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

 1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1
 2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2
 3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3
 4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4
 5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5
 6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6
 7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7
 8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8
 9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9
 10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10
 11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11
 12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12
 13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13
 14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14
 15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15
 16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16
 17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17
 18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18
 19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19
 20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탈북자 관련 법률과 보호 및 정착지원 제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북한이탈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의 개정
1. 법률 개정의 연혁
1) 변천 과정
2) 지원 내용과 수준
2. 개정 이유



Ⅲ. 새터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
1. 정착지원 제도
2. 주거지원
3. 직업 훈련
4. 자격증 취득 및 취업
5. 교육지원
6. 국민기초생활보장
7. 사회 진출 후 지원
8. 각종 거주지 지원 업무
9. 이혼 문제



Ⅳ. 맺음말


※ 부록 : 참고문헌

본문내용
2. 개정 이유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지원은 이들이 최초로 발생한 시점부터 있어 왔으나, 이들을 위한 지원 법률은 1962년 「국가유공자 및 월남귀순자특별원호법」의 제정으로 시작 탈북자 정착지원의 경우, 이기영,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제37권, 1999. 4, pp. 340 ~ 341
되었다. 그 후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지원은 관계법령의 개정에 따라 변화하여 왔다. 이는 곧 북한이탈주민이 받는 수혜의 폭이 변화되어 왔음을 의미 탈북자 정착지원금 축소 파장, 정운종, 북한연구소, 북한 2005년 2월호(통권 제398호), 2005. 2, p. 124
한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지원 법률은 남한정부의 재정상태, 남북관계의 상황(대북 자신감 정도), 북한이탈주민의 규모, 북한이탈주민의 적응능력과 적응의지 변화, 그리고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활용가치의 중요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변화하여 왔다.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에 변화를 가져온 구체적 변수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 정부의 재정적 부담이다. 새로운 삶의 터전을 찾아온 북한이탈주민들의 안정된 생활을 위해서는 충분한 재원이 필요 탈북자가 말하는 남한사회, 이주철,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탈북자문제의 이해, 2003. 12, pp. 157 ~ 158
하다. 그러나 1990년대 이전 소규모 입국시기에는 재정적 부담을 크게 느끼지 않았으나, 1990년대 후반 이후 그 규모의 급증으로 새로운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또한 북한정세의 변화에 따라 북한주민의 대량유입도 예상될 수 있으므로 남한 정부의 재정부담은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남북 관계의 변화와 대북 자신감 정도를 들 수 있다. 남한정부는 과거 북한이탈주민을 체제우위를 선전하는 체제홍보의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해 왔다. 따라서 북한에 대한 남한 정부의 자신감과 남한 주민들의 대북관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책결정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최근 남북관계의 개선은 북한이탈주민 정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입국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의지는 높지 않은 상황이다.

셋째, 탈북자의 발생과 북한이탈주민 규모를 들 수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증가는 위에서 제기된 것과 같이 남한의 재정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그 활용가치도 떨어뜨리게 된다. 연간 북한이탈주민 입국자는 1999년 100명을 넘은 이후 3년 뒤인 2002년 1천명을 넘었으며, 2006년은 2019명이 입국하여 연간 2천명 시대를 열었다. 더구나 전체 누적규모는 1989년 607명에 불과하였으나, 현재는 1만 명을 돌파 한국 내 탈북자의 처리문제와 해결방안, 정주신, 한국통일전략학회, 통일전략 제6권 제1호, 2006. 8, pp. 168 ~ 170
하였다.

넷째,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수준과 적응의지를 들 수 있다. 1990년대 이후 북한이탈주민에 대하여 체계적인 지원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나, 이들의 적응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탈북자문제와 정부의 통일 정책, 김보근, 철학문화연구소, 철학과 현실 철학과현실 1997년 가을호(통권 제34호), 1997. 9, pp. 155 ~ 156
. 따라서 북한이탈주민의 자립과 자활을 촉진하고 적극적인 적응의지를 제고하려는 경향이 법률 개정에 영향 탈북자 문제에 대한 관련국의 정책, 윤여상,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탈북자문제의 이해, 2003. 12, pp. 46 ~ 50
을 미치고 있다.

다섯째, 남북관계의 진전과 국제적 환경요인을 들 수 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남북관계의 실제적 개선으로 북한이탈주민은 남북한 관계 개선의 걸림돌로 인식되는 측면이 있으며, 재외 탈북자 문제는 이들에 대한 국제적 차원의 보호와 이들 체류국가와의 외교적 문제를 발생 탈북자 실태와 해법/탈북자 남한정착, 무엇이 문제인가?, 조용관, 북한연구소, 북한 2001년 8월호(통권 제356호), 2001. 8, pp. 62 ~ 65
시켜왔다. 이러한 환경적 변화는 관련 법률 개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새터민(북한이탈주민) 입국현황, 편집부, 북한 2006년 2월호(통권 제410호), 2006
탈북자 1만명 시대 문제점과 대책, 윤여상, 北韓 2007年 04月號(通卷 424號), 2007
탈북자 문제의 주요 쟁점과 전망, 최대석,조영주, 北韓學報 第33輯 2號, 2008
탈북자(자발적 북한이탈자)의 인권보호와 국제인권법, 장복희, 土地公法硏究 第40輯, 2008
국내의 탈북자 실태와 정부의 과제, 정주신, 통일전략 제3권 제2호, 2003
한국 내 탈북자의 처리문제와 해결방안, 정주신, 통일전략 제6권 제1호, 2006
탈북자의 인권을 위한 초국적사회운동의 역할, 이효선,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4
새터민의 사회적응정책의 방향 모색, 안혜영, 월간 복지동향 제117호, 2008
해외 탈북자 실태와 대책, 윤여상, 北韓 2008年 5月號(通卷 437號), 2008
탈북자 정착지원의 경우, 이기영, 한국사회복지학 제37권, 1999
탈북자 정착지원금 축소 파장, 정운종, 북한 2005년 2월호(통권 제398호), 2005
탈북자가 말하는 남한사회, 이주철,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탈북자문제의 이해, 2003
탈북자문제와 정부의 통일 정책, 김보근, 철학과 현실 철학과현실 1997년 가을호(통권 제34호), 1997
탈북자 문제에 대한 관련국의 정책, 윤여상,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탈북자문제의 이해, 2003
탈북자 실태와 해법/탈북자 남한정착, 무엇이 문제인가?, 조용관, 북한 2001년 8월호(통권 제356호), 2001
탈북자 실태와 해법/탈북자 정착 지원의 기본 방향, 홍양호, 북한 2001년 8월호(통권 제356호), 2001
탈북자의 남한생활, 이주철,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탈북자문제의 이해, 2003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방안, 서수진, 단국대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정책 분석, 이경숙,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5
탈북자 현황과 대책, 이영기, 사회과학논총 제12집, 1996
탈북자 수용의 문제와 그 대책, 송정숙, 기독교사상 1997년 6월호(통권 제462호), 1997
탈북자의 남한사회 정착문제, 김중태,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탈북자문제의 이해, 2003
탈북자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조용관, 북한학보 23, 1999
남한사회적응에 어려움 겪는 탈북자들, 김승철, 북한 2002년 5월호(통권 제365호), 2002
탈북자 국내정착 개선, 생각부터 바꾸자, 평화문제연구소, 통일한국 2008년 10월호, 2008
탈북자의 취업 및 직장적응 실태와 개선방안, 윤인진,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4
탈북 귀순자 확대시 대비책:탈북자 지원법 보완 요구, 윤양중, 통일한국 1997년 1월호(통권 제157호), 1997
탈북자의 자립정착을 위한 자조모델, 윤인진,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999
탈북자의 사회적응 지원을 위한 종합형 사례관리 모형의 제시와 그 실천, 엄명용, 한국사회복지학 제37권, 1999
북한이탈주민 정착제도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김용환, 공주대학교, 2007
탈북자 지원법안의 문제점과 대안, 이종훈, 통일한국 1996년 12월호(통권 제156호), 1996
탈북자의 취업에 대한 경제사회학적 연구, 백경민,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7
남한의 북한 이탈주민을 위한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장동수, 조선대학교, 2007
탈북자 정착을 위한 법률안 마련 의미, 김연철, 통일한국 1996년 10월호(통권 제154호), 1996
달라지는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제도, 김현철, 북한 2004년 9월호(통권 제393호), 2004
탈북자 지원대책과 문제점, 평화문제연구소, 통일한국 1996년 12월호(통권 제156호), 1996
'새터민'의 효율적 정착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동승철, 동국대학교, 2006
해외탈북자의 법적지위와 처리방향, 서울국제법연구원, 제성호, 2002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북한이탈주민후원회 (www.dongposarang.or.kr)
통일부 인도협력국 (blog.naver.com/unicul)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