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

 1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1
 2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2
 3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3
 4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4
 5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5
 6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6
 7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7
 8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8
 9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9
 10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10
 11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11
 12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12
 13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13
 14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14
 15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15
 16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16
 17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17
 18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18
 19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19
 20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문법] 주시경 문법체계와 문제점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주시경의 언어관
2-1. 국어 연구의 동기와 수리학적 바탕
2-2. 언어 보편성과 주시경의 자연론
2-3. 원소론

3. 주시경 문법 이론의 체계
3-1. 낱말의 뜻매김
3-2. "늣씨"에 대하여
3-3. “짬듬갈”을 통해 알아본 통사론
1). 통사의 구성 요소와 그 하위 분류
2). 기본월과 복잡한 월로의 형성
3-4. 임자부와 풀이부(주어부와 서술부)

4. 주시경 문법체계의 문제점
5. 주시경 ‘우리말 소리’의 가치
6. 나가며

본문내용
2-1. 주시경의 삶과 국어연구의 수리학적 바탕

주시경(周時經, 1876∼1914)은 국어 연구와 운동을 통하여 일제침략에 항거한 국어학자 이자 국어운동가 이다. 본관은 상주이며 초명은 상호(相鎬), 일명 한힌샘․백천(白泉)·학신(學愼)으로도 불린다. 1887년 12세 되던 해, 서울에 있던 큰아버지 면진(冕鎭)의 양자로 입양되어 한학을 배웠다. 서당에서 시전(詩傳)을 배우던 중 한문으로 우리말로 뜻을 해석하는 과정에 대해 의문을 품고 우리 글로 적고 우리말로 해석하기의 가능성을 모색하며 우리말 연구에 뜻을 세우기 시작하였다. 배재학당 시절 우리글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1896년 『독립신문』을 창간한 서재필에게 발탁되어 ‘국문론’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순한글 신문제작에 종사하고 철자법을 통일할 목적으로 ‘국문동식회’를 조직하여 맞춤법을 비롯한 국어사전 편찬 등 국어문법을 연구하는데 힘썼다.
이 후 제국신문사에 입사하여 기자로 활동하고 영국선교사 스크랜턴(Scranton, W. B.)의 한어교사, 상동청년학원(야학)에 국어문법과를 부설하여 강사로 지내면서 외국인들에게 자신이 집필한 원고 『대한국어문법』(1906)을 중심으로 한국어를 가르치는데 여념이 없었다. 그리고 한글연구에 있어 논리적인 문법체계 정립하고자 1900년 보통과를 졸업하고 흥화학교의 측량과, 정리사의 수학·물리학을 배워 기틀을 다져갔다. 1907년 지석영이 만든 ‘국어연구회’의 회원으로 잠시 활동하고 같은 해 학부(교육부) 내의 국문연구소 주임위원으로 임명되어 3년 동안 국문 연구안을 작성·제출·토의하는데 심혈을 기울였다. 그의 활동은 계몽운동·국어운동·국어연구로 나누어지는데, 계몽운동은 1896년 배재학당의 학생회인 ‘협성회’ 전적과 ‘독립협회’ 위원, ‘가정잡지’ 교보원, ‘서우학회’ 협찬원, ‘대한협회’ 교육부원 등의 근무를 통한 애국계몽운동이었다. 이에 관한 논저는 『가정잡지』와 『월남망국사』(1907), 『보중친목회보』 등에 나타나 있다.
국어운동은 특히 1908년 ‘국어연구학회’를 조직하고 한어개인교사, 상동사립학숙에 국어문법과 병설, 상동청년학원에 교사 및 국어야학과 설치, 국어강습소 개설 등에 심혈을 기울였다. 한일합병(1910) 이후에는 숙명여고를 비롯하여 무릇 9개교에서 가르치는 한편, 일요일에는 ‘조선어 강습원’에서 수많은 후진을 깨우치기에 ‘주보따리’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였다. 그가 가장 정성을 다한 국어연구는 ‘국문 동식회’를 비롯한 의학교내 국어연구회 연구원 및 제술원, 학부 국문연구소 주임위원, 국어강습소 졸업생과 설립한 ‘국문연구회’, 조선광문회 사전편찬 등의 활동을 통하여 깊어졌다. 그에게 직·간접적으로 배우고 그와 같은 문법 체계를 정리한 제자를 살펴보면 김두봉 1889년 경남에서 태어나 주시경이 주관하던 ‘국어 연구 학회’의 강습소를 졸업한 국어학자이자 사회주의 사상가이다. 주시경의 국어 연구와 사상을 가장 잘 계승한 제자이다.
- 허재영, 『우리말 연구와 문법 교육의 역사』, 보고사 2009 p.317
·최현배·김윤경·권덕규·이필수·정열모·이윤재·이병기·김두종·백남규 등이다.
참고문헌
전정례, 『언어학 특강』, 경진문화사, 2006
최규수, 『주시경 문법론과 그 뒤의 연구들』, 박이정, 2005
이현희, 『주시경 국어문법』, 탑, 1986
최낙복, 『주시경 문법의 연구(2)』, 역락, 2003
허재영, 『우리말 연구와 문법 교육의 역사』, 보고사, 2009
김민수, 「늣씨와 morpheme에 대하여」, 국어 국문학 24, 1961
한택동, 『주시경의 문법이론』, 우리말글학회, 우리말글통권 16호, 1998. 11, pp. 151 ~ 178
박종갑, 『주시경과 김두봉의 문법론 비교 연구』, 한국어문학회, 語文學 Vol.87 No. ,2005, 157 ~173
최낙복, 『주시경 문법의 월 구조 연구』,동남어문학회, 동남어문논집 제11호, 2000. 12, pp. 117 ~ 138
김기성, 『주시경의 말소리 연구』, 한국어문교육학회, 어문학교육 제11집, 1989. 4, pp. 53 ~ 6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