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장 한국의 교육현실과 학생들의 삶

 1  12장 한국의 교육현실과 학생들의 삶-1
 2  12장 한국의 교육현실과 학생들의 삶-2
 3  12장 한국의 교육현실과 학생들의 삶-3
 4  12장 한국의 교육현실과 학생들의 삶-4
 5  12장 한국의 교육현실과 학생들의 삶-5
 6  12장 한국의 교육현실과 학생들의 삶-6
 7  12장 한국의 교육현실과 학생들의 삶-7
 8  12장 한국의 교육현실과 학생들의 삶-8
 9  12장 한국의 교육현실과 학생들의 삶-9
 10  12장 한국의 교육현실과 학생들의 삶-10
 11  12장 한국의 교육현실과 학생들의 삶-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12장 한국의 교육현실과 학생들의 삶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우리나라 학교교육 문제의 개관

1. 교육력 무력화의 현황과 문제점
2. 교육력 파손 기제

3. 교재구성권을 박탈하는 교과서

4. 관리만능의 통제행정

5. 교사의 교육기획의 탈전문화 관행


Ⅱ. 학력주의와 교육경쟁

1. 학력주의

2. 한국에서의 교육경쟁

3. 교육열

가. 교육열의 형성 배경
1) 박부권(1992:17)
(1) 유렵의 경우

(2) 미국의 경우

(3) 우리나라의 경우

2) 이종각(1995b)

3) 직접적인 요인
(1) 문화적 요인
(2) 역사적 요인

(3) 경제적 요인

(4) 정책적 요인

Ⅲ. 교육선발 제도와 입시위주 교육의 특징

1. 우리나라 교육선발제도의 특징
가. 김신일(2003)
1) 입학단계에서의 선발

2) 집중선발
3) 상대적 경쟁선발
4) 상급학교에 의한 선발


5) 객관식 시험선발
6) 획일적 선발

2. 우리나라 입시위주 교육의 특징

가. 이종각(1997)


Ⅳ. 학생들의 유보된 삶

1. 학생의 존재적 조건

가. 조용환(1996)

2. 입시위주 교육체제와 학생들의 적응형태

가. 머톤의 유형론

나. 우즈의 유형론

Ⅴ. 앞으로의 과제

본문내용

Ⅰ. 우리나라 학교교육 문제의 개관

1. 교육력 무력화의 현황과 문제점

가. 교사가 교육의 목적을 고민하지 않는다.
규정과 지침 위주 교육행정체제 하에서, 성적위주 대학 학생선발제도 하에서, 기술 기 능주의 인식을 떠받치는 사회문화 속에서 학교교육이라는 조건에 알맞은 활동을 설계 하려는 의욕을 상실하고 있다. 그래서 공적 교육목적이 사적 사사화 사사화(privatism) : 사유(私有)의 존중
된 문화적 목표에 의해 왜소화되고 있고, 학교교육이 황폐화되고 있다.
나. 목적에 대한 고민에서부터 ‘교육과정’을 기획하지 못한다.
교육목적에 따라 교과지도와 생활지도가 기획되지 않는다. 질서와 규율을 유지하면 되 는 것으로 생각하여 성적, 석차 중심의 대학입시 선발방식이 학교교육 과정을 ‘검은 상 자’로 만들고 있다. 교육 과정에 대해 어떠한 과학적 체계적 고민을 하지 못하도록, 다 시 말해 문제를 많이 풀어 좋은 점수 얻는 데 치중하도록 만들고 있다.
다. 학교의 전체 분위기가 입시 기간화 되어 있다.
학교교육이 대학입시에 전적으로 예속되어있다. 학교의 전체 분위기는 시험제도와 시 험문화에 의해 유지된다. 이리하여 시험제도와 시험문화가 학교의 지적․도덕적 분위기 즉 잠재적 교육과정이 되어있다. 결과중심평가, 성적올리기, 1점다투기, 도구과목중심 등이 특징으로 나타나며 교육을 마치 시험점수로 표시된 학력을 얻는 수단인 양 여기는 제도와 관행이 지속되고 있으며, 교육과정 파행 운영이 심각한 수준이다.
라. 교육의 자율성과 교사의 자주성이 합법주의 규정주의에 매몰되어 있다.
공교육에 대한 국가정책과 제도가 지시일변도, 합법위주, 관리만능으로 흐르고 있다. 학교교육은 합법주의와 규정주의에 매몰된 채 도무지 교육활동을 기획하는 권능을 확보 하지 못한다. 이럴수록 행정관리자의 손에서 교육이 만들어지고 그럴수록 행정관리의 밀실에서 교육이 관리된다. 행정편의 주의가 교육의 현장을 지배한다. 학교와 교사의 교육활동은 지시된 것, 정해진 것, 규정된 것 ,관리된 것을 반복하는 것이다. 학교(교사) 는 그것을 합리라고 생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