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

 1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1
 2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2
 3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3
 4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4
 5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5
 6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6
 7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7
 8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8
 9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9
 10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10
 11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11
 12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12
 13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13
 14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14
 15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15
 16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16
 17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17
 18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18
 19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19
 20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현대문학사] 조선전기 문인유형과 방외인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方外人文學의 개념

Ⅱ. 방외인문학의 성격 규명

1.「新進文人層」의 등장
⑴ 처사형
⑵ 방외형

2. 방외인문학의 문인층
⑴ 홍유손ㆍ이별
⑵ 남효온
⑶ 정희량
⑷ 어무적
⑸ 김시습
⑹ 임제
⑺ 허균

3. 북한의 방외인문학-패설과 소설의 성장
⑴ 김시습
⑵ 임제
⑶ 허균

Ⅲ. 마치며
본문내용
1.「新進文人層」의 등장

신진문인층이란 「士林」에 속하는 새로운 문인학자



⑴ 처사형 - 金宏弼(김굉필) 鄭汝昌(정여창)
인간적 학자적 양심을 지켜 정치권력에 타협하지 않고 穩健持中(온건지중) 의 자세로 현실에 임해 조용히 향리에 묻혀 지내는 산림학자의 부류, 의리를 존숭하고 행실을 돈독히 하여 규범적이며 성리학의 세계에 침잠하고 時文을 경시하는 경향

⑵ 방외형 - 남효온
방외형은 격렬한 비분, 과격한 비판의 자세가 체제에 용납되지 못하므로, 결국 현실권 밖으로 자기를 이탈시켜 버린 부류, 氣節을 숭상하면서 사회적 도덕적 규범을 무시하는 放達不羈(방달불기)의 인간형



2. 방외인문학의 문인층

세조의 명분을 등진 왕위 탈취 및 권력층의 탐욕ㆍ무능
이로인해 정권이 양심적인 사림의 지지를 받지 못함


따라서, 양심적인 문인학자들은 관직에 나아가는 것을 좋지 않게 생각

연산군과 훈구파 집단은 사림파에 대해 혹독한 탄압을 가했고,

사림파를 숙청하기 위한 조처로 두 사례의 사화를 일으킴


⑴ 홍유손ㆍ이별

이별은 자기 형이 무오사회에 유배를 떠나자 눈물로 작별하고 황해도 평산으로 감


‘늘 소를 타고 술을 싣고 鄕社의 耆老들과 혹 釣魚를 하고 혹 천렵을 하며

시를 읊고 술을 마시면서 일모에도 돌아가기를 잊었다. 매양 마시다 취하고,

취해서 노래하며, 눈물을 떨구며 슬퍼하기도 했다’ 고 전해짐


⑵ 남효온

秋江 南孝溫은 출세를 포기
은둔과 周遊(주유)로 일생을 보냈던 인물


당대는 유가적 정치이념이 세조의 왕위찬탈로 결정적으로 상처를 입으면서,
그 모순이 사회 다방면으로 확대, 재생산되어 가던 시기


그는 이 시대에 나서 일상적인 생활인으로 살아가기를 거부했으며,
스스로 부조리하다고 여기는 현실에 참여하지 않음


결국 그는 科試에의 뜻을 접고 끝없는 방랑의 길을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