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소설] 이문구 `우리 동네` 작품분석

 1  [현대소설] 이문구 `우리 동네` 작품분석-1
 2  [현대소설] 이문구 `우리 동네` 작품분석-2
 3  [현대소설] 이문구 `우리 동네` 작품분석-3
 4  [현대소설] 이문구 `우리 동네` 작품분석-4
 5  [현대소설] 이문구 `우리 동네` 작품분석-5
 6  [현대소설] 이문구 `우리 동네` 작품분석-6
 7  [현대소설] 이문구 `우리 동네` 작품분석-7
 8  [현대소설] 이문구 `우리 동네` 작품분석-8
 9  [현대소설] 이문구 `우리 동네` 작품분석-9
 10  [현대소설] 이문구 `우리 동네` 작품분석-10
 11  [현대소설] 이문구 `우리 동네` 작품분석-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소설] 이문구 `우리 동네`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작가소개
2. 1960~1970년대 경제발전과 소외된 농촌
3. 연작소설로서의 『우리동네』

Ⅱ. 본 론
1. 작품 분석
1) 허울뿐인 새마을 운동의 모습과 농촌 생활의 피폐함
2) 왜곡된 정치의식
3) 농민 권익을 보장하지 않는 ‘농협’
4) 농촌 공동체의 파괴와 가정의 불화
5) 신문물의 도입으로 인한 농촌 일상의 변화
6) 농촌을 벗어난 공장 노동자들의 노동력 착취문제
7)『우리동네』에 나타난 언어의 특징

Ⅲ. 결 론
본문내용
Ⅰ. 서 론

1. 작가소개

1941년 4월 12일 충청남도 보령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자랐으며, 6·25전쟁으로 아버지와 형들을 잃고, 이어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 15세 때 가장이 되었다. 1959년 중학교 졸업 후 상경해 막노동과 행상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1961년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에 입학해 김동리, 서정주 등에게 수학했다. 단편소설 『다갈라 불망비』(1963)와 『백결』(1966)이 김동리에 의해 『현대문학』에 추천되어 등단했다. 등단작품의 독특한 문장과 문체에 주목한 김동리는 추천사에서 '한국 문단은 가장 이채로운 스타일리스트'를 얻게 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우리말 특유의 가락을 잘 살려낸 유장한 문장으로 작가 자신이 경험한 농촌과 농민의 문제를 작품화함으로써, 소설의 주제와 문체까지도 농민의 어투에 근접한 사실적인 작품세계를 펼쳐보여 농민소설의 새로운 장을 개척한 작가로 평가된다. 주요작품으로 『이삭』(1968),『암소』(1970),『관촌수필(1~3)』(1972), 『우리동네』 등이 있다.


2. 1960~1970년대 경제발전과 소외된 농촌

1960년대 ‘개발과 성장’의 구호아래 진행된 60년대의 도시화는 한마디로 농촌의 와해 위에 이루어진 ‘농민의 도시화’였다. 국가의 농업부문에 대한 적극적 착취는 ‘저임금-저곡가’라는 형태로 공업적 도시화의 생산적 기반을 제공하였으며, 농촌은 ‘조국 근대화’의 미명아래 내국 식민지의 위치 또는 이중(二重) 식민지의 역할을 강요당해야만 했다.
유신체제에서의 경제개발은 군사정권 아래 거의 독자적으로 이뤄지다 보니 사회 전반적으로 부작용이 많았다. 정부는 궁핍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목표에 강한 의지를 심었으나 현실은 그렇지가 않았다. 정부가 주도하는 강력한 수출정책들에 의해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비약적인 경제발전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개발 정책은 공업화의 성격을 띠게 되었고 투자는 공업 쪽에 편중되어 1차 산업부문, 특히 농업부문은 국가 기반 정책에서의 외면당하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참고문헌
․ 김윤식․ 정호웅, 『한국 소설사』, 예하, 1993.
․ 염무웅, 「도시-산업화 시대의 문학」,『민중 시대의 문학』, 창작과 비평사, 1979.
․ 오양호, 『농민 소설론』, 형설출판사, 1984.
․ 유광호 외, 『한국 유신시대의 경제정책』,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3.
․ 홍경표,「작품에 나타난 문화적 언어들」,『이문구의 연작품 연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