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대사] 민족주의좌파- 조선의열단의 성립과 조직

 1  [한국근대사] 민족주의좌파- 조선의열단의 성립과 조직-1
 2  [한국근대사] 민족주의좌파- 조선의열단의 성립과 조직-2
 3  [한국근대사] 민족주의좌파- 조선의열단의 성립과 조직-3
 4  [한국근대사] 민족주의좌파- 조선의열단의 성립과 조직-4
 5  [한국근대사] 민족주의좌파- 조선의열단의 성립과 조직-5
 6  [한국근대사] 민족주의좌파- 조선의열단의 성립과 조직-6
 7  [한국근대사] 민족주의좌파- 조선의열단의 성립과 조직-7
 8  [한국근대사] 민족주의좌파- 조선의열단의 성립과 조직-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근대사] 민족주의좌파- 조선의열단의 성립과 조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조선의열단의 성립과 조직
1. 초기 의열단의 인원구성
2. 초기 의열단의 활동노선과 성격
3. 초기 사상적 경향
Ⅱ. 조선의열단의 투쟁과 활동
1. 밀양 및 진영사건
2. 부산경찰서 폭격사건
3. 밀양경찰서 폭탄사건
4. 왜총독부 폭격사건
5. 타나카 요시카즈 저격사건
6. 종로결찰서 폭격사건
7. 황옥 경부 폭탄사건
8. 동척 폭탄사건
9. 금호문 사건
10. 동경 사쿠라다몽 사건
11. 상해 홍구공원 사건
Ⅲ. 조선의열단의 노선변화
Ⅳ. 결론
본문내용
Ⅰ. 조선의열단의 성립과 조직
1918년 대한광복회 조직의 붕괴와 3ㆍ1운동의 실패로 인해 더 이상 국내에서의 항일투쟁이 어려워지자 많은 애국지사들은 만주를 비롯하여 중국 혁명의 근거지인 북경, 상해 등지로 망명하여 민족해방운동을 전개하였다. 특히 북경과 상해는 각국의 혁명가들이 망명하여 정치운동을 전개하고 있었고,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만주, 노령 등지에서 추방된 한인들이 이곳으로 모여들어 새로운 독립운동의 근거지가 되었다. 이런 상황아래 국내의 3ㆍ1운동이 촉진제가 되어 자유로운 활동이 보장되었던 상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는 과정에서 의정원 의원으로 활동했던 김대지가 1920년 봄경 밀양에서 상해로 돌아왔을 때 당시의 임시정부는 그의 기대와는 달리 극심한 재정난에다 독립투쟁의 방법과 이념상의 갈등으로 침체에 빠졌을 뿐만 아니라 독립운동가들 사이에 심각한 분열상이 노정되고 있었다. 이즈음 북경에는 신채호, 박용만 등이 이승만, 안창호를 중심으로한 임시정부의 외교론과 실력양성론을 비판하고, 독립군의 급진적인 무력투쟁을 통한 독립전쟁론을 주장하면서 각지의 독립운동가들을 모으고 있었다. 김대지도 이 흐름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였다. 그는 대동청년단의 초대단장이며 후일 임정의 법무부위원이 된 남형우를 비롯한 동지들과 수 차례 만나 비밀결사 조직의 창설을 논의하는 한편 이성우, 강세우, 이종암, 한봉근, 신철휴, 서상락, 권준 등 젊은 동지들을 신흥무관학교에 입교토록 주선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가 제창한 독립운동을 위한 활동의 방향과 지침은 이론적인 구호와 행동은 지향하고 오직 왜적 고관을 저격 살해하고 국내의 주요 공공건물을 파괴하는 실력행사에 목표를 둔 비밀결사단체를 새로이 창설하고 실행해야만 우리 민족의 관심을 일으키고 일제의 식민지 지배를 짧은 시일에 중단시킬 수 있다는 것이었다. 폭력투쟁을 전제로 한 비밀결사조직을 창설하여 의협투쟁을 전개해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많은 동지들의 지지를 받았으며 그는 비밀결사단체의 창설을 서둘렀다. 특히 평소에 자기 경험으로 군대조직은 가망이 없다는 생각을 품고 있었던 황상규와 비밀결사단체의 창단에 관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했거나 당시 재학 중이던 사람들도 동참시켰다. 이들의 가세로 비밀결사조직의 결성은 6월경 가시화 될 수 있었다.
김대지는 젊은 동지들에게 상해 독립운동지사들의 동태와 실정을 알리고 무기와 폭탄 구입 제조의 가능성도 시사하면서 비밀결사단체를 통한 무력혁명의 정당성을 역설하여 그들의 동의를 얻어냈던 것이다. 차후에 김대지의 추천으로 의열단의 단장이 된 황상규의 처조카인 김원봉은 김대지와의 만남을
참고문헌
*조지훈, 『한국민족운동사』, 나남, 1993
*강만길, 『통일지향 우리민족해방 운동사』, 역사비평사, 2001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민족해방 운동의 전개』, 한길사,
*朴泳模,「義烈團 창단과정에 관한 一考察」,『敎育學碩士 學位論文』, 慶星大學校 敎育大學院
*申容憲, 「1919~1935년간 義烈團의 抗日獨立運動 硏究」,『碩士學位 請求論文』, 弘益大學校,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