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암 이현보의 생애와 시가

 1  농암 이현보의 생애와 시가-1
 2  농암 이현보의 생애와 시가-2
 3  농암 이현보의 생애와 시가-3
 4  농암 이현보의 생애와 시가-4
 5  농암 이현보의 생애와 시가-5
 6  농암 이현보의 생애와 시가-6
 7  농암 이현보의 생애와 시가-7
 8  농암 이현보의 생애와 시가-8
 9  농암 이현보의 생애와 시가-9
 10  농암 이현보의 생애와 시가-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농암 이현보의 생애와 시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생애生涯와 시가詩歌
-목차-
1. 머리말
2. 농암의 시가와 생애
3. 농암의 작품세계
4. 농암 시가의 문학사적 위상
5. 맺음말
1. 머리말
聾巖 李賢輔(1467~1555)는 한국 시가사에서 ‘江湖歌道의 唱導者’ 또는 ‘嶺南歌壇의 중심인물 중 한 사람’으로 일찍부터 주목받아 왔다. 趙潤濟, 『朝鮮詩歌史綱』, 東光堂書店, 1937, 248쪽; 趙潤濟, 退溪를 中心으로 한 嶺南歌壇, 『靑丘大學 論文集』8, 1965, 1~13쪽; 崔珍源, 江湖歌道와 風流, 『成均館大學校 論文集』11, 1966, 27~32쪽 등 참조. (成昊慶, 聾巖 李賢輔의 삶과 詩歌, 『진단학보』93, 2002, 222쪽에서 재인용)
이에 따라 그의 국문시가인 時調 , , , 그리고 5수.
와 漢詩懸吐體인 , 『聾巖集』에 수록된 漢詩 작품들의 특질과 시가사적 의의, 그에 대한 작가론과 문학사적 위치에 관한 논의들이 이루어졌다. 농암과 그의 문학에 대한 연구 성과의 상당수는 안동대문화연구소 編, 『聾巖 李賢輔의 文學과 思想』(안동대 안동문화연구소, 1992)에 재수록되어 있고, 그밖에도 다음과 같은 연구들이 발표되었다.
曺圭益, 聾巖 李賢輔의 歌曲, 『淵民學志』2, 淵民學會, 1994; 이종건, 농암(聾巖) 시의 문학사적 가치, 『온지논총』2, 온지학회, 1996; 여기현, 聾巖 李賢輔 한시의 표현특성, 『泮矯語文硏究』10, 반교어문학회, 1999; 成昊慶, 聾巖 李賢輔의 삶과 詩歌, 『진단학보』93, 진단학회, 2002; 鄭武龍, 聾巖 李賢輔의 長·短 硏究, 『韓民族語文學』43, 한민족어문학회, 2003; 김유경, 농암 이현보의 국문시가와 우리말로 노래하기의 전통, 『열상고전연구』38, 열상고전연구회, 2013.
국문시가의 경우 전하는 작품 수가 많은 편은 아니지만 농암이 차지하는 위치는 결코 가벼운 것이 아니다. 농암이 활동했던 15세기 후반~16세기 중반은 정치적으로 혼란스러운 시기였을 뿐만 아니라 우리 시가의 통시적 맥락에서도 중요한 시기였다. 고려 이래의 俗樂들이 쇠퇴하고 본격적인 조선 노래들이 자리 잡기 시작한 시기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기에 민간에서 불리던 를 개작하고 , , 등을 지은 만큼 시가사에 있어 농암의 위상은 각별하며, 본격적인 문헌 기록이 확인된다는 점 역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농암은 조선왕조 초중반에 오랫동안 관직에 임한 文臣이기도 했다. 內外職을 두루 거치고 나서 晩年에는 자연을 벗삼아 유유자적하는 생활을 하였는데, 그가 남긴 시가 작품에는 전원생활에 대한 希求의 뜻을 오래 전부터 품고 있었음이 잘 드러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우리 시가사의 주요 작가인 농암에 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그가 살았던 시대가 정치적으로 어떻게 변화해 가고 있었는지, 또 그러한 정치현실에 처했던 농암의 생애는 어떻게 흘러갔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그의 대표적인 시가 작품들을 제시하고 각각의 창작 배경과 관련지어 검토해 본 다음, 농암과 그의 시가가 차지하고 있는 문학사적 위상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시하는 구체적인 작품은 국문시가를 주로 살펴보도록 한다.
2. 聾巖의 時代와 生涯 이 장은 안동대문화연구소 編, 『聾巖 李賢輔의 文學과 思想』(안동대 안동문화연구소, 1992)의 제1부 聾巖의 時代와 作家論에 수록된 글을 중심으로 요약 정리하였다.
2.1. 시대적 배경
오랜 관직 생활을 했던 聾巖의 생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 무렵의 정치적 현실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농암이 생존했던 시기는 世祖부터 明宗까지의 재위기로, 왕조 창건과 기틀 확립이 이루어진 직후 정치사상문화면에서 ‘조선적’ 특성이 분명하게 드러난 시기였다. 事大交隣의 국책으로 문물과 시설이 정비되고, 新儒學 사상으로 무장한 학자들이 양반체제에 흡수되었다. 王權과 臣權이 조화를 꾀하면서 국가 사회 체제가 균형을 유지하고 학문 및 문화 진흥에 힘쓸 수 있는 바탕이 마련되었던 것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