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세시가론] 김광욱 시조의 작품세계

 1  [근세시가론] 김광욱 시조의 작품세계-1
 2  [근세시가론] 김광욱 시조의 작품세계-2
 3  [근세시가론] 김광욱 시조의 작품세계-3
 4  [근세시가론] 김광욱 시조의 작품세계-4
 5  [근세시가론] 김광욱 시조의 작품세계-5
 6  [근세시가론] 김광욱 시조의 작품세계-6
 7  [근세시가론] 김광욱 시조의 작품세계-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근세시가론] 김광욱 시조의 작품세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가의 생애

2. 작품의 시대적 배경

2-1. 16세기 후반의 사회 변동과 17세기의 시조

2-2. 국가적 혼란과 은거

3. 작품 세계의 주요 경향 및 시조 해설

3-1. 그의 작품 속 강호(전원)의 의미

4. 김광욱 작품의 시가사적 의의


본문내용

2-2. 국가적 혼란과 은거

김광욱이 활약했던 17세기는 외침으로 인하여 국가적인 굴욕과 수난의 시기였으며, 이에 따라 조선의 사회·문화적 운명이 일대 방향전환이 필요했던 과도기였다. 따라서 17세기를 분기점으로 해서 조선의 역사를 전·후기로 양분하는 것이 역사학계의 일반적인 경향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이렇게 중요한 시기에 국가적 운명을 책임져야 했던 정치가로서, 그의 정치 인생 역시 국가의 운명만큼이나 질곡의 행로를 걸었다. 특히, 그는 광해조와 인조조 사이의 불안한 정국 속에서 인목대비의 폐모론에 불참하여 삭직되는 수난을 겪어야 했는데, 이 때 서울 근교의 행주에서 은거생활에 들어가게 되고(36~44세), 그의 시조는 바로 이 시기에 창작된 것으로 보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3. 작품 세계의 주요 경향 및 시조 해설

김광욱의 작품 세계는 전가시조이면서도 도시적, 풍류적인 성격을 지니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의 시조는 직접 농사를 지으면서 불렀던 전가시조는 아니지만 자영농적 체험을 바탕으로 지어졌다. 하지만 노동의 괴로움을 표현했던 시조들과 달리 자연 속에서 소박하게 생활하면서 시름(정치에서의 소외)을 잊어보고자 하는 모습이 보인다. 기분전환을 위한 소풍의 이미지가 드러나는 것이다. 좀 더 깊이 보면 몇몇 작품 속에서는 도시 속 유흥 공간의 모습을 시골로 가져온 듯한 분위기를 지닌 작품들이 나오는데, 이 속에서도 일터로서의 정서가 잘 나타나 있지 않다는 점은 전가시조이면서도 도시적 이미지를 잃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서울과 그리 멀지 않은 지역이었기에 가능했다.

3-1. 그의 작품 속 강호(전원)의 의미

① 귀거래(歸去來)와 수졸(守拙)로서의 공간

자신을 도연명의 후손으로 생각하였던 김광욱은 도연명의 삶의 경지를 실천하고자 했다. ‘수졸전원’에서 수졸이라는 말은 도연명의 에서 나오는 말이다. 수졸은 더러운
참고문헌
백민정, 「김광욱의 시조에 나타난 강호의 공간적 의미와 강호가도사적 의의」
박연호, 「17세기 강호시조의 한 양상 : 김광욱 시조를 대상으로」
이상원, 「김광욱의 율리유곡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