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역사] 동아시아의 삼국전쟁

 1  [동양역사] 동아시아의 삼국전쟁-1
 2  [동양역사] 동아시아의 삼국전쟁-2
 3  [동양역사] 동아시아의 삼국전쟁-3
 4  [동양역사] 동아시아의 삼국전쟁-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양역사] 동아시아의 삼국전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 삼국전쟁(三國戰爭)의 개괄

2.조선에서의 임진왜란(壬辰倭亂)
- 냉혹한 국제질서의 인식과 그의 편입

3.중국에서의 만력(萬曆)의 역(逆)
- 한반도에서 만난 대륙세력과 해양세력

4.일본에서의 분로쿠·게이초[文祿·慶長]의 에키(逆)
- 대륙진출을 위한 국가적 욕구의 최초 분출

5.결론
- 삼국전쟁(三國戰爭)의 역사적 평가

6.참고자료
본문내용
1. 서론 - 삼국전쟁(三國戰爭)의 개괄

선조25년∼32년(1592∼1599)에 2차례에 걸쳐 일본이 조선을 침입하여 일어난 난리. 조선에 쳐들어온 일본군을 조선과 명(明)나라의 군사가 연합하여 물리친 전면적인 국제전쟁이었다. 임진년에 처음 발생했다 하여 보통 '임진왜란'이라고 하며, '7년전쟁'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1597년의 제2차 침략으로 일어난 전쟁만을 따로 언급할 때는 '정유재란'(丁酉再亂)이라고 부른다. 이와는 다르게 타국의 사료에서는 임진왜란을 일본에서는 '분로쿠[文祿]?게이초[慶長]의 역(役)', 중국에서는 '만력(萬曆)의 역'이라고 한다.
임진왜란은 조선과 일본, 그리고 명나라 3국이 최초로 조우한 전면전, 곧 삼국전쟁(三國戰爭)이었다. 그리고 이 동아시아 최초의 삼국전쟁은 단순히 조선과 일본만의 국지적인 전쟁이 아니라, 16세기 당시 세 나라가 각기 전쟁이 일어날 수 있는 고유의 정치·사회·경제적 모든 제요인을 안고 있는 상태에서 발발한 필연적인 충돌이었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다시 말해서 지금까지의 삼국전쟁의 성격에 대한 지배적인 연구결과를 보면 당시 삼국(三國) 모두 오랜 농업생산체제에서 근대적 생산양식으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변화라는 체제 특유의 위기를 밖으로 쏟을 수밖에 없었는데, 한반도가 그 갈등과 분출의 장이 되었다는 경제전·국제전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이에 따라 삼국(三國)의 각자의 입장에서 삼국전쟁(三國戰爭)의 성격을 분석해보기로 한다.

2. 조선에서의 임진왜란(壬辰倭亂) - 냉혹한 국제질서의 인식과 그의 편입

누가 뭐래도 삼국전쟁의 최대피해자는 조선이었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은 철저히 한반도를 유린하고 황폐화시켰다. 조선은 200년 된 왕조가 더 이상 체제유지의 힘을 추진하지 못한 채 나약한 문치로만 일관했고, 여기에 어렵게 구축한 중앙집권체제마저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상태였다. 그리고 이에다가 훈구와 사림의 대립·사화, 그리고 초기 당쟁의 폐해로 인해 국제사회를 등한시하다가 결국 국가의 외침을 자조하게 되었다.
임진왜란이 발발했던 선조 대의 조선은 1392년 건국 이후 200년 동안 국경지대를 중심으로 부분적인 외침을 당한 것 이외에는 전쟁을 치른 적이 없었다. 그리고 주변의 명이나 일본과의 관계는 단지 사대교린의 외교적이거나 조공무역, 또는 왜구의 문제 같은 경제나 치안의 문제로만 인식되고 나라와 나라 간의 전면적 국제전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개념조차 정립되어 있지 않았던 상황이었다. 따라서 사
참고문헌
▷ 한중일 500년사 김지용 새로운 세상 1999
▷ 한국사 이야기(11권 : 조선과 일본의 7년전쟁) 이이화 한길사 2000
▷ 이야기 일본사 김희영 청아출판사 1994
▷ 임진왜란은 우리가 이긴 전쟁이었다(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재조명) 양재숙 가람기획 2001
▷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한명기 역사비평사 199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