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전`에 나타나는 사랑의 미학과 사회학

 1  `춘향전`에 나타나는 사랑의 미학과 사회학-1
 2  `춘향전`에 나타나는 사랑의 미학과 사회학-2
 3  `춘향전`에 나타나는 사랑의 미학과 사회학-3
 4  `춘향전`에 나타나는 사랑의 미학과 사회학-4
 5  `춘향전`에 나타나는 사랑의 미학과 사회학-5
 6  `춘향전`에 나타나는 사랑의 미학과 사회학-6
 7  `춘향전`에 나타나는 사랑의 미학과 사회학-7
 8  `춘향전`에 나타나는 사랑의 미학과 사회학-8
 9  `춘향전`에 나타나는 사랑의 미학과 사회학-9
 10  `춘향전`에 나타나는 사랑의 미학과 사회학-10
 11  `춘향전`에 나타나는 사랑의 미학과 사회학-11
 12  `춘향전`에 나타나는 사랑의 미학과 사회학-12
 13  `춘향전`에 나타나는 사랑의 미학과 사회학-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춘향전`에 나타나는 사랑의 미학과 사회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작품소개 및 방향)

2. 사랑의 미학
2.1. 연애소설의 형태
2.2. 인물 분석
2.2.1. 월매의 모성애
2.2.2. 변학도의 유혹과 욕망
2.2.3. 이몽룡의 미성숙한 사랑
2.2.4. 춘향의 일편단심
2.3. 고난과 성취
2.3.1. 고난의 종류
2.3.2. 사랑의 성취

3. 사회 속의 춘향전
3.1. 춘향전의 대중성과 민중성
3.2. 춘향의 수절에 나타나는 이중성
3.3. 사회적 코드와 사랑의 관계

4.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 혈서로 써 놓았는데 모래밭 위에 내려 앉은 기러기 격으로 그저 툭툭 찍은 것이
모두 ‘애고’였다.
어사 보더니 두 눈에 눈물이 듣거니 맺거니 방울방울 떨어지니 아이 하는 말이,
“남의 편지 보고 왜 우시오?”
“엣다 이애, 남의 편지라도 서러운 사연을 보니 자연히 눈물이 나는구나.”


㉡ 어사또 밥상 받고 생각하니 분한 마음 하늘에 뻗치어 마음이 울적하고 오장이
울렁울렁하고 저녁밥이 맛이 없어,
“ 향단아, 상 물러라.”
담뱃재 툭툭 털며,
“ 여보소 장모, 춘향이나 좀 보아야겠소.”

㉠은 남원에 막 도착한 이몽룡이 춘향의 편지를 구관댁으로 심부름 하는 아이를 우연히 만나서 그 편지를 읽는 대목이다. 옥중에 갇혀 님을 그리워하는 춘향이의 처지를 알게 된 이몽룡은 눈물을 흘리며 슬퍼하고, 이몽룡의 정체를 알 리 없는 아이가 의아해 하는 장면이다. ㉡은 이몽룡이 춘향의 집에 도착해 월매와 향단이로부터 춘향의 상세한 소식을 전해 듣고 춘향이에 대한 감정이 극대화되어 표출되는 대목이다. 부모를 따라 남원을 떠났던 이몽룡이 고통 속에서도 자신을 위해 수절하고 있는 춘향을 발견하면서, 춘향을 향한 치기어린 사랑이 점차 적극적이고 책임감 있는 사랑으로 변모하는 계기가 된다.

2.2.4. 춘향의 일편단심

춘향은 비록 기생 딸이라는 신분이지만 보통의 기생들과는 다르다. 그녀의 사상과 지향하는 바가 다른 동기들과 다름으로 인해 범상치 않다는 인상을 준다. 이몽룡을 만나는 장면에서도 이몽룡의 신분에 주눅들지 않고 이몽룡을 시험해본다. 춘흥에 의한 호기심으로 춘향을 대한 이몽룡과 달리 춘향은 치밀하고 신중하게 이몽룡을 대한 것이다. 하지만 그녀도 이몽룡의 모습과 글 솜씨에 탄복해 마땅히 자신의 짝이 될 만함을 알고 이몽룡을 섬기기로 결심한다. 이몽룡과 백년가약을 맺고 헤어지기 전까지의 시간은 그리 길지 않다. 긴 시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춘향이 이몽룡과 헤어짐을 아쉬워하고 긴 고난의 시간을 버틸 수 있었던 것은 아무래도 이몽룡이 자신의 천생배필임을 인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사랑의 이유야 다양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떤 특정한 관점으로 춘향의 태도를 이해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조는 다른 이유보다도 춘향의 태도의 동기가 사랑에서 기인했다고 보고 논의를 이어가도록 하겠다.

2.3. 고난과 성취

2.3.1. 고난의 종류

① 이몽룡이 전출 가는 아버지를 따라 서울로 떠남
② 변학도가 재물로 춘향을 유혹함
③ 변학도가 곤장을 때리고 하옥시킴
④ 월매가 찾아와 춘향에게 변학도의 수청을 들 것을 요구

춘향의 사랑을 도드라지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 고난은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고 그
참고문헌
강만길, 『한국근대사』, 창작과비평사, 1984.
강진옥, 『열녀전승의 역사적 전개를 통해 본 여성적 대응양상과 그 의미』
김종철, 『판소리사 연구』, 역사비평사, 1996.
김홍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1986.
설중환, 「춘향전의 인물구조와 사회성격」, 『춘향전의 종합적 고찰』, 한국 고소설 연구회, 1991.
신주영, 『춘향전의 대중성과 민중성』, 문창어문학회, 2007.
임성래, 「연애소설의 관점에서 본 춘향전」, 열상고전연구회 11집, 1998.
정하영, 「월매의 성격과 기능」(1985), 『춘향전의 탐구』, 집문당, 2003.
조동일, 「춘향전 주제의 새로운 고찰」, 『춘향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서광학술자료, 1994.
「남원고사」, 「신재효본 남창 춘향가」