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공연 산업의 PMC 마케팅

 1  문화 공연 산업의 PMC 마케팅-1
 2  문화 공연 산업의 PMC 마케팅-2
 3  문화 공연 산업의 PMC 마케팅-3
 4  문화 공연 산업의 PMC 마케팅-4
 5  문화 공연 산업의 PMC 마케팅-5
 6  문화 공연 산업의 PMC 마케팅-6
 7  문화 공연 산업의 PMC 마케팅-7
 8  문화 공연 산업의 PMC 마케팅-8
 9  문화 공연 산업의 PMC 마케팅-9
 10  문화 공연 산업의 PMC 마케팅-10
 11  문화 공연 산업의 PMC 마케팅-11
 12  문화 공연 산업의 PMC 마케팅-12
 13  문화 공연 산업의 PMC 마케팅-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화 공연 산업의 PMC 마케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PMC 기업소개 및 선정이유


문화 공연 산업의 특수성 및 외부환경


문화 공연 산업의 내부환경


PMC의 SWOT 분석


PMC의 STP


PMC의 4P

PMC의 문제점


문제점 해결 및 4E를 통한 대안 제시

참고자료

본문내용
문화 공연 산업의 특수성 및 외부환경 분석
PMC 프로덕션의 마케팅 전략을 분석하기에 앞서 PMC가 소속된 문화산업의 특수성에 대해 알아야 하겠다. 문화산업마케팅은 제품이 공연이기 때문에 이동의 제한과 연속성에서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제품중심의 마케팅 과정과 다르다. 또한, 과도한 생산자 위주의 시장이어서 고객지향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외에도 다른 특성이 있는데 아래와 같다.

이 외로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 특성상 무한한 대체재가 존재하고, 창의성에 의한 제품의 다양한 차별성은 고객이 가격에 대해 덜 민감하게 하는 환경적 특성이 있다. 작품의 차별화가 덜하고 일상재화가 될수록 가격은 떨어지기 때문에 산업 내에서 차별성은 중요한 요소이다.
문화 공연 산업 내부환경
산업 내부환경 분석에 대해서는 크게 두 가지 부분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로 소비자의 변화에 대한 분석이고 둘째로는 국내 공연계 상황에 대한 분석이다.


PMC의 SWOT 분석
-기존의 동인제 시스템과는 다른 PD시스템 구축으로 다양한 제품 Know-How
-전용관으로 안정적인 유통구조 확보
-극단의 기업화를 통해 통합적 엔터테인먼트로서의 발전 가능성
-서울시와 연계한 공동 마케팅 체결
(시 정부와 대중에게 인정받은 안정적인 이미지와 해외관객 유치 용이) -장기공연에 대한 Know-How 부족
-회원 관리 시스템의 부족
-세계 공연 유통망에 대한 정보 미약
-전체적으로 충분하지 못한 인력
(마케팅 전문가와 해외업무 전문가 부족)
-상대적으로 공연장 운영 Know-How 부족

-공연관객의 주류인 여성의 사회진출
-외국인 관광객의 증가 (한류열풍)
-40대 이상이 새로운 소비자로 등장
-티켓링크와 일본의 티켓피아의 전략적 제휴
-PMC의 코스닥 등록
(35억원 정도의 자금 유입)
-흥행한 연극의 부수적인 산업요소 창출 가능성 (창구효과) -많은 연극단체의 난립, 차별화 되지 않은 공연들
-1회성 공연
(막대한 제작비 낭비와 수익구조 약화)
-메이저급 공연물의 수입
(맘마미아, 미녀와 야수 등)
-투자자들이 우선적으로 영화산업에 투자함
-외국인들의 국내 문화산업에 대한 인식부족

PMC의 STP 분석
Segmentation
PMC는 크게 국내 시장과 해외 시장으로 분류하였다. 국내 시장에는 어린이, 청소년, 20-30대 청년, 주부, 국내 방문 외국인, 가족단위로 segment를 형성하였고, 해외 시장에는 일본, 중국, 미국, 동남아로 segment를 형성하였다.
Targeting
● 1차 관객 : 공연 매니아 층
- 20~30대 여대생 및 직장인
- 온라인 문화 동아리
● 2차 관객 : 외국인 관광객
- 국내 방문 외국인 , 국내 거주 외국인
- 패키지 관광객 (일본, 중국)
●3차 관객 : 가족 층
(남녀노소 온 관객과 무대가 교감하면서 같이 호흡하고 즐기는 기상천외한 공연)
Positioning
PMC는 주로 매니아를 대상으로 하는 작가주의 관점의 순수예술 극과는 달리 처음부터 일반관객을 대상으로 하고, 관객의 욕구와 만족도를 의식해 만든 대중극으로서의 성격의 공연들을 많이 만들어 냈다. 즉, 고객들은 PMC의 공연들을 오락성과 작품성을 고루 갖춘 상품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런 점에서 타 업체와의 차별성을 형성해 가고 있다.
참고문헌
- 국내공예문화산업에 나타난 컨버스형 마케팅에 관한 연구 – 박용예,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만원사례 예술경영학 – 김승미
- 전석매진 (필립 코틀러의 공연예술 마케팅 전략) - 필립코틀러, 조앤셰프
- (주)PMC프로덕션-난타의 성공과 해외 진출 – 최진아, 조우석
- 청소년 문화포럼 - 뮤지컬 난타 기획자 송승환
- 공연예술경영, 무엇을 어떻게 할까? - 송희영 저
- Marketing an introduction – Armstrong & Kotler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81&aid=0000048328 - 서울신문 인터넷 기사
- http://blog.naver.com/lbswish?Redirect=Log&logNo=80012823415 - 송승환 대표 인터뷰
- http://blog.naver.com/invy1004?Redirect=Log&logNo=130016141501 - 블로그 (4C, 4P, 4E)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