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종과 사림의 북벌론

 1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1
 2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2
 3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3
 4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4
 5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5
 6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6
 7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7
 8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8
 9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9
 10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10
 11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11
 12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12
 13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13
 14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14
 15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15
 16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16
 17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17
 18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18
 19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19
 20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효종과 사림의 북벌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북벌론의 시대적 배경

Ⅲ. 효종의 북벌론
1. 추진 배경

2. 세부 정책
① 인사정책
② 군비증강책

3. 북벌정책의 한계와 실상

Ⅳ. 송시열과 사림의 북벌론
1. 사림의 대두와 효종의 북벌론 견제

2. 효종과 송시열의 갈등

Ⅴ. 맺음말 : 효종이 꿈꾼 조선과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북벌론의 시대적 배경

북벌론이 본격적으로 대두된 것은 효종이 즉위하면서부터이다. 그러나 북벌론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찾으면 임진왜란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그 이유는 북벌론의 논리적 토대가 ‘존명사상(尊明思想)’에 있기 때문이다.
임진왜란 때 조선에 대한 명나라의 지원은 조선을 위기에서 구출했고 이것을 계기로 조선은 명나라를 ‘재조지은(再造之恩)’을 베푼 고마운 나라라고 여기며 명나라를 숭배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명나라가 혼란해진 틈을 타 여진족의 누르하치(努爾哈齊)는 후금을 세우고 명나라를 위협했고 이에, 명나라는 조선에게 지원을 요청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선조의 뒤를 이은 광해군의 실리위주의 현실적 외교정책은 전후에 피폐했던 국내 상황을 고려했을 때 전쟁을 피할 수 있는 탁월한 정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척화론자들에게 당연히 거부될 수밖에 없었다.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강조하던 서인정권은 광해군의 외교정책의 부당성과 인목대비 유폐, 영창대군 살해사건을 명분으로 광해군을 패륜아로 몰아 인조반정을 일으켰다. 이후, 반정으로 즉위한 인조는 광해군과는 상반되는 성격의 외교정책을 폈고, 인조의 향명배금(向明排金)정책은 정묘호란(丁卯胡亂)이 일어남으로써 피할 수 있었던 전쟁을 불러일으킨 꼴이 되었다. 후금(청)과 맺은 강화조건에 대한 의견도 조선정부 내에서 주화파와 척화파의 척화파와 주화파는 병자호란 후 등장한 세력으로, 척화파는 김상헌, 홍익한, 윤집, 오달제 등 명분을 존중하는 성리학자로서, 청의 압력에 즉시 무력으로 응징하자고 주장하였고, 청과는 사대 관계를 맺을 수 없음을 주장한 대의명분을 강조한 성리학자이고, 주화파는 최명길 등 양명학자로서, 명분보다는 현실적인 국제 정세와 국가의 실질적인 이득을 중시하였고, 성리학에 비판적인 입장으로 외교 담판으로써 청의 침략을 저지한 다음에 내정 개혁을 통해서 국력을 키우자는 현실적인 자세를 취함.
두 가지로 갈리게 되었고 척화파들의 주장은 청나라의 심기를 거슬러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 병자호란의 결과로 청은 조선에 대해 강화조건으로 여러 가지를 요구하였고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을 볼모로 데려간다. 조선왕조의 명분이 추락한 것에 대한 분노와 수치심, 명나라와의 의리를 저버리지 않고 청나라에 복수하겠다는 명분론이 팽배하던 분위기 속에서 결국, 인조의 뒤를 이어 즉위한 효종에 의해 북벌론이 대두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1. 사료

《승정원 일기》
《조선왕조실록》- ,
송시열,《송서습유》
송시열,《송자대전》

2. 서적 및 논문

이덕일,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이성무, 조선왕조사 1권
이이화, 조선 후기의 정치사상과 사회변동
최효식, 조선후기군제사연구
강 식,
김세영,
김후정,
백기인,
서정기,
신항수,
안명진,
오항녕,
우인수,
육상엽,
이경찬,
이경희,
이영춘,
이홍두,
지두환,
최완기,
최현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