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황(성리학), 이이(성리학), 조선 교육사상가 유형원(실학), 이덕무(실학), 조선 교육사상가 정약용(실학) 박지원(실학)

 1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황(성리학), 이이(성리학), 조선 교육사상가 유형원(실학), 이덕무(실학), 조선 교육사상가 정약용(실학) 박지원(실학)-1
 2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황(성리학), 이이(성리학), 조선 교육사상가 유형원(실학), 이덕무(실학), 조선 교육사상가 정약용(실학) 박지원(실학)-2
 3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황(성리학), 이이(성리학), 조선 교육사상가 유형원(실학), 이덕무(실학), 조선 교육사상가 정약용(실학) 박지원(실학)-3
 4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황(성리학), 이이(성리학), 조선 교육사상가 유형원(실학), 이덕무(실학), 조선 교육사상가 정약용(실학) 박지원(실학)-4
 5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황(성리학), 이이(성리학), 조선 교육사상가 유형원(실학), 이덕무(실학), 조선 교육사상가 정약용(실학) 박지원(실학)-5
 6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황(성리학), 이이(성리학), 조선 교육사상가 유형원(실학), 이덕무(실학), 조선 교육사상가 정약용(실학) 박지원(실학)-6
 7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황(성리학), 이이(성리학), 조선 교육사상가 유형원(실학), 이덕무(실학), 조선 교육사상가 정약용(실학) 박지원(실학)-7
 8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황(성리학), 이이(성리학), 조선 교육사상가 유형원(실학), 이덕무(실학), 조선 교육사상가 정약용(실학) 박지원(실학)-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황(성리학), 이이(성리학), 조선 교육사상가 유형원(실학), 이덕무(실학), 조선 교육사상가 정약용(실학) 박지원(실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퇴계 이황(성리학)
1. 교육의 사상
2. 교육의 원리적 성격
3. 교육의 방법론적 성격

Ⅱ.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율곡 이이(성리학)
1. 교육이념
2. 교육목적
3. 교육방법
4. 철학사상
5. 저서

Ⅲ.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반계 유형원(실학)

Ⅳ.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형암 이덕무(실학)

Ⅴ.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다산 정약용(실학)

Ⅵ.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연암 박지원(실학)
1. 이용․후생을 통한 가난 구제
2. 북학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퇴계 이황(성리학)

1. 교육의 사상

퇴계학은 16세기 조선의 역사적 산물이면서, 그의 역사의식과 인간의 식의 표현이다. 따라서 퇴계학을 성리학의 동방별종(東方別宗)으로 보거나, 아니면 한국 철학의 독자문호(獨自門戶)로만 이해하려는 것은 무리가 있다. 전자는 철학적 보편성을 강조하게 되어 퇴계학의 역사성이 결여될 우려가 있으며, 후자는 역사적 특수성이 강조됨으로써 학문의 세계적 호흡을 단절시킬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퇴계학은 퇴계의 시간 공간 인간이라는 삼간의 삼중주이면서 당시의 세계철학이던 정주성리학과의 만남 은 주조로 하였다. 그러므로 그의 학(學)은 세계성과 국지성을 함께 할 수 있었으며, 마침내 가장 지방적인 것이 세계적인 문화의 역사 체계 안으로 편입될 수 있었다. 퇴계는 이러한 길이 지나간 시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지금 그리고 다가올 날에 있다고 보았다. 우리는 고인을 못 봐도 그들이 가던 길은 앞에 있고 후세의 주문공과 양자운을 기다려야 한다고 하였다. 흔히 유학은 과거 지향적, 보수성의 학문이라고 하지만, 온고(溫故)는 지신(知新)을 계왕(繼往)은 개래(開來)의 위한 빈사(賓辭)이고, 이발(已發)은 미발(未發)의 나타남에 지나지 않는다. 최대의 인격실현인 성인은 지난날의 역사적 괄호 속에 갇힌 몇 사람만이 아니라 지금, 그리고 다가올 날에 누구나 될 수 있는 가능태이다. 따라서 우주와 인간의 변화는 끊임없이 현재진행이고 창조이다. 퇴계의 시간관은 전통적인 한국인의 시간의식인 원환적 구조와 성리학적인 시간의식구조인 변화생성론(變化生成論)을 토대로 한다. 그러하기 때문에 그의 인간관과 교육관은 그의 현실적인 역사 사회에 대한 응답이라는 것이다. 퇴계는 16C조선사회의 곤피상(困疲相)과 교학의 타락상을 광정하기 위하여 교육가치관의 확립을 필생의 사업으로 자임하였다. 퇴계교육학의 기반은 현실인간의 인격실현에 두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2. 교육의 원리적 성격

퇴계에 의하면 성리학의 동방전래에 있어서 참된 지치주의를 시도하였던 분이 조정암(趙靜菴)인데, 그의 정치적 좌절은 결국 그의 학문적 인격적 미숙성에서 연유한 것이라고 평가한
참고문헌
김지용(1994) : 박지원의 문학과 사상, 한양대학교
유사순, 정약용 : 고려대학교 출판부
유동원(1983) : 한국실학개론, 정음 문화사
장승구(2001) : 정약용과 실천의 철학, 서광사
조동걸․한영우․박찬승(1994) :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上), 창작과 비평사
주칠성 : 실학파의 철학사상
한국철학사연구회(2000) : 한국 실학 사상사, 다운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