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 개척민소설 연구

 1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1
 2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2
 3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3
 4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4
 5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5
 6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6
 7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7
 8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8
 9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9
 10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10
 11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11
 12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12
 13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13
 14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14
 15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15
 16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16
 17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17
 18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18
 19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19
 20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만주 개척민소설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II. 만주국 건국과 국책문학

III. 만주개척민의 삶과 문학적 낙관주의

본문내용
일제말기 문학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문학이란 차원을 넘어 정신사적 문제와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식민지시대를 거치면서 우리 문학은 민족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있었는가 하는 질문과 관련된다. 이 질문은 표면적으로는 친일문제와 맥을 같이 한다. 따라서 일제말기문학(1938-1945)은 문학적 자리에서만 검토할 것이 아니라 일제의 지배정책과 거기에 어떻게 문학적으로 대응했는가 하는 문제가 중요한 관심사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근년에 이르러 일제말기문학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나타나 상당한 연구성과를 얻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 문학, 특히 간도문학을 민족문학이라거나 망명문학, 혹은 항일문학으로 평가하는 것은 정당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를 정당하게 해명하기 위해서는 1930년대 후반 일제의 식민정책의 강화와 더불어 국책문학과 관련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일제는 1932년 만주건국으로 만주개척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국책문학의 하나로 농민문학, 생산문학, 대륙개척문학을 강조한다. 1938년 일제는 를 결성하고 그들의 만주정책을 문학적으로 뒷받침하려 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그대로 한국의 문학계에도 파급되어 1938년을 전후하여 이기영을 비롯하여 이태준, 채만식, 이무영, 이석훈, 정비석, 정인택 등이 만주시찰단의 일원으로 만주를 시찰하고 이를 작품화하였다. 특히 이 가운데 이기영은 국책문학에 가장 적극적으로 동참한 작가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이기영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이 점을 구체적으로 해명한 사람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권유는 이 작품에 대하여 ‘만주를 배경으로 하는 일제의 지배이데올로기에 적극적으로 찬동하는 것은 아니라고는 해도 그것이 지닌 전망과 의식은 이념의 희석과 식민지제도와 환경을 수용한다는 점에서는 분명히 친일적’인 것이라 하여 국책문학으로서의 성격을 간과하고 있다. 대지의 아들이 ‘개척민소설’이란 이름으로 󰡔조선일보󰡕(1939. 10. 12 - 1940. 6. 1)에 연재되면서 국책문학으로서 개척민소설이 출현하게 된다. 그리고 󰡔인문평론󰡕에서는 ‘생산소설’을 공모하고 󰡔만선일보󰡕에서도 만주건국에 따른 개척문학과 협화미담을 모집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