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

 1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1
 2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2
 3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3
 4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4
 5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5
 6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6
 7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7
 8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8
 9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9
 10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10
 11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11
 12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12
 13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13
 14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14
 15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15
 16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16
 17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17
 18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18
 19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19
 20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현대시읽기] 자아의 윤리와 자화상(서정주, 오장환, 윤동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기
발표 작품 선정 이유 및 목차 소개

감상하기
서정주 「상가수의 소리」- 시 세계 및 특징 분석, 작품감상
오장환 「황혼」- 시 세계 및 특징 분석, 작품감상
윤동주 「흰 그림자」- 시 세계 및 특징 분석, 작품감상

나오기
세 작품 정리 및 결론
본문내용
2. 서정주의 시 세계

탐미적인 경향이 보인다. 미당 시의 특징은 바로 우리말을 다루는 그의 천부적인 감각이다. 그의 고향 전라도의 사투리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미당의 시 언어는 민족어의 가능성을 한껏 키운 것으로 평가된다.
75년에 낸 여섯번째 시집 는 미당 시의 사실상의 마지막 절정이었다. 유년기 고향 마을 사람들과 풍속을 산문 양식에 담은 이 시집은 미당 정신세계의 지향점인 신라정신이 일상과 결합된 양상을 보여준다.
서정주는 그의 후기 시세계에 들어서면서 근대화 되어가는 현실 상황과 합리적 이성에 반대되는 타자 개념으로서 전통적인 세계를 탐구하기 시작했다. 근대화에 강렬히 반대했다기보다는 대체적 개념으로서의 다른 공간을 창조해내는 과정에서 전통적이고 향유적인 세계를 만들어냈고 대표적으로 ‘질마재 신화’이야기를 사용했다.


上歌手의 소리
 
질마재 上歌手의 노랫소리는 답답하면 열두 발 상무를 젓고, 따분하면 어깨에 고깔 쓴 중을 세우고, 또 喪輿면 喪輿머리에 뙤약볕 같은 놋쇠 요령 흔들며, 이승과 저승에 뻗쳤습니다.
그렇지만, 그 소리를 안 하는 어느 아침에 보니까 上歌手는 뒤깐 똥오줌 항아리에서 똥오줌 거름을 옮겨 내고 있었는데요. 왜, 거, 있지 않아, 하늘의 별과 달도 언제나 잘 비치는 우리네 똥오줌 항아리,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지붕도 앗세 작파해버린 우리네 그 참 재미있는 똥 오줌 항아리, 거길 明鏡으로 해 망건 밑에 염발질을 열심히 하고 있었습니다. 망건 밑으로 흘러내린 머리털들을 망건 속으로 보기좋게 밀어넣어 올리는 쇠뿔 염발질을 점잔하게 하고 있어요.
明鏡도 이만큼은 특별나고 기름져서 이승 저승에 두루 무성하던 그 노랫소리에서 나온 것이 아닐까요?
 
3. 시어 분석

1. 질마재
- 시인의 출생지인 전라북도 고창군
선운리 마을의 속칭
- 고향으로 회귀하고자 하는 서정주의
정서가 반영된 시적 공간
- 근대화, 산업화된 그 당시 현실과 대비
되는 전통적인 공간

2. 상가수
- 제의적 노래를 부르는 소리꾼
- 노래로써 이승과 저승을 매개하는
초월적, 영매적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