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아동 인터넷 중독

 1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아동 인터넷 중독-1
 2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아동 인터넷 중독-2
 3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아동 인터넷 중독-3
 4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아동 인터넷 중독-4
 5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아동 인터넷 중독-5
 6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아동 인터넷 중독-6
 7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아동 인터넷 중독-7
 8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아동 인터넷 중독-8
 9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아동 인터넷 중독-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아동 인터넷 중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초록
I. 서론
II. 본론
III.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 인터넷 게임 중독 아동의 심리장애
인터넷에 중독된 청소년들에게서 다양한 정신질환이 발견됐다. 특히 연령대가 낮을수록 증상이 심각했다. 유아기에 잘못된 인터넷 접촉을 하지 않도록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서울대 병원 소아정신과 김붕년 교수는 3일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서울대병원 인터넷 중독 클리닉에서 치료받은 8~18세 청소년 3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에 수반되는 각종 동반장애를 조사한 결과, 30명 모두에게서 정신질환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한 사람이 두 가지 이상의 질환을 동시에 갖고 있는 경우도 전체의 73%인 22명이나 됐다. 대부분 학교생활은 물론 가족관계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조사대상 30명 중 가장 많은 18명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를 보였다. ADHD는 주의력 산만, 과도한 활동, 충동성 등의 특징이 있다. 학교 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학업성취도가 떨어지며 식구들과의 관계도 나빠지는 등 인성에 심각한 장애를 가져오는 증상이다. 14명에게서는 우울증이, 6명에게서는 행실장애가 발견됐다. 행실장애는 ▲ADHD가 있는 아동▲부모가 자식을 거부하는 상태에서 혼자 자란 아이에게서 발생률이 높다. 행실장애가 있으면 자기의 잘못된 행동에 대한 죄책감이나 후회가 없으며 고자질을 자주 하거나 자기 책임을 남에게 떠넘기는 증상을 보인다. 반항장애를 가진 청소년도 4명이나 됐다. 거부적•적대적•반항적 행동양상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정신질환 외에 틱 장애가 더욱 악화되는 투렛장애를 비롯해 범불안장애, 경계성 지능장애도 각각 한 건씩 나타났다. 경계성 지능장애는 또래 아이들의 평균 지능에 약간 못 미치는 경우로 학습을 본격적으로 하지 않는 유치원 시절에는 잘 몰랐다가 취학 뒤 문제가 불거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연령이 낮을수록 증상이 더욱 심각했다. 8세 어린이의 경우 투렛장애와 발모광을 동시에 앓고 있었다. 발모광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머리를 쥐어 뜯는 병이다. 김 교수는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인터넷 중독 진단이나 치료에 대한 연구가 어느 정도 자란 청소년에 한정돼 있다.”면서 “아동에게서 더 심각한 정신병적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사회적으로 더욱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터넷 중독의 가장 뚜렷한 증상은 컴퓨터와 있는 동안 기분 좋은 느낌이나 행복한 감정을 갖게 되는 것이다. 컴퓨터로 인한 활동을 그만두지 못하고 컴퓨터 앞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싶어지게 된다. 컴퓨터가 없을 때에는 우울•초조해지고 공허감을 느끼기도 한다.

2. 부모와 자녀간의 의사 소통과 인터넷 중독

2.1 부모와 자녀간의 의사 소통의 유형
아동이 성장하는데 필수불가결한 존재인 부모는 아동과 가장 기본적인 관계이며, 인격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적인 관계로 책임을 공유한 밀접한 관계이다. 이러한 부모자녀관계의 상호작용은 부모의 비언어적 표현뿐 아니라 언어적 표현의 의사소통을 통해서 영향을 주고받는다. Gross, Crandall 및 Knoll(1980)은 의사소통이란 사람들 간에 감정, 사실, 태도, 믿음, 생각을 전달하는 과정으로 상호대화를 통해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서로를 이해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고 하였고, Galvin과 Brommel(1982)은 의미를 창출하고 공유하는 상징적 상호교류과정으로 의미들을 창조하고 공유하는 과정으로 보았다. 즉,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은 상호간의 밀접한 감정교류나 개인의 사고, 가치, 생각이나 관심 등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의 전달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래서 부모와 자녀는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의사 소통을 통해서 서로의 의견을 표현하고 공유하며, 자녀는 그 속에 포함된 의미와 행동양식을 내면화하여 발달시켜 나가기 때문에 의사소통을 통해 영향을 받아 자기 자신에 대한 평가를 하게 되고 행동양식을 결정하게 된다.
이렇듯 의사소통은 사회의 가장 기본적 관계인 부모자녀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현대 사회는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가족형태가 변하여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였고 자녀의 수도 줄어들었다. 이러한 가족 구조의 변화로 인해 아동이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지게 되었고, 부모와 진솔하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었다. 남현주(1996)는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은 가족간의 밀접한 감정교류, 개인의 사고, 가치, 관심들의 표현을 촉진시키거나 지체시키는 정도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가족구성원의 적응과 응집을 돕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고 보았는데, 대화의 부족으로 생기는 부모와 자녀간의 오해와 갈등으로 인해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을 초래하여 학교나
참고문헌
김연화(2005).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및 또래관계와 아동의 인터넷 중독 정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옥희(2004). 인터넷이 아동들에게 미치는 사회적 역기능 유형분석.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Barnes, H. & Olson, D.H.(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 Olson, D.H. McCubbin, H.I., Barns, H., Larsen, A., Muxen, M. & Wilson, M. Family ; Inventory. Social science, M.N: University of Minnesota
Galvin K. M., & Brommel B. J.(1982). Family communication(Cohesion and Change). Illinois; Scott, Foresmand and Company
Ginott, H.(1980). Approach to parent education, In F. J. Marvin(Ed.), Handbook on parent education. New York: Academic Press, Inc : 80-96
Goldberg, I. K.(1996). Internet addiction. Electronic message posted to research discussion List.
Gordon, T. (1975). P.E.T(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The tested new way to raise responsible children. New York : New America library

Gross, I. H., Crandall, E. W. & Knoll, M. M.(1980)Management for modern families(4th Ed.), Englewood Cliff, N. J.; Prentice-Hall
Weber, J. A., & Fournier. D. G.(1985). Family support and a child’s adjustment to death. Family relation. 34, 43-49.
Young K. S. (1997). What makes the Internet addiction: Potential explanation for pathological Internet use. Paper presents at the 105th annual conference of the APA, Chicago, IL.
Young K. S. (1998).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1(3), 237-244
Young K. S. (1999). Internet addiction: Symptoms, evaluation an treatment. Innovation in clinical practice : A source Book, 17, 19-31.
Young K. S. (1999).Caught in the net. John Wiley & Sons Press.
Young K. S. (2000). 인터넷 중독증, 서울: 나눔의 집, 김현수 옮김.
대한보건협회 http://www.kpha.or.kr/
서울신문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자녀교육
-삼성생명 사회정신건강연구소
한국일보 http://news.hankooki.com
한국인터넷진흥원 http://www.nida.co.kr
한국정보문화진흥원 http://www.kado.or.kr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