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곡지도론] 국어교과에서의 연극교육과 선택, 재량 교과에서의 연극교육 대비

 1  [희곡지도론] 국어교과에서의 연극교육과 선택, 재량 교과에서의 연극교육 대비-1
 2  [희곡지도론] 국어교과에서의 연극교육과 선택, 재량 교과에서의 연극교육 대비-2
 3  [희곡지도론] 국어교과에서의 연극교육과 선택, 재량 교과에서의 연극교육 대비-3
 4  [희곡지도론] 국어교과에서의 연극교육과 선택, 재량 교과에서의 연극교육 대비-4
 5  [희곡지도론] 국어교과에서의 연극교육과 선택, 재량 교과에서의 연극교육 대비-5
 6  [희곡지도론] 국어교과에서의 연극교육과 선택, 재량 교과에서의 연극교육 대비-6
 7  [희곡지도론] 국어교과에서의 연극교육과 선택, 재량 교과에서의 연극교육 대비-7
 8  [희곡지도론] 국어교과에서의 연극교육과 선택, 재량 교과에서의 연극교육 대비-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희곡지도론] 국어교과에서의 연극교육과 선택, 재량 교과에서의 연극교육 대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들머리

1. 연극교육의 개념

◎ 펼치기

1.국어 교과에서의 연극교육

1-1. 7차 교육과정에서의 연극교육

1-2.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연극교육

1-3. 이강백의 「들판에서」를 중심으로 국어교과에서의 연극교육 살펴보기

2. 선택․재량 교과에서의 연극교육

2-1.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

2-2. 연극교육 실행 현황

◎ 마무리

1. 이강백 「들판에서」의 수업 모형





본문내용
그럼 지금부터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연극교육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아래에 제시된 표는 7학년에서부터 10학년까지의 극교육을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어떤 모습으로 계획하고 있는지 보여준다.

글의 수준과 범위
성취기준
내용 요소의 예
7학년 읽기
인물의 가치관이나 사고방식이 잘 드러난 영화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의 가치관이나 사고방식을 비판적으로 이해한다.
영화의 서사나 인물 이해뿐만 아니라 영화의 매체 특성 이해도 포함
7학년 문학
문화의 전통의 차이가 드러나는 여러 작품
문학 작품에 드러난 인물의 심리 상태와 갈등의 해결과정을 파악한다.
소설이나 희곡에서 갈등 구조 이해
8학년 말하기
인물의 행동이나 심리가 잘 드러난 청소년 드라마
드라마의 인물이 되어 반언어적․비언어적 표현을 효과적으로 사용한다.
인물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어 반언어적․비언어적 표현 사용하기 포함
9학년 듣기
인물의 갈등이나 시대적 상황이 잘 반영된 영화나 연극
영화나 연극을 보고 자신의 경험이나 시대적 상황과 관련짓는다.
영화나 연극의 내용뿐만 아니라 영화나 연극의 특성 이해 포함.
9학년 말하기
해학 문화가 반영되어 있는 재담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해학 문화를 이해하고, 이를 재담에 활용한다.
해학문화의 전통 이해하기뿐만 아니라 해학의 구조와 표현 특징 이해 포함
9학년 쓰기
일상적 경험이나 사회적 사건을 다룬 영상물
영상 언어의 특성을 살려 영상으로 이야기를 구성한다.
영상 언어의 특성 이해
일상적 경험이나 사회적 사건을 바탕으로 이야기 구성
10학년 듣기
언어의 관습성과 해학성이 두드러진 판소리나 가면극
공연 예술의 소통 방식과 표현 특성을 이해한다.
연행의 언어적 관습과 표현 특성 이해
청중의 공감을 유도하기 위한 표현 이해
공연 예술의 언어 문화적 가치 이해


위의 표를 보면 한눈에 보기에도 7차 교육과정에 비해 극교육의 비중이 뚜렷하게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극교육이 포함된 영역들을 살펴보면 ‘듣기’와 ‘말하기’ 영역에서 각각 두 번, 나머지 영역인 ‘읽기, 쓰기, 문학’에서는 각각 한 번씩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것은 7차 교육과정에서 극교육을 ‘문학’ 영역에서 세 번, ‘읽기’와 ‘듣기’, ‘말하기’ 영역에서 각각 한 번씩 다루고, ‘쓰기’ 영역에서는 아예 다루지 않은 것과 비교된다. 이러한 사실은 7차 교육과정에서 극교육이 문학으로서의 ‘희곡’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면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좀 더 ‘연극’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질 것임을 암시한다. ‘연극’은 교과서에 담을 수 없는 무대예술이기 때문에 연극교육에서 ‘연극’의 대본인 ‘희곡’을 가르치는 것을 우리는 안타까워하면서도 한편으로 어쩔 수 없다고 여겨왔다. 하지만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점을 탈각하고 변화를 꾀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8학년까지는 학생들에게 이미 익숙한 영화나 드라마를 이용하거나 희곡을 가르칠 때에도 소설과 연관하여 가르침으로써 극교육이 학생들에게 좀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했다. 그러고 나서 9학년과 10학년에서는 본격적인 연극에 대한 교육을 시작한다. 영화와 연극을 비교하여 감상하고, 전통극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