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에 대한 논의

 1  시조에 대한 논의-1
 2  시조에 대한 논의-2
 3  시조에 대한 논의-3
 4  시조에 대한 논의-4
 5  시조에 대한 논의-5
 6  시조에 대한 논의-6
 7  시조에 대한 논의-7
 8  시조에 대한 논의-8
 9  시조에 대한 논의-9
 10  시조에 대한 논의-10
 11  시조에 대한 논의-11
 12  시조에 대한 논의-12
 13  시조에 대한 논의-13
 14  시조에 대한 논의-14
 15  시조에 대한 논의-15
 16  시조에 대한 논의-16
 17  시조에 대한 논의-17
 18  시조에 대한 논의-18
 19  시조에 대한 논의-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조에 대한 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시조란?
1) 개념과 명칭
2) 연원과 형성
3) 율격과 구조
4) 문학적 분류
5) 내용
6) 역사적 전개
3. 시조에 대한 논의
1) 시조의 연원에 대한 논의
2) 사설시조의 연원에 대한 논의
4. 맺음말
5.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시조란?
1) 개념과 명칭
시조는 한국시가문학사상에 나타난 양식 가운데 최단형의 정형시이다. 시조는 고려 중엽에 발생하여 조선시대까지 활발하게 창작되던 우리 고유의 시가 양식이며 아직도 많은 문인들에 의해서 사랑받고 있다. 시조는 본래 시가에 대한 문학적 명칭이 아니고 원래 음악의 하나인 창곡명이었다. 시조는 신번(新飜), 신성(新聲), 신조(新造), 단가(短歌) 등으로 불려왔으며 이는 고악에 대한 새로운 노래라는 뜻을 지닌다. 그러므로 신성, 신조, 단가 등은 새로운 노래라는 범칭으로 쓰였고 시조만을 지칭한 것은 아니었다.
근세에 와서 ‘시절가(時節歌)’ 또는 ‘시절가조(時節歌調)’라는 용어를 줄여 시조라 한 것이다. 시조는 시절가조라 부르기도 하였는데 당시 새 창법을 가리키는 말이다. 시절가조는 당시의 새로운 창법을 가리키는 말로서 5장으로 부르는 가곡창과 더불어 3장으로 부르는 시조창이 있었음을 이야기한다.

寶兒등 기생의 무리 자못 수다스러워 寶兒一隊太癡狂(보아일대태치광)
길에는 아리따운 옷맵시가 널려 있네 截路聯衫小袖裝(절로연삼소수장)
시절단가 그 가락이 흥건한 그 가운데 時節短歌音調蕩(시절단가음조탕)
찬 바람 밝은 달에 3장을 노래하네 風冷月白唱三章(풍랭월백창삼장)

위의 글은 유만공의 《세시풍속(歲時風謠)》에 실린 것이다. 시절단가는 그 시절조로 부르는 단가를 말함이고 시절가(時節歌)도 그러한 뜻인 시절의 노래라는 의미이다. 시절가는 위와 같이 시절단가라고도 불렀고 그것은 ‘3장으로 노래하네’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가곡창 5장으로 불러오던 것에서 파생하여 3장의 시조창으로 성립된 것이다.
또한 시조를 ‘가곡창사(歌曲唱詞)’라 보는 견해도 있다. 이는 삼대 가집은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는 가곡집으로서 거기에 실린 노래들은 가곡의 노랫말이기 때문에 가곡창사라고 불러야 한다는 주장이다. 조규익, 《가곡창사의 국문학적 본질》, 집문당, 1994, 2쪽.
음악으로서의 노래말을 가곡으로 부르느냐 시조로 부르느냐에 따라 미의식과 내용이 달라진다는 이유에서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시조와 가곡은 노래말 자체는 같다. 시조냐 가곡이냐를 논의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어서 지금까지 사용해온 시조를 그대로 양식명으로 삼고자 한다.
참고문헌
국문학신강 편찬위원회, 《國文學新講》, 새문사, 1985.
김광순 외,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
김대행, 《시조유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6
김동욱, 《국문학사》, 일신사, 1976
김동준, 〈시조의 율격구조연구〉,《국어국문학》79,80호, 국어국문학회, 1979
김동준, 《한국시가의 원형이론》, 진명문화사, 1996.
김석하, 《한국문학사》, 신아사, 1988
김정숙, 〈한국시가의 율적연구〉,《국어국문학》 25호, 1962
김준영, 《국문학개론》, 형설출판사, 1966.
김제현, 《사설시조문학론》, 새문사, 1997.
김학동·박노준 外, 《한국문학개론》, 새문사, 1992.
김학성, 〈辭說時調의 形式과 美學的 특성〉, 《語文硏究》제116호, 韓國語文敎育硏究會, 2002.
서원섭, 《시조문학연구》, 형설출판사, 1977.
윤영옥,《시조의 이해》, 영남대학교 출판사, 1986.
이병기, 〈율격과 시조〉,《시조연구논총》, 을유문화사, 1965
장덕순, 《국문학통론》, 신구문화사, 1976
장사훈, 《時調音樂論》, 서울대출판부, 1986.
전규태, 《韓國文學의 理解》, 정음문화사, 1986.
조규익, 《가곡창사의 국문학적 본질》, 집문당,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