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

 1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1
 2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2
 3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3
 4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4
 5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5
 6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6
 7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7
 8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8
 9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9
 10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10
 11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11
 12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12
 13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13
 14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14
 15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15
 16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16
 17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17
 18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18
 19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19
 20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가족복지론] 여성한부모가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한부모 가족의 이론적 배경

1. 한부모가족의 정의

2. 여성한부모가족의 발생원인 및 유형

3. 여성한부모가족의 문제와 욕구

Ⅱ. 여성 한부모가족의 경제적 지원정책

1. 사회보험

2. 공공부조

3. 사회적 지원(간접 경제적 지원)

Ⅲ. 외국의 지원정책

1. 영국

2. 스웨덴

3. 미국

4. 일본

Ⅳ. 해결방안


본문내용
1.1. 여성한부모가족의 발생원인 및 유형

한부모가족은 부나 모 중 어느 한쪽의 부재에 의한 父나 母 일방과 자녀만으로 이루어진 가족을 의미한다. 부나 모의 부재는 부나 모의 사망과 더불어, 별거, 이혼, 유기, 미혼모/부를 뜻한다. 이혼은 법적으로 결혼한 부부가 더 이상 함께 살 수 없음을 결정하고 가족을 해체하여 남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자녀가 있는 경우의 이혼은 결과적으로 한부모가족의 형성을 초래하게 되며, 자녀의 양육권은 당사자의 협의 또는 법에 의해 한쪽 부모에게 주어진다. 배우자의 유기에 의한 한부모가족은 부부가 별거하고 있는 상태에서 부부중의 한쪽이 자녀를 양육하면서 가족생활을 영위하는 경우를 말한다. 여기서 부부란 법적으로 혼인관계에 있는 부부와 미혼의 부부를 모두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유기에 의한 한부모가족은 부자가족 보다는 모자가족이 많은 편으로 배우자의 유기는 고의적으로 부에 의해 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미혼 한부모가족은 법적으로 혼인을 하지 않은 상태인 부나 모와 그 자녀로 구성된 가족이며, 배우자로부터 유기(주로 미혼부인이 남편 및 아버지로부터 유기)된 가족이다. 그 외 기타사항으로 배우자가 범죄행위를 하거나 정신질환 등으로 장기간 혹은 영구적으로 투옥, 입원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김은주,2004). 한부모가족 발생원인별로 살펴보면, 통계청(2003) 자료에 의하면 전체 가구 중 한 부모가족이 차지하는 비율은 1985년 8.9%, 1990년 7.8%, 1995년 8.6%, 2000년 9.4%로 증가 하였다. 이들 중 80%가 여성한부모가족이며, 특히 30대와 40대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여성한부모가 된 원인은 이혼(43.7%), 배우자 사망(43.3%), 배우자 가출 및 유기(5.4%), 미혼모(4.7%), 기타(2.9%)의 순으로 나타나 이혼으로 인한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장혜경 외 3인, 2001, 조성연, 2004).
참고문헌
강기정, 2005, “여성한부모의 사회적응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
과”, 대한가정학회지 제43권 9호, pp.15-26
강욱모, 2004, "한부모 가족과 빈곤: 영국에서의 정책변화", 한국사회복지학, 제56
권 제1호, pp.127- 153
김미숙 외, 2000, 「저소득 편부모 가족의 생활실태와 정책과제」, 보건사회연구원
김승권 외, 2004, 「다양한 가족의 출현과 사회적 지원체계 구축방안」, 한국보
건사회연구원
김연옥 외, 2005, 「가족복지론」, 나남출판사
김오남, 2004, “한부모가족 여성가장의 심리적 안녕과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족
복지학 14호, pp.85-118
김은주, 2004, 「저소득 한부모가족의 생활실태 및 지원 방안 연구」, 대전광역시
김학주, 2002, “미국의 한부모가족 복지정책의 성과와 한계” 한국가족복지학 13
호, pp.77-102
박영란 외, 2003, 「여성빈곤 퇴치를 위한 정책개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변화순 외, 2001, 「가족유형에 따른 생활실태와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
개발원
석재은, 2004, “한국의 빈곤의 여성화에 대한 실증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 56권
제2호, pp.167-194
송정숙, 2000, 「저소득 편모의 경제활동참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신용주, 2001, “영국의 한 부모 정책”, 한국여성학 제17권 2호, pp.129-156
여성가족부, 2006, 「모․부자복지사업안내」
윤흥식 외, 2005, “절대 및 차상위 빈곤선을 통해본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지
위 결정에 관한 연구: 저소득 여성가구주 가구를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제21
권 제3호, pp.263-288
윤흥식, 2003, “이혼 및 별거(가족해체)로 인한 모자가정의 빈곤화와 사회안정망
의 역할: 미국의 사회안정망의 대응과 한국적 함의”, 한국사회복지학 통권53호,
pp.51-73
이영찬, 2000, 「영국의 복지정책」, 나남출판사
임영선, 2004, 「저소득 모자가족의 사회적 적응향상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장혜경 외, 2001, 「여성한부모가족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한국여성개발원
정지훈, 2004, 「저소득 한부모가족을 위한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Gregg, P.and S. Harkness, 2003, "Welfare reform and the Employment of
Lone Parents." in The labour Market Under New Labour: The State of
Working Britain, edited by R. Dickens. P. Gregg, and J. Wadsworth.
Hampshire: Palgrave Macmillan.
Rowlingson, K, and S. McKay. 2002. Lone Parent Families: Gender, Class
and State. London: Pearson Education.
웹사이트
보건복지가족부 http://www.mw.go.kr/
여성부 http://www.moge.go.kr/
한국여성개발원 http://www.kwdi.re.kr/
통계청 http://www.nso.go.kr/
보건복지가족부 2008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사업안내
보건복지가족부 2008 자활사업안내
보건복지가족부 2008 한부모가족지원법 사업안내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