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차 교육과정 분석

 1  8차 교육과정 분석-1
 2  8차 교육과정 분석-2
 3  8차 교육과정 분석-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8차 교육과정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논의의 목적 및 의의

1.2. 논의의 한계점

2. 조사 내용과 타당성 평가
2.1. 역사교육 개정안

2.1.1. 어제와 오늘의 교육과정

2.1.2. 개정된 교육과정

2.1.3. 타당성에 대한 논의
2.2. 과학교육 개정안
2.2.1. 어제와 오늘의 교육과정
2.2.2. 개정된 교육과정
2.2.3. 타당성에 대한 논의
3. 결 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조사 내용과 타당성 평가

2.1. 역사교육 개정안
2.1.1. 어제와 오늘의 교육과정
6차와 7차 교육과정에서 역사교육이 약화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몇 가지 근거가 있다. 첫째로 과거 독립과목이었던 국사가 6차에 들어서서 사회과로 통합되었고, 이어 7차에서는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각각 1시간씩 시수가 감축되었다. 둘째로, 6차 교육과정에서 6단위였던 10학년 국사 과목이 4단위로 줄어들었다. 이는 국사 교육의 비중과 중요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었다. 가장 문제가 많이 제기되었던 부분은 세 번째인 국사 교과의 분리 최병모, 제 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체계적 분석, 시민교육연구, 제 33집, pp.333~374(2001.9)
이다. 교육부는 근현대사 교육 강화를 위해 10학년의 필수 과목인 국사의 내용을 전근대사 중심으로 구성하고, 11/12학년 때에 배울 선택과목 중 하나로, 아예 근현대사 과목을 따로 마련했다. 그러나 만약 이과 학생들의 경우나, 근현대사를 선택하지 않은 학생들의 경우, 그리고 학교에서 근현대사 과목을 가르치기 곤란한 환경에 있는 경우에는 교육부의 취지와는 반대로 고등학교에서 사실상 근현대사를 배우지 못하고 졸업할 수 있는 것이다. 네 번째로, 하나의 역사를 나눠 가르쳤다. 세계사는 사회교과 내의 한 과목으로 통합되어 있지만, 국사는 별도의 교과서를 편찬하였다. 같은 역사 교육인데도 불구하고 범주를 다르게 하여 분절하는 교육 과정은 간접적으로 역사 교육 약화를 초래했다.
이에 따라 역사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했고, 역사 교육 강화의 필요성이 여러 역사 단체들에게서 제기되었다. 당시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 중국의 동북공정 등의 사건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난 것 역시 역사 교육 각성과 강화의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2.1.2. 개정된 교육과정
첫째로, 중등 과정에서 국사와 세계사 과목을 묶어 역사과목으로 독립시켰다. 이 역사과목에 대해서는 별도의 교과서가 편찬되며, 교육 과정상 시수 확보나 평가가 별도로 이루어지게 된다. 둘째로, 10학년(고등학교 1학년)의 역사과목 수업 시수를 주당 2시간에서 3시간으로 확대했다. 이렇게 시수를 늘리게 된 배경에는 고등학교 1학년 국사에 근현대사 부분의 내용이 추가된 사실이 있다. 교육부는 이에 따라 2006년부터 재량 활동 중 1시간을 국사로 활용할 것을 권장했고, 결과적으로 고등학교 1학년의 역사 과목 수업 시수는 주당 2시간에서 3시간으로 확대되었다. 셋째로, 선택 과목으로 동아시아사 등의 역사 과목이 신설되었다(표 1).
이러한 주요 변화 내용들은, 결과적으로 개정안이 역사 교육 강화에 방향이 맞춰져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표 1. 사회과목의 현행교육과정과 개정 교육과정의 비교

참고문헌
1. 교육부, “초․중․고등학교 학교교육과정 평가 편람”, 1997
2. 교육인적자원부, “과학과 교육과정”, 제 2007-79호 [별책9], 2007
3. 김영삼, “7차 교육과정 비판과 대안”, 참교육연구 제1권 제1호 p.107~212, 2006
4. 김용,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23(1), p.283~303
5. 이덕환, “새 교육과정 이래서 문제다”, 사이언스타임스, 2007.3.6
6. 이양락, 박재근, 이봉우, “제7차 중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의 적정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권 7호, p.775~789, 2006
7. 최병모,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체제적 분석-제6차 사회과 교육과정과의 비교ㆍ분석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제 33집 p.333~374,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