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 분석

 1  민족기록화 분석-1
 2  민족기록화 분석-2
 3  민족기록화 분석-3
 4  민족기록화 분석-4
 5  민족기록화 분석-5
 6  민족기록화 분석-6
 7  민족기록화 분석-7
 8  민족기록화 분석-8
 9  민족기록화 분석-9
 10  민족기록화 분석-10
 11  민족기록화 분석-11
 12  민족기록화 분석-12
 13  민족기록화 분석-13
 14  민족기록화 분석-14
 15  민족기록화 분석-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민족기록화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민족기록화의 탄생 배경

1. 1960-1970년대의 정치·경제·사회적 배경
2. 박정희 정권의 문화정책


Ⅲ. 민족기록화 정책

1. 전기 : 1967년-1972년
2. 후기 : 1973년-1979년


Ⅳ. 민족기록화 분석 : 정치 선전 수단으로서의 민족기록화
1. 경제
2. 전승과 구국위업


Ⅴ. 민족기록화에 대한 재해석
: 이미지를 통해 다시 보는 21세기 '민족' 그리고 '민족문화'

1. 경제편 : 획일화로부터 벗어나기
2. 전쟁과 구국위업편 : 전쟁 ․ 영웅에서 평화 ․ 국민으로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민족기록화의 탄생 배경

1. 1960-1970년대의 정치·경제·사회적 배경
60년대는 5·16군사정권의 수립으로 철저한 반공태세가 갖춰지고 산업화가 한창 진행되기 시작한 때였으며, 70년대는 경제제일주의의 이데올로기를 내세워 군부가 권력을 절대적으로 행사하던 시대였다. 군부독재는 국민의 정신뿐만 아니라 신체까지도 권력 행사의 대상으로 삼아 정치적 시위와 집회는 물론이고 개인의 사상, 언어, 행동 및 예술, 언론 등을 경제제일주의와 반공, 애국애족, 국민총화의 이름으로 통제하고 검열했다. 이에 대한 저항은 퇴폐적이고 반민족적인 것으로 치부되었다. 이러한 획일적인 전제주의는 공산당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라는 명목으로 합리화되었는데, 이는 군대가 단순한 억압적 국가기구를 넘어서 본격적인 사회화 기구로 작용하게 되면서 더욱 공고해졌다.
군사정권은 정권의 지속을 정당화하기 위해 ‘한국적 민주주의’, ‘민족적 민주주의’라는 구호를 내세웠고, 민족적 민주주의의 이름아래 국가의 권력은 대통령 중심으로 사유화되었다. 박정희 정권은 또한 삼선개헌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북한의 무장침투 가능성을 강조하면서 국민들에게 위기감을 불어넣는 동시에 ‘자주국방’, ‘자립경제’라는 민족주의 구호를 내세워 대항 세력의 저항을 무마시키려 했다. 72년 10월 17일에는 비상계엄을 선포하여 국회를 해산시키고 정당의 활동을 중지시킨다. 유신의 목표는 ‘부국강병’으로 무엇보다도 경제적 고도성장과 안보강화에 중점을 두었고, 이것의 실현을 위해 지금까지의 낡은 것, 부조리한 것들을 과감하게 없애버리는 정신 혁명과 투철한 애국·애족 정신을 강요하였다. 개인의 권리는 ‘국가’와 ‘민족’이라는 이름으로 무시되고 국가와 개인의 관계는 혼연일체의 ‘민족’이라는 신비적인 모델로 대변되어 독재 권력을 정당화시키는데 이용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해용(2008), 『DMZ이야기』, 눈빛
김재한(2006), 『DMZ 평화답사』, 오름

[논문]
박혜성(2003),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헌이(2009), 「1970년대 이후 한국미술의 내셔널리즘과 미술비평」,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제31집』, 서양미술사학회.

[인터넷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100대 민족문화상징 홈페이지
(http://minjok.mct.go.kr/index.jsp)
디자인 서울 홈페이지
(http://design.seoul.go.kr/dscontent/designseoul.php?MenuID=490&pgID=118)
건축가 승효상 홈페이지
(http://www.iroje.com/)

[도록]
『민족기록화 도록 : 경제편』, 문화공보부, 1973.
『민족기록화 : 전승편』, 국회의원동우회,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
『민족기록화 : 구국위업편』, 국회의원동우회,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