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안면부 이상감각과 피로를 주소로 하는 환자 사례

 1  [한의학] 안면부 이상감각과 피로를 주소로 하는 환자 사례-1
 2  [한의학] 안면부 이상감각과 피로를 주소로 하는 환자 사례-2
 3  [한의학] 안면부 이상감각과 피로를 주소로 하는 환자 사례-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의학] 안면부 이상감각과 피로를 주소로 하는 환자 사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증례

Ⅲ.고찰

Ⅳ.결론

Ⅴ.참고문헌

본문내용
Ⅲ.고찰
상기 환자는 좌안면의 이상감각과 피로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이다. 환자의 주소증인 안면의 이상감각은 氣虛로 인한 증상이고, 소화불량은 脾虛로 인하며, 피로와 입면장애는 心脾虛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이다. 또한 설태가 白苔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보아 寒症을 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心脾虛를 치료하는 歸脾湯 당귀 용안육 산조인 원지 인삼 황기 백출 백복신 목향 감초
을 고려할 수 있겠다.
귀비탕은 심장의 박출력 저하와 혈관 연약으로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다양한 증상에 사용하며, 심장의 박출력 저하와 혈관연약이 전신허약에 바탕을 두고 있을 경우에 적합하다. 방약합편에서는 憂思 勞傷心脾 健忘 怔忡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걱정이나 생각을 많이 하면 에너지가 집중되어야 하므로 조직은 긴장을 하게 되며, 긴장된 후에는 이완이 뒤따른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될 경우, 조직의 탄력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혈관이 함께 약해져 심장의 박출력도 저하된다. 소화기에 혈액이 충분하게 공급되지 않으면 소화기능이 떨어져 식욕부진, 소화불량, 변비 등이 발생된다. 귀비탕은 心脾의 허약으로 인한 불면, 즉 사려과다, 노사로 심비가 허약해져 발생하는 불면을 치료한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憂思나 勞傷의 원인이 작용하더라도 모든 사람에게 이러한 증상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 귀비탕의 증상은 본래 몸이 연약한 사람이었거나 질병으로 인해 몸이 허약해진 상태에서 이러한 원인이 작용했을 때에 쉽게 나타난다. 비교적 기허하고 심허한 사람에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유형의 사람은 보통 피부가 엷고 연약하며 건조하고, 전체적으로 약하게 보인다. 이러한 귀비탕의 적응증과 환자가 호소하고 있는 증상들이 잘 맞기 때문에 귀비탕을 고려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허준; 동의보감, 남산당, 2001
전국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비계내과학, 군자출판사, 2008
전국한의과대학심계내과학교실; 심계내과학,군자출판사, 2006
박양구, 김윤경, 윤용갑; 귀비탕에 대한 방제학적 연구, 대한한의학 방제학회지 제15권 2호, 2007.
한방여성의학편찬위원회; 한방여성의학, 정담, 2007
동의학연구소; 새로보는 방약합편, 단샘,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