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옥의 `심생전`과 `이언`의 작품세계

 1  이옥의 `심생전`과 `이언`의 작품세계-1
 2  이옥의 `심생전`과 `이언`의 작품세계-2
 3  이옥의 `심생전`과 `이언`의 작품세계-3
 4  이옥의 `심생전`과 `이언`의 작품세계-4
 5  이옥의 `심생전`과 `이언`의 작품세계-5
 6  이옥의 `심생전`과 `이언`의 작품세계-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옥의 `심생전`과 `이언`의 작품세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가 소개

2. 에 대해서

3. 에 나타난 작품세계

4. 의 줄거리

5. 에 나타난 작품세계

1) 의 제재적 소원(遡源)과 맥락

2) 의 서사적 특성- 의 서사이론을 통해 본

3) 심생전 속 인물의 성격분석

4) 결말을 통해 본 이옥의 작가의식


본문내용
2. 에 대해서

은 4조 5언 절구 66수의 연작시로 구성되어 있다.
「아조」편에는 혼인을 하며 미래를 낙관적으로 그리는 모습과 혼인 후 시집생활을 긍정적으로 꾸려나가는 여성의 모습이 나타난다. 그동안 교육을 통해 내면화해 온 덕목들을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실천해나가면서, 사회에서 요구하는 덕목과 여성이 기대하는 소망이 일치하는 주체적인 여성의 삶을 보여준다.
「염조」편에는 창기에게 유혹을 느끼는 남편으로 인해 불안해진 여성의 행동과 감정이 나타난다. 그러나 남편과의 정을 잃지 않기 위해 외모를 치장하고 아들을 낳으려는 노력을 하며 다시 「아조」때의 모습으로 돌아가길 꿈꾼다.
「탕조」편의 화자는 앞에서 등장하던 여성이 아닌 기생이다. 기녀 또한 여성과 마찬가지로 남성섹슈얼리티로 인해 상처를 받는 인물이다. 남성이라는 지배적인 힘으로 인해 생겨나는 여성의 삶의 차이를 보여준다 하겠다. 또한 치밀하고 섬세한 작품구성으로 남성과 기녀의 관계, 남편과 아내의 관계, 아내와 기녀의 관계를 입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비조」편에서 여성은 방탕한 남편의 아내가 되어버렸다. 남편은 아내를 구박하고 의심하고 때리기까지 한다. 결국 아내는 자신의 정체성을 극복하지 못하고 자신을 구원해줄 미래의 가치를 생산할 능력을 상실하며, 그것은 죽음으로 이어지게 된다.
3. 에 나타난 작품세계

이언은 을 통해서 시정 공간의 서민과 기녀의 삶의 단면들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서민사회 여성들의 생활 감정과 정취를 다루고 있다. 또한 전통적 한시의 관습으로부터 멀리 벗어나서 우리말 속어와 구어를 자유롭게 구사하였다. 관능적이고 육감적인 감정의 자유로운 표현, 상대방에 대한 질투, 육체의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 고부간의 갈등과 그에 맞서는 당돌한 태도, 독수공방의 서러움 등이 묘사되어 있다. 이러한 시 경향은 그 동안 비속하다고 치부되어온 것을 오히려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옥은 “무릇 천지만물을 살피는 데에는 사람을 보는 것보다 큰 것이 없으며, 사람을 살피는 데에는 情보다 묘한 것이 없으며, 情을 살피는 데에는 남녀 간의 情을 보는 것보다 더 참된 것이 없다”고 하였으며, 인간의 가장 자연스러운 욕구와 감성의 해방을 추구하는 데 큰 열의를 보였다. 이렇게 이옥은 을 통해서 중세라는 억압적, 권위적인 질서와 그 규범으로부터 벗어나려 하였다.

4. 의 줄거리

서울 사족 출신의 심생은 어느 날 종로 네거리에서 우연히 한 여종이 붉은 보자기에 싸서 어떤 처녀를 업고 가는 것을 보고 그 뒤를 따라간다. 그는 사랑하는 마음을 억누를 수가 없어, 밤마다 그녀의 집 담을 넘어가기를 30일 동안 계속했으나 좀처럼 만날 수가 없었다. 결국 심생의 진실된 사랑을 안 처녀는 심생을 자신의 방으로 불러들이고 자신의 부모를 설득시킨 뒤, 동침했다. 그 뒤 심생은 밤마다 그녀를 찾았고 이를 눈치 챈 심생의 부모는 절에 들어가 공부하도록 했다. 부모의
참고문헌
고미숙, 『우리 고전문학을 찾아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2005
박영민, 「이옥, 여성의 정체성과 수동적 주체의 생산」,『고전문학과 여성주의적 시각』,소명출판, 2003
이상구, 「의 인물형상과 작가의식」
정하영, 「의 제재적 맥락과 서사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