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0년대 문학 레포트

 1  1940년대 문학 레포트-1
 2  1940년대 문학 레포트-2
 3  1940년대 문학 레포트-3
 4  1940년대 문학 레포트-4
 5  1940년대 문학 레포트-5
 6  1940년대 문학 레포트-6
 7  1940년대 문학 레포트-7
 8  1940년대 문학 레포트-8
 9  1940년대 문학 레포트-9
 10  1940년대 문학 레포트-10
 11  1940년대 문학 레포트-11
 12  1940년대 문학 레포트-12
 13  1940년대 문학 레포트-13
 14  1940년대 문학 레포트-14
 15  1940년대 문학 레포트-15
 16  1940년대 문학 레포트-16
 17  1940년대 문학 레포트-17
 18  1940년대 문학 레포트-18
 19  1940년대 문학 레포트-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1940년대 문학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해방전 시문학

1. 시대적 배경 - 가장 혹독한 시련기

2. 사회 문화적 성격 - 민족문학의 위험, 암흑기

3. 국민시의 출현 - 일제를 위한 일제 어용시

4. 주요잡지

4.1.『문장』과 『인문평론』- 암흑기 속, 민족문학을 지키는 등불

4.2. 『국민문학』- 일문판 일색, 일제 협조

Ⅱ. 해방후 시문학

1. 시대적 배경 - ‘혼.란’.

2.1. 좌익 문단 전횡기(1945년 8월~1947년 2월) - 조선문학가동맹

2.2. 좌우 문단 대립기(1947년 2월~1948년 4월)

2.3. 우익 문학 정착기(1948년 8월~1950년 6월) -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

3. 문인의 월북과 전향

4. 주요 잡지

4.1.『백민』- 혼란기, 배불리 먹을 수 있는 문화와 식탁

4.2.『문예』- 대표적 순수 문예지

Ⅲ. 1940년대의 시인들과 시

1. 전위시 - 혁명적 낭만주의와 진보적 리얼리즘

1.1. 혁명의 추진력, 김상훈 (金尙勳 1919∼1987 / 6·25 전쟁 당시 월북)

1.2. 인민의 계관(桂冠) 시인, 유진오 (兪鎭午. 호는 玄民. 1906~1987)

2. 항일저항시

2.1. 저항 의식과 초인 의지, 이육사

2.2. 암흑 속의 시성, 윤동주 (尹東柱, 1917~1945)

3.‘청록파’의 시

3.1. 향토 서정의 환상적 세계, 박목월 (본명 영종泳鍾, 1919~1976)

3.2. 전통적 미학의 세계, 조지훈 (趙芝薰, 본명 동탁東卓, 1920~1968)


본문내용
2. 사회 문화적 성격 - 민족문학의 위험, 암흑기

한국 현대문학사에서 1940년대의 한 시기를 일컬어, 백철은 ‘암흑기’로 규정한다. 백철, 『조선신문학사상사』 현대편, 백양당, 1949, pp. 375~336
그만큼 작가의 글쓰기가 극도로 위협을 받았고, 위축된 시기였다. 왜냐하면, 일제총독 정치는 작가들에게 이른바 총후보국(銃後報國), 문필보국(文筆報國)의 명분을 내세워 조직적으로 친일 문학을 강요하였기 때문이다.
문학과 관련된 문화적 상황을 살펴보면 무엇보다도 ‘한국어 사용의 공적금지’를 들 수 있다. 1938년 ‘조선교육령’을 개정하여 중학교의 조선어 과목을 정과에서 수의과목(隨意科目)으로 변경시킨 일제는, 1940년 2월 창씨제도를 실시하고, 드디어 1942년 한국어 교수(敎授)와 사용을 전면 금지시켰으며 보도연맹으로 하여금 이를 감시하게 하였다.
다음으로 일제는 문학의 발표매체인 한글판 신문, 잡지류를 대부분 폐간시킴으로써 민족문학의 맥을 단절시키고자 하였다. 마침내 국내 3대 신문을 폐간시키고 ― 조선중앙일보를 1937년에,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를 1940년 8월에 폐간 ― 일제의 어용 기관지인 ‘매일신보’만을 남겨 놓았다. 한편 잡지의 경우 당시의 대표적 순수 문예지인 『문장』과 『인문평론』을 1941년에 폐간시키고 같은 해, 문예지에 준하는 『신세기』등은 일제의 강압에 못 이겨 자진 휴간하게 되었다. 이에 대신해서 친일 어용 잡지가 다수 등장하게 되었는데, 문예지로서는『국민문학』,『국민시가』등이, 종합지로서는 『신세기』『춘추』등이 모두 1941년에 창간된다. 이들 잡지들은 1942년 『대동아』로 개정된 1930년대의 대표적인 종합잡지 『삼천리』와 함께 친일의 앞자리에 서게 된다.
이 시련기에 있어서 한국 문인이 취할 수 있는 길은 세 가지였다. 첫째, 일제에 굴복하는 길, 둘째, 일제에 맞서 싸우는 길, 셋째, 문학 그 자체 속에 칩거하는 길이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 다수의 시인들은 일제의 강요에 못 이겨서 혹은 자발적으로 친일을 하였으며, 일부는 아주 절필함으로써 소극적으로나마 일제에 저항하였다. 이 시기를 우리 문학사에서 흔히 암흑기라고 부르는 것은 이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대적 암흑 속에서도 우리 문학의 미래를 비춰 주는 불꽃이 완전히 꺼진 것은 아니다.
참고문헌
· 고종석, 『모국어의 속살』, 마음산책, 2006
· 김혜니, 『한국현대시문학사연구』, 국학자료원, 2002
· 박두진, 『가을절벽』, 미래사, 2003
· 백철, 『조선신문학사상사』 현대편, 백양당,
· 전광하 · 박용일 편저,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 흑룡강 조선민족 출판사, 2002
· 최재서, “국민문학의 요건”, 『국민문학』창간호(1941,11)
· 한양문학회 편, 『목월문학연구』, 민족문화사, 198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