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석탑 레포트

 1  우리나라 석탑 레포트-1
 2  우리나라 석탑 레포트-2
 3  우리나라 석탑 레포트-3
 4  우리나라 석탑 레포트-4
 5  우리나라 석탑 레포트-5
 6  우리나라 석탑 레포트-6
 7  우리나라 석탑 레포트-7
 8  우리나라 석탑 레포트-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우리나라 석탑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탑의 뜻과 어원

Ⅱ. 탑의 종류

Ⅲ. 탑의 구조

Ⅳ. 한국의 탑

Ⅵ. 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탑의 뜻과 어원

여러 층으로 또는 높고 뾰족하게 세운 건축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일반적으로 탑이라는 용어는 높이 솟은 건조물Tower, Monnument을 가리키는 말이며 그 쓰임새도 매우 넓다. 탑의 어원은 불교 건축물인 탑파(塔婆)의 줄임말로 불교에서 석가모니의 사리나 유골을 모시거나 특별한 곳을 나타내기 위하여, 또는 그 덕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건축물로 본디 석가모니의 사리 사리란 범어로 sarira 표기. 신체를 의미 불교에서는 부처님의 신골을 의미한다. 진신사리(직접 부처님의 몸에서 나온 것)와 법신사리(부처님 몸에서 나온 진신사리의 수의 한계성, 이를 대신할 불경, 석가모니 이빨 손톱 ,열반 때 다비한 곳의 회토 를 사리 대용으로 사용), 승사리( 승려몸에서 나온 사리) 가 있다.
를 묻고 그 위에 돌이나 흙을 높이 쌓은 무덤이나 묘(廟)였다.
부처의 진신사리를 모신 사리탑은 불가에서는 가장 존엄한 존재이고 예배의 중심이 되기 때문에 반드시 사찰 경내의 중심부 곧 법당 바로 앞에 건립하여 신앙의 중심으로 삼고 있다. 반면 승려의 사리를 모신 탑인 부도(浮屠)는 불가에서 숭배의 대상은 될 수 있을지라도 신앙의 중심이 될 수는 없기 때문에 사찰 경내에서는 벗어난 한적한 곳에 건립한다.


Ⅱ. 탑의 종류

탑은 그 재료에 따라 크게 목탑, 석탑, 전탑, 공예탑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목탑은 중국에서 건립된 이래 우리나라와 일본에 전래된 동양 삼국에서 가장 오래된 탑의 한 형식이다. 일본은 ‘목탑의 나라’ 라 불릴 만큼 많은 작품을 남기고 있다. 중국과 우리나라에서는 역사적, 지리적 여건으로 인해 그리 활발히 조성되지 못했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70% 이상이 산악으로 이루어져 있어 목조 건축을 짓기 위한 수급이 원활했을 것으로 생각하나 비록 나무는 많아도 연중 기온 변화가 심하여 나무가 곧게 자라지 못하기 때문에 질 좋은 건축용 목재를 얻기 쉽지 않았다. 그래서 조선시대에는 특정 지역에서 생산되는 질 좋은 목재는 왕실용 건축이 아니면 벌목을 금하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 목탑은 국가가 직접 관여하는 큰 규모의 가람에 주로 세워졌다. 목탑이 건립된 유구와 문헌이 남아있지만 법주사 팔상전이 국내 유일하다.
석탑은 우리나라에 대략 1000여개의 석탑이 남아있을 만큼 가장 많은 예를 남기고 있다.이는 중국과 일본이 비교대상이 되지 못할 정도로 많은 수로 우리 조상들이 석탑의 건립에 주력했음을 알 수 있다. 목탑이 지닌 취약점을 극복하고자 서기 600년 즈음부터 석탑으로 탑의 양상이 바뀌게 된다. 목탑에서 석탑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탑이 없던 걸로 보아 우리나라 석재를 다루는 기술이 뛰어났음을 알 수 있다. 화강암을 구하기 쉽고 돌이라는 재료가 지닌 강건함과 예부터 내려온 선돌 문화와도 잘 어울려 많은 석탑을 세울 수 있었다.
전탑은 흙으로 만들어 구운 벽돌을 쌓아 올린 탑.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건립된 탑으로 중국이 가장 많은 전탑을 세웠다. 에 양지스님이“ 영묘사에 작은 전탑을 만들어 예배했다 ‘는 기록이 나온 것으로 보아 신라시대부터 전탑을 조성했음을 알 수 있다.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영주 무신탑 등 몇 개의 수만의 예를 가지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 美의 재발견 - 탑』 강우방․신용철 지음, 솔출판사 2003
『한국의 석탑』 박경식 지음, 학연문화사 2008
『경주, 2000년의 역사가 살아 숨쉬는 신라의 옛 수도』 김용수 외, 우진문화사 1995
『한국의 탑 : 국보편』 김환대․김성태 지음, 한국학술정보 2008
『두산 세계대백과사전』
『문화재청 문화예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