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영화 우리학교와 고 분석

 1  두 영화 우리학교와 고 분석-1
 2  두 영화 우리학교와 고 분석-2
 3  두 영화 우리학교와 고 분석-3
 4  두 영화 우리학교와 고 분석-4
 5  두 영화 우리학교와 고 분석-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두 영화 우리학교와 고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순수한 민족적 동기였든 혹은 사회주의 이념이 첨가된 의도였든(물론 둘 중 전자가 반드시 더 '순수'하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이 둘 역시 상당 부분 겹칠 수 있다) 북한은 분명 재일조선인을 한 동포로 생각하고 있다. 지금까지도 재일조선인의 존재조차 알지 못하는 우리의 상황과 분명 다르다. 우리가 말로만 외치는 민족, 통일, 혹은 이제는 그것조차 이데올로기적이라고 비판하며 벗어던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개념들이 북한에서는 구체적으로 실천되고 있었다. 이데올로기와 그 모든 분단 사실을 떠나서 적어도 그 모습은 재일조선인을 외면하는 우리보다 훨씬 '인간적'이었다.

한편 영화 '고'는 다른 시각에서 재일교포의 이야기를 풀어낸다. 재일조선인학교 학생이었던 주인공 '스기하라'는 아버지의 하와이 여행을 계기로 국적을 조선에서 한국으로 바꾸고 일본학교로 전학을 간다. 그는 자신을 '재일교포'라고 부르는 사람들, 항상 가지고 다녀야 하는 외국인신분증, 지문 찍기를 강요당하는 현실, 가장 친한 친구의 어이없는 죽음, 여자 친구의 거부 등 자신을 둘러싼 현실에 분노할 수밖에 없었다. 그곳에서 태어나고 자란 교포 3세이므로 한글보다 일본어가 익숙하고 이미 일본문화에 포함된 그다. 그럼에도 자신을 부르는 '재일교포' 라는 이름은 곧 그가 '언젠가는 떠날 외국인' 임을 의미한다. 그렇다고 조선인 학교에서 민족적 긍지를 찾을 수 있었던 것도 아니다. 그가 본 것은 오직 독기 가득한 오만, 편협한 민족주의였을 뿐이다. 조선, 한국, 그리고 일본. 그 사이에서 그는 자신을 규정할 수 있는, 자신의 존재를 온전히 담아낼 수 있는 어떤 이름도 발견하지 못한다. 세 국가는 마치 '스페인'처럼 그에게 어떤 의미도 줄 수 없을 뿐이다.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과정에서 그는 이것을 무겁게 '민족'의 이름으로 풀어내기보다 그 반대의 형식으로 극복한다. 마지막에 여자 친구와의 재회에서 알 수 있듯, 그는 자신을 규정하는 모든 '이름'을 벗어던진다. '나'라는 말조차 무의미하다고 외친다. 즉 모든 '호명'을 벗어나는 것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만들어간다. 아니, 영화에서 자신 역시 정체성에 확신할 수 없을 것이다. 단지 그것을 벗어던짐, 그것이 첫 발이다. 모든 것을 '민족'이라는 울타리에 쑤셔 넣으려는 일본, 한국, 조선이라는 모든 사회 공동체에 대한 반항이다. 국적이라는 분명한 말로 규정되는 자신의 정체성이 아니라 스스로 자신을 만들어가겠다는 당당한 선언인 것이다.
'고'는 내내 '호명'에 대해 말하고 있다. 주인공의 정체성 찾기 역시 호명의 과정과 무관하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