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전희곡] 천녀이혼, 비파기 작품속의 여성상 연구

 1  [중국고전희곡] 천녀이혼, 비파기 작품속의 여성상 연구-1
 2  [중국고전희곡] 천녀이혼, 비파기 작품속의 여성상 연구-2
 3  [중국고전희곡] 천녀이혼, 비파기 작품속의 여성상 연구-3
 4  [중국고전희곡] 천녀이혼, 비파기 작품속의 여성상 연구-4
 5  [중국고전희곡] 천녀이혼, 비파기 작품속의 여성상 연구-5
 6  [중국고전희곡] 천녀이혼, 비파기 작품속의 여성상 연구-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고전희곡] 천녀이혼, 비파기 작품속의 여성상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말

Ⅱ.《천녀이혼》의 여성상
1. 진보적․이상적 사랑을 추구하는 장천녀(張倩女)
2. 희곡 작품을 통해 민중들의 감정을 대리표출했던 元代

Ⅲ.《비파기》의 여성상
1. 정절(貞節)과 지효(至孝)의 상징, 조오낭(趙五娘)
2. 여성의 정조를 매우 중시했던 明代

Ⅳ. 나오는말
본문내용
1. 진보적․이상적 사랑을 추구하는 장천녀(張倩女)

잡극 《천녀이혼》 작품의 대략적인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장천녀(張倩女)와 왕문거(王文擧)는 부모의 언약으로 태어나기 전에 정혼한 사이였다. 하지만 천녀의 어머니는 문거가 아직 벼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결혼을 허락하지 않고, 두사람을 오누이로 부르게 하였다. 이에 왕문거는 과거를 보러 떠나게 되고, 첫 눈에 문거에게 반한 천녀는 원망과 근심, 상사병으로 앓아 눕게되는데, 이에 천녀의 영혼이 육신을 떠나 사랑하는 문거를 따라 서울로 함께 가서 3년간 행복한 생활을 누리게 된다. 왕문거가 과거에 급제한 후 천녀와 함께 고향으로 돌아오니, 영혼과 육신이 서로 합해지고, 온가족이 기뻐하며 잔치를 벌이고 혼인을 치루게 되었다.

은 봉건 가장과 젊은 세대 간의 갈등을 표출하고, 서로간의 혼인 가치관의 대립을 강조시킨 작품으로, 그 속에서 오직 여주인공 천녀만이 봉건사상이 팽배해 있는 사회에서 사랑이 세속의 어떤 것보다도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자신의 사랑을 추구하기 위한 외로운 투쟁을 전개해나간다.
천녀의 완강하고 반항적인 성격은 극중 일괄되게 드러나고 있다. 자신과 왕문거의 혼인을 반대하는 어머니를 “고약한 심보를 부리셔서라네”라며 원망하는 부분부터, 과거를 보러 떠나는 왕문거에게 다른 사람의 사위가 되지 말라고 당부했음에도 문거가 떠나자 걱정과 원망 속에 결국 쓰러지고, 의사의 진찰도 거부하며 3년간 일어나지 못하게 되는 부분과 함께, 결정적인 천녀의 뜨거운 감정과 반항적 성격의 노출은 “離魂”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나게 되어, 실제 천녀보다도 더욱 솔직하고 진솔하게 자신의 내면심리를 보여준다.
천녀의 영혼이 왕문거를 쫓아간 뒤 그로부터 “예절을 갖추어 혼인하고 들이면 정실이요. 야반도주하면 곧 첩이요”라며 호된 질책을 받을 때도, 조금도 당황하지 않을뿐더러, 도리어 “어머니가 만약 우리를 쫓아오신다 한들 어떻게 하겠어요? 속담에도 말하길 내친 김에 끝장을 본다고 하잖아요”라며 봉건사상에 깊이 빠져 있는 남자주인공에게 자신에 사랑에 대한 마음과 태도를 단호히 드러내고 있다.
결국 작품 속 영혼의 천녀는 자신의 이상적인 사랑을 추구하기 위하여, 시대적 규범을 깨뜨리고 목숨을 걸고 사랑을 추구하는, 바로 작가 마음속의 “이상적 천녀의 형상”이다.

참고문헌
『중국전통극의이해』 신지영著/ 범우사/ 2002
『중국의 희곡과 민간연예』 김학주著/ 명문당/ 2002
『중국인의 생활과 문화』 이벤허著/ 김영사/ 1994
「논문⟪倩女離魂⟫中 倩女 形象의 분석」 권경희/ 한국중문학회/ 1998
「논문 元代 戱曲論 硏究」 권응상/ 한국중국학회/ 1994
「논문 급고각본에 반영된 명대 문인의 사상과 심미관」김영숙/ 영남중국어문학회/ 2002
「논문 明代 女性의 克己復禮」김소정/ 영남중국어문학회/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