만주의 문학은 서구문학에서처럼 역사적인 필연성에서 생긴 근대적 자아의식의 각성에서 비롯되었다기보다는 서구사조(西歐思潮)의 단순한 외형적 모방에서 시작된 것이었으나, 한국 초기의 여러 문예사조와 함께 이 나라의 근대화 과정에서 그런대로 중요한 일익을 담당했다고 할 수 있다.




와 카프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朝鮮-藝術家同盟)
1925년 8월경 조직되어 35년 해산한 사회주의계열의 문예운동단체. 에스페란토식 표기의 머리글자를 따서ꡐ카프(KAPF)ꡑ라고 약칭한다. 1919년 3․1운동 이후 이른바 일제의 정책이 문화정치로 전환하고, 당시 러시아혁명으로 사회주의 사상이 광범위하게 확산하는 추세 속에서 새로이 등장한 프롤레타리아 문예운동 단체이자 한국 최초의 전국적인 문학예술가 조직이다.
카프의 초기활동은 흔히 신경향파(新傾向派) 문학, 혹은 자연발생적 프로문학으로 불린다

의 편향적 내용주의에 대한 반발 속에서 새로운 시의 차원을 개척하였다. 1930년대에는 일제의 좌익 세력에 대한 탄압과 자체의 비판으로 카프가 해체되고 문학의 순수성과 예술성을 지향하는 '시문학파'와 '구인회'의 활동이 활발하였고, 박용철에 의해 순수시론이 제시되었다. 이 외에도 모더니즘이 대두되는 1930년대 중반부터 최재서, 김기림 등에 의해 주지주의 시론이 도입되었다.
1930년대 시의 가장 큰 맥락은 순수시와 모더니즘 생명시 생명시는 순수시, 모더니즘시에 비해서 그렇게 강력한 적대자가 존재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동등한 개념들 중에서 하나 정도로 해석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베르그송의 생명 철학에 영향 받은 생명시는
우리 나라의 경우 1950년 한국전쟁의 발생과 더불어 큰 주목을 받기도 했고, 현재에는 생태 환경 주의의 세계적인 흐름에 따라서 다시 그 주목을 받기도 하는 계통의 시이기도 합니다.
로 나눌수 있는데 모더니즘 시의 본격적 대
참고문헌
『박용철 전집』1․2, 시문학사 ,1940
『서정시의 기호와 담론』김동근,국학 자료원 2001
『정지용』김은자, 새미 출판사. 1996
『김영랑』김준오.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7
『한국의 명시』학원출판사. 1997
『한국현대시사의 반성』조지훈.사상계.1962
『한국 현대시 형태론』김춘수. 해동문화사 1958
『시문학 창간호』19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