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생활사] 제3장 국어의 형성 요약

 1  [국어생활사] 제3장 국어의 형성 요약-1
 2  [국어생활사] 제3장 국어의 형성 요약-2
 3  [국어생활사] 제3장 국어의 형성 요약-3
 4  [국어생활사] 제3장 국어의 형성 요약-4
 5  [국어생활사] 제3장 국어의 형성 요약-5
 6  [국어생활사] 제3장 국어의 형성 요약-6
 7  [국어생활사] 제3장 국어의 형성 요약-7
 8  [국어생활사] 제3장 국어의 형성 요약-8
 9  [국어생활사] 제3장 국어의 형성 요약-9
 10  [국어생활사] 제3장 국어의 형성 요약-10
 11  [국어생활사] 제3장 국어의 형성 요약-11
 12  [국어생활사] 제3장 국어의 형성 요약-12
 13  [국어생활사] 제3장 국어의 형성 요약-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생활사] 제3장 국어의 형성 요약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3장 국어의 형성
1. 고조선
2. 부여계와 한계
3. 삼국의 언어
3.1.고구려어
3.2. 백제어
3.3. 신라어
4. 삼국어의 이동
5. 중세국어
6. 국어사의 제단계
*참고자료*
본문내용
제3장 국어의 형성
우리 민족이 단일 언어를 지켜온 것은 높은 문화적 역량때문이었다. 그런데 오늘날 한반도와 만주에 걸친 지역의 옛 언어들에 대한 자료들이 거의 소멸하여 옛 史書를 통해서 그 언어들의 모습을 추정할 뿐이다.

1. 고조선
고조선에 대해서는 檀君, 王儉, 阿斯達, 朝鮮과 같은 고유명사 서너개의 단일 표기 뿐이어서 그 해석이 지극히 어렵지만, 고구려나 신라의 언어들에 비추어 눈길을 끄는 것이 있다.
儉 - 신라어의 금 (王)
達 - 고구려어의 달 (山)
朝鮮의 朝와 阿斯사이의 관련성
뒤의 기자조선에 대해서는 箕子의 해석을 놓고 견해가 분분하였다. 최근 백제에서 임금을 긔ㅈ라 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통치자를 일컬었던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한국민족의 기원을 단군신화에 근거하여 기원전 20세기 이전으로 잡는다 하여도 그 시절의 언어에 관해서는 아무런 자료가 없어 뭐라 말하기 힘들다. 다만 신화에 등장하는 환웅을 알타이 제어 사용자로 보고, 웅녀를 고아시아 제어 사용자로 보아도 볼 수 있다면 단군의 언어의 성격을 추정할 수 있을지 모르나 이런 방법은 언어학에서 취할 것이 못된다. 한국어 특질론, 김동소, 정림사, 2005년.


2. 부여계와 한계
서력 기원을 전후한 한반도와 만주의 언어 상태는 삼국지(289년경)의 위지 동이전의 기록을 바탕으로 살펴볼 수 있다.

북쪽에는 부여, 고구려, 옥저, 예의 언어가 있었다. 그 언어들에 대한 기술은 다음과 같다.
高句麗 - 東夷舊語 以爲夫餘別種 言語諸事 多與夫餘同
동이의 옛말은 여러 가지이나 부여와 같은 것이 많다.
東沃沮 - 其言語與句麗大同 時時小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