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계급시에 대해서

 1  [현대문학사] 계급시에 대해서-1
 2  [현대문학사] 계급시에 대해서-2
 3  [현대문학사] 계급시에 대해서-3
 4  [현대문학사] 계급시에 대해서-4
 5  [현대문학사] 계급시에 대해서-5
 6  [현대문학사] 계급시에 대해서-6
 7  [현대문학사] 계급시에 대해서-7
 8  [현대문학사] 계급시에 대해서-8
 9  [현대문학사] 계급시에 대해서-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계급시에 대해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 본론
1. 계급시와 이념적 성향
1) 계급시의 등장과 경향성
2) 개인적 서정과 집단적 이념
2. 계급시의 창작적 성과
1) 박세영과 이념적 지향
2) 박팔양과 계급적 상황인식
3) 임화와 계급적 열정
Ⅲ.결론
조원 개인 의견
본문내용
Ⅰ.서론

한국의 근대시는 식민지 상황 속 계급문학운동을 통해 계급적 이념과 대응했다. 1920년대에는 낭만적 시정신이 주조를 이루었지만, 시인들은 고통스런 민족의 현실을 외면할 수 없었다. 김기진은 이러한 상황에서 예술가는 생활에 대한 선각자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초창기 경향문학의 성격은 현실에 대한 객관적 인식을 토대로 하고 예술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었다.
김기진의 시를 살펴보면 서정적 주체와 대상으로서의 현실 세계를 문제 삼고 있다. 김기진의 시적 출발은 현실과 역사에 대한 전망을 찾아나서는 길의 첫걸음인 것이다. 우리는 앞으로 계급시와 대표적 작가들을 통해 계급시가 나아간 발자취를 더듬어 볼 것이다. 발자취 속에서 우리는 계급시가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Ⅱ. 본론

1. 계급시와 이념적 성향

1) 계급시의 등장과 경향성
1920년대 초기의 시적 경향을 살펴보면 근대적인 형태의 자유시가 성립되면서 민족어와 그 정서의 가치를 시적 형식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시기의 시문학에서는 앞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김소월, 한용운 등을 통해서 낭만적인 시의 정신의 주류를 이루고 있었는데 낭만주의적인 시는 특성상 현실상황을 직접적으로 표현해내기 어려웠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시인들은 시 속에서 피폐한 삶의 현실과 식민지적 상황을 외면할 수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1920년대의 문학은 식민지 상황에서 빈곤, 압박과 같은 비참한 현실적인 문제에 접하면서 자연발생적으로, 즉 사회사적 배경에 따른 필연적인 현상으로서 자신의 진보적 정신을 표출하는 신경향파의 문학 카프 문학운동연구, 역사문제연구소 문학사연구모임, 역사비평사, 1989
이 등장하고 ‘카프’가 결성되면서 계급의 모순을 비판하고 계급의식타파를 주장하는 계급시와 좀더 확고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사회나 문화전반을 꿰뚫어보는 통찰력을 가진 경향문학으로 흐르게 된다. 이 시점에서 김기진은 생활의 예술을 주장하면서 생활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예술의 힘을 강조한다. 이것은 초창기 경향문학의 성격을 말해주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현실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에 예술에서의 생활의 발견은 계급문학의 출발점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김기진이 내세우고 있는 예술과 생활의 문제는 주관적인 관념 세계로 빠져버린 문학과 예술의 본질을 객관적인 세계와 현실문제로 끌어내렸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의 동인으로 참여하면서 경향적 색채가 강한 시를 선보이고 있는데 ‘한 갈래의 길’이나 ‘한 개의 불빛’과 같은 작품이 그러한 예이다. 이 작품들은 생활문학으로서의 시의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근거가 되는데 이 작품들에서 시적 자아의 형상은 일인칭 화자의 목소리를 통해 구체적으로 형상화되고 있으며 ‘너’라는 시적 대상이 정서적인 통합을 이루고 있다.
참고문헌
- 권영민, 2002, 『한국현대문학사1』,민음사
- 역사문제 연구소 문학사연구모임 지음, 1989, 『카프문학운동연구』,역사비평사
- 박경수, 2000, 『한국 현대시의 정체성 탐구』, 국학자료원
- 오성호, 1993, 『한국 근대시 문학연구』, 태학사
- 김용직, 2002, 『한국 현대 경향시의 형성․전개』, 국학자료원
- 박윤우, 1999, 『한국 현대시와 비판정신』, 국학자료원
- 김용직, 1991, 『현대 경향시 해석/비판』, 느티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