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

 1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1
 2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2
 3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3
 4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4
 5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5
 6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6
 7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7
 8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8
 9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9
 10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10
 11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11
 12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12
 13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13
 14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14
 15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15
 16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16
 17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17
 18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18
 19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19
 20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1930년대 문학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 -채만식, 이상, 박태원, 김유정, 홍명희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속죄양의식의 대두


 
Ⅲ. 한글운동과 그 의미



Ⅳ. 식민지 시대의 재인식과 그 표현
1. 채 만 식
2. 이 상
3. 박 태 원
4. 김 유 정
5. 홍 명 희



Ⅴ. 결 론


Ⅵ. 참고문헌


Ⅶ. 부 록

본문내용
2) 실천적 측면

그룹의 정신주의가 그 예언적 측면이 함석헌의 한국사 연구와 그 뜻의 일깨움으로 전개되었다면, 그 실천적 측면은 김교신으로 대표되는 속죄양 의식으로 드러난다. 이 후자는 현저히 원론적이며 우치무라 간조의 사상과 밀접히 관련된다.
실천적 측면은 1930년대 농촌 사업과 깊이 관련된다. 1930년 무렵 두 개의 계몽 운동이 민족 신문을 통해 전개된다. 그 하나는 문맹퇴치 운동이고, 다른 하나는 브나로드 운동이다. 이 두 가지 운동은 동질적인 것으로 학생이라는 미완성 지식층이 동원된다. 그러나 농촌이 대기 계층이 아니라 엄연한 생활 계층이라는 현실적 구조의 측면에서 본다면 이 운동은 다만 배움의 기회를 잃은 소년층 내지 청년층에 겨우 충격하는 표층적 성과밖에 얻지 못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글 운동을 탄압하는 일제와의 대결과 농민 계층과의 밀착이라는 두 명제를 동시에 소화해야 하는 방도가 요청된다. 이 두 가지 측면을 어느 정도 접근시킨 것이 심훈의 상록수이다. 이 작품의 상징성은 작품 모델인 최용신의 존재와 그녀가 전개한 농촌 계몽의 특수한 국면을 동시에 내표한다. 여기서 그룹과의 연결점이 놓인다.
최용신 사후의 김교신의 기록이 어떤 의미를 내포하는 가에 대해서는 다음 세 가지 사실을 비판한 뒤에 밝힐 수 있다. 첫째, 최용신에게 농촌 계몽의 출발은 개인적 조건과 시대적 조건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기독교라는 종교적 측면을 들 것이다. 셋째, 그녀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이유는 그녀가 단순한 처녀였다는 점에도 있을 것이다. 이상 세 가지 측면을 고찰했는데, 실상 이 세 가지 측면이 모두가 농촌 계몽 운동의 그 나름대로의 한계를 드러내는 것에 속한다.

Ⅲ. 한글운동과 그 의미

한글 운동은 1926년 훈민정음 반포 8회갑을 당해 제정된 (11.4)을 통해 최초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이 한글 운동이 심정적 감동만을 내포할 뿐 그것을 뛰어넘지 못할 때는 이데올로기적 거점의 취약성을 면할 수 없다. 그것은 한국어가 개별 문자이면서 문자의 일반 원론에 속한다는 것에 대한 성찰을 뜻한다. 의 업적은 이러한 문제와 관련되어 있으며 을 통해 그 실천적 모습이 드러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맞춤법이 단순한 철자법만을 뜻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통일안 총론 1항 ‘한글맞춤법은 표준만을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으로써 원칙을 삼는다.’를 통해 맞춤법이 한글의 본질 연구의 결과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명제의 심화는 여러 단체의 활동을 촉진케 한다.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은 바로 최현배를 중심으로 한 와 그 주장에 반대한 박승배를 중심으로 한 의 대립과 갈등에 관한 것이다. 와 가 벌인 논쟁은 맞춤법에 대한 의견 차이에서 나온 것이었다. 여기에서 일제의 설립 허가는 단합되어 가는 민족단체인 의 활동을 약화시키려는 의도였음이 분명하다. 하지만 이때의 논쟁을 통해서 어문이론과 체제가 정비되고 성장했으며 바른말, 바른 글을 세우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조동걸, 『한국독립운동의 이념과 방략』,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편, 2007. p. 235
. 이러한 통일안이 로 평가되는 이유는 맞춤법이 한글의 본질 연구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한국어와 그 문자의 관계가 고도의 일반 언어학의 수준에까지 심화되었는가의 여부에 있는 것이다. 본질적으로 음소적 체계인 한글 정서법이 부분적으로 형태소적 체계에 접근하게 된 것은 가장 합리적이며, 학문적으로 달성한 한 정수에 해당된다.

이렇게 는 1933년 을 마련하고, 1936년에 과 1940년에 외래어 표기법을 다듬어 1942년에 이르러 편찬에 착수했던 것은 큰 의미를 갖는다. 가 맞춤법을 마련하여 거듭거듭 토론하고 표준어와 외래어를 정리하여 민족어문을 총 정리하는 사전을 편찬한 일련의 작업은 민족의 형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