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근대의 태동

 1  조선후기 근대의 태동-1
 2  조선후기 근대의 태동-2
 3  조선후기 근대의 태동-3
 4  조선후기 근대의 태동-4
 5  조선후기 근대의 태동-5
 6  조선후기 근대의 태동-6
 7  조선후기 근대의 태동-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후기 근대의 태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개요
서론.

본론.
1.사(士) - 양반층의 분화와 신분변동
2.농(農) - 상품작물의 재배
3.공(工) - 관청수공업에서 민영수공업중심의 변화
4.상(商) - 1)정부의 정책변화
2)장시의 발달

결론.
본문내용
1.사(士)
양반층의 분화와 신분변동
흔히 조선 후기라 불리 우는 17c 중기 이후의 조선 사회는 전쟁의 상처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사회구성원들이 합심하여 노력하던 시기이다. 전쟁으로 인한 기아(飢餓) 오랜 기간 동안 계속되는 심한 식량부족으로 광범하고 지속적인 굶주림, 쇠약함, 사망을 야기시키는 현상
와 인구감소, 농경지황폐화, 중앙정부의 재정부족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았다. 이러한 혼란스러운 상황은 신분에 관계없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차츰 시간이 지나면서 전쟁의 화마를 조금씩 극복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조선사회를 지탱해봤던 신분 중심의 사회에서 점차 경제력(=생존력) 중심의 사회로 조금씩 변모하고 있었다. 아래의 자료는 경제적 능력으로 신분이나 특권을 인정받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정사(正史) 정통적인 역사 체계에 의하여 서술된 역사나 그 기록
기록이다.
『단원풍속화첩-자리짜기』 김홍도

“재목과 쌀과 베를 모집하여 쓰는 일을 급히 의논하여 처리하지 않을 수 없다. 당상 3품 실직(實職) 이하의 공명첩(空名帖) 나라의 재정을 보충하려고 부유층으로부터 돈이나 곡식을 받고 팔았던 허직(명예직) 임명장이며, 공명(空名)이란 “받는 자의 이름을 기재하지 않은”이란 뜻이며, 첩(帖)은 사령장 또는 임명장을 뜻한다
및 면향첩(免鄕帖) =공명면향첩(空名免鄕帖) 향리에게 역을 면제하는 증서
·면역첩(免役帖) =공명면역첩(免役帖) 양역(良役)의 면제를 인정하는 증서
·허통첩(許通帖) =서얼허통첩(庶孼許通帖) 그리고 서얼에게 벼슬에 나가는 것을 허용하는 증서
등을 부지런하고 민첩한 문관들에게 넉넉히 보내어 속히 모집해 쓰도록 할 일을 도감 나라의 중요한 일을 관장할 목적으로 수시로 설치한 임시관청
으로 하여금 착실하게 거행하도록 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