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

 1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1
 2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2
 3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3
 4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4
 5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5
 6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6
 7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7
 8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8
 9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9
 10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10
 11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11
 12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12
 13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13
 14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14
 15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15
 16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16
 17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17
 18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18
 19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19
 20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통계분석] 대학의 질적 수준이 정규직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분석

(1) 분석 대상 데이터

(2) 통계분석 모형 및 구성 변인

(3) 분석결과

3. 세부요인 분석

(1)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

(2) 교원 충원율

(3)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4) 전임교원 1인당 논문 게재 수

(5) 재학생 충원률

(6) 등록금 현황

(7) 1인당 장학금

(8) 1인당 도서구입비

4. 결론

1) 구조 특성

2) 연구 성과

3) 교수 여건: 전임교원 확보율, 교원 강의 담당율

4) 재정 여건: 장학금 지급률, 등록금 비율, 학생 1인당 도서구입비

5 . 제언

본문내용
2. 분석
(1) 분석 대상 데이터
본 통계분석에서는 대학의 질적 수준의 지표를 설정하기 위해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08년부터 시작하고 있는 ‘대학알리미’에 공시되어 있는 대학별 지표를 분석데이터로 사용하였다. 대학알리미에서 분석의 대상이 된 대학은 약 190여개이나 제주지역의 대학이나 교육대학과 다수의 종교 및 의학계열의 대학과 극소수의 인원을 보유하고 있는 일부 대학을 제외한 147개의 대학의 지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일반 대학 이외의 특수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 대학의 경우 정상적인 회귀계수 추정을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
현재 대학알리미에서 공시되고 있는 자료는 2008년을 기준으로 한 데이터로써 개별 대학을 구성단위로 하여 데이터를 확보하여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이용해 정규직 취업률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의 질적 수준을 분석해 본다.

(2) 통계분석 모형 및 구성 변인
대학의 특성상 대학 졸업자는 사회에 진출하여 각자 맡은 바 기여를 하게 된다. 그러한 기여를 하는 방법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바로 ‘취업’이라는 길이며 따라서 대학이 어떠한 질적 수준을 가지고 있으며 그 특성이 교육을 통해 어떻게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도록 한다.
교육이라고 하면 이론적으로 투입-과정-산출의 과정을 적용해 볼 수 있다. 학생이라는 변인의 투입에 대학의 여러 가지 교육활동에 의한 과정을 통해 교육의 성과를 산출하는 과정으로 교육을 살펴볼 수 있으며 여기서는 대학의 질적 수준이 과정 속에 어떻게 스며들어 있으며 그것이 어떻게 정규직 취업률이라는 산출에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대학 교육의 질적 수준에 대한 선행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1) 구조 특성: 기능, 설립, 소재지, 규모
2) 연구 성과: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국내학술지 게재 수
3) 교수 여건: 전임교원 확보율, 교원 강의 담당율
4) 재정 여건: 장학금 지급율, 등록금 비율, 학생 1인당 도서구입비
5) 교육 과정: 수업방법의 다양성, 외국어학습지원, 교과과정
6) 학습 활동: 수업 외 학습활동, 협동학습, 전공학습시간, 전공준비시간

이러한 대학 교육의 질적 수준의 지표들이 졸업생의 정규직 취업률이라는 종속변인에 끼치는 영향을 구성한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위와 같은 지표 중 일부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한다. 구조 특성에서의 기능은 이미 선행연구에서 대학이 교육 기능과 연구 기능의 차이점이 극명하게 존재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따라서 기능이 통제변수로 작용하여 데이터 조사 대상을 ‘일반대학’ 으로 통제하며 독립변인에서 삭제한다.
한편 5번의 교육 과정과 6번의 학습 활동은 아직 대학별로 그 측정할 수 있는 지표나 통계자료결과가 축적되지 않은 상태이다. 물론 현대와 같이 자기주도적 학습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하지만 그들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나 평가할 수 있는 척도가 아직 확보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본 보고서에서는 분석 대상에서 삭제하기로 한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