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안설` 을 통해 본 안정복의 고려사 인식 태도

 1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안설` 을 통해 본 안정복의 고려사 인식 태도-1
 2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안설` 을 통해 본 안정복의 고려사 인식 태도-2
 3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안설` 을 통해 본 안정복의 고려사 인식 태도-3
 4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안설` 을 통해 본 안정복의 고려사 인식 태도-4
 5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안설` 을 통해 본 안정복의 고려사 인식 태도-5
 6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안설` 을 통해 본 안정복의 고려사 인식 태도-6
 7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안설` 을 통해 본 안정복의 고려사 인식 태도-7
 8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안설` 을 통해 본 안정복의 고려사 인식 태도-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 `안설` 을 통해 본 안정복의 고려사 인식 태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안정복의 생애와 그의 학풍

(1) 유형원의 영향

(2) 성학 이익의 영향

2. 안설(按說)을 통해 본 안정복의 고려사 인식 태도

(1)「동사강목」의 고려편제

(2) 불교국가 고려에 대한 평가

(3) 고려의 제도와 정책에 대한 평가

3. 결론

본문내용
(2) 성학 이익의 영향
안정복이 안산에 살고 있던 이익을 처음 방문한 때는 유형원의 저서를 접한 2년 뒤인 1746년이었다. 이 때 그의 나이는 35세였다. 그 후 1747년 9월, 1748년 12월, 1751년 7월 이렇게 세 차례 직접 만난 것을 제외하고는 수시로 편지를 통해 의견을 교환하였다. 성호(星湖) 이익(李瀷)은 의리지학(義理之學) 으로서 주자학이 지닌 장점을 인정하면서도, 주자에서 벗어난 해석을 무조건 배척하려는 당시의 학풍을 비판하면서 ‘자득(自得)’ 을 강조하였다. 즉 ‘자득’ 이란 주자일퇴계(朱子一退溪) 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자신의 시대에 맞게 새롭게 변하는 유연한 자세를 일컫는다. 하지만 이러한 이익의 학풍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성호학파 문인들은 두 계열로 나눠지게 된다. 이병휴(李秉休) 등은 ‘자득’을 강조하던 이익의 자세를 계승해 주자일퇴계의 학문을 계승하면서도 양명학, 서학 등 새로운 학설을 받아들이는데 적극적인 태도를 취했다. 이에 반해 안정복은 주자일퇴계의 학문을 고수하며 이를 충실하게 실천하는 태도를 보였다. 그는 새로 배우는 사람들에게 ‘자득’ 만을 강조하다 보면 선학들의 학문을 무시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이익의 사후 안정복은 성호학파의 장자로서 스스로 양명학, 서학 등 이단 배척을 통해 학파 문인들을 단속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안정복이 역사관에 있어서도 주자의 역사관을 따랐음따라서 안생각할 수 있다. 안정복은「춘추(春秋)」,「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의 정신을 모범으로 삼았는데 사실 이는 다른 조선 학자들도 마찬가지였다. 주자는 역사의 전개에서 도리와 의리를 강조함으로써 경학과 사학을 예(禮) 와 용(用) 으로써 일체화시켰다. 즉 경학이 연구하는 본체는 심(心), 성(性), 이(理), 기(氣) 며, 사학인 연구하는 대상은 전장(典章), 제도, 인물, 선악 등이었는데, 주자의 사학은 양자를 일체화하였다. 이것은 주자의 역사학이 단지 역사 인물에 대한 도덕적 포폄만을 위주로 하는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실제로 「자치통감강목」에 나타나는 역사학의 범위는 매우 광범위하다. 그것은 역사인물 뿐만 아니라 전장, 제도, 풍속 등 여러 범위에서 선악, 시비를 판단하기 위해 의리의 기준을 세우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주자의 역사학을 이익은 물론 그의 문인이자 주자일퇴계의 학문을 고수했던 안정복도 따랐음을 쉽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므로 안정복이 기존의 역사서나 역사적 사실에 비평을 가할 때의 기준 역시 주자의 정법(定法),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의 의례(義例)가 기준이었다. 주자의 의례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그에 미치지 못하는 허황된 안목을 지녔거나, 주자의 의례를 따르려 했으나 잘못 적용했던 점을 비판하였다. 최성환, 영 ․ 정조 대 안정복의 학문과「동사강목」편찬, 한국학보, 2003


참고문헌
- 전제현, 유계와 안정복의 고려사 인식 - 「역사제강」과「동사강목」의 사론을 중심으로, 한국학논총, 2009
- 강세구, 순암 안정복의 고려인식, 역사실학회, 2000
- 강세구, 유형원 ․ 이익과 안정복의 학문적 전승관계, 역사실학회, 1995
- 최성환, 영 ․ 정조 대 안정복의 학문과「동사강목」편찬, 한국학보, 2003
- 동사강목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