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문학] 나쓰메 소세키(なつめそうせき) 작품분석

 1  [일본문학] 나쓰메 소세키(なつめそうせき) 작품분석-1
 2  [일본문학] 나쓰메 소세키(なつめそうせき) 작품분석-2
 3  [일본문학] 나쓰메 소세키(なつめそうせき) 작품분석-3
 4  [일본문학] 나쓰메 소세키(なつめそうせき) 작품분석-4
 5  [일본문학] 나쓰메 소세키(なつめそうせき) 작품분석-5
 6  [일본문학] 나쓰메 소세키(なつめそうせき) 작품분석-6
 7  [일본문학] 나쓰메 소세키(なつめそうせき) 작품분석-7
 8  [일본문학] 나쓰메 소세키(なつめそうせき) 작품분석-8
 9  [일본문학] 나쓰메 소세키(なつめそうせき) 작품분석-9
 10  [일본문학] 나쓰메 소세키(なつめそうせき) 작품분석-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일본문학] 나쓰메 소세키(なつめそうせき)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작가소개

Ⅱ. 나쓰메 소세키의 문학


1. 시기 구분

1) 전기 작품

2) 후기 작품

2. 문학의 특징

Ⅲ. 작품 분석
1. 서지사항

2, 줄거리

3. 배경

1) 시간적 배경

2) 공간적 배경

4. 인물 분석

1) 다이스케(代助)

2) 미치요

3) 히라오카

4) 나가이 도쿠

5. 주제적 특징

6. 제목의 의미

Ⅳ. 쟁점 및 논의

1. 이름에 관한 사항

2. 다이스케의 신경쇠약의 원인

3. 작품 속 ‘소리’의 역할

4. 꽃 모티프

5. 자연으로의 회귀

6. 아버지의 이타본위사상

7. 작가의 경제관, 등장인물의 경제관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작가소개
나쓰메 소세키(なつめそうせき)는 1867년 동경(東京)에서 출생했고, 본명은 銀之助(ぎんのすけ)이다.
아버지 なつめこひょうえなおかつ, 어머니 ちえ의 5남이며, 5남 3녀 중 막내이다. 아버지는 촌장을 지냈지만, 당시 이미 가운은 기울었다. 늦자식으로 환영받지 못하고 생후 곧 しおばら 집안의 양자로 보내지는 등 성장과정은 불우했다.
1900년 문부성 유학생이 되어 부인과 장녀를 남겨두고 단신으로 영국 런던으로 유학했다. 부족한 유학비와 고독과 동서 문화의 차이로 신경쇠약에 걸린다. 1903년에 귀국해 제일고등학교와 동경대학에서 영어와 영문학을 가르치고 『문학론』을 저술하는 한편,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런던탑』, 『양허집』, 『도련님』, 『풀벼게』 등을 발표해서 문명을 얻었다.
1907년 교직을 그만두고 아사히(朝日)신문사에 입사하여 본격적인 작가 생활에 들어간다. 입사 후 최초의 신문연재소설 『양귀비』를 발표하고, 이어서 『산시로』, 『그리고 나서』(=그 후), 『문』, 『마음』 등 많은 작품을 발표했다. 나쓰메 소세키는 もりおうがい와 나란히 일본 근대문학의 최고의 위치를 차지한 사람이다. 1916년 『명암』 연재 중에 50세로 서거했다. 김석자, 『일본 근․현대 작가와 작품연구』, J&C, 2003, 78~79pp.


Ⅱ. 나쓰메 소세키의 문학
1. 시기 구분
1) 전기 작품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도련님』, 『풀 베개』, 『양허집』과 같은 전기 작품들의 특징은 후기의 그것에 비해 다양하면서도 자유분방한 실험 정신에서 찾아볼 수 있다. 형식과 방법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은 근대 소설의 문법으로부터 일탈하려는 지향이며, 이것은 작가의 탈서양 이데올로기와 결코 모관하지 않을 것이다.
참고문헌
1. 단행본
고모리 요이치, 한일문학연구회 역, 『나는 소세키로소이다』, 이매진, 2006.
김석자, 『일본 근․현대 작가와 작품연구』, J&C, 2003.
나쓰메 소세키, 윤상인 역, 『그 후』, 민음사, 2006.
정인문, 『일본 근․현대 작가 연구』, J&C, 2004.
한국일어일문학회, 『나쓰메 소세키에서 무라카미 하루키까지』, 글로세움, 2003.


2. 학술논문
권경희, 「夏目漱石 『그 후』論 - 꽃의 의미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어문학회, 1999.
권혁건, 신윤주, 「나쓰메 소세키의 『그 후』 고찰 - 다이스케의 불안한 삶의 원인 분석」, 2007.
오경, 「가족관계로 읽는 그 후」, 『일본문화연구』, 2006.
윤혜영, 「『그 후』에 있어서 소리의 역할」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